하나증권 철강/운송 박성봉] POSCO홀딩스(005490.KS/매수) : 예상했던 수준만큼의 3분기 영업실적 기록
▶️보고서: https://bitly.ws/Ykz2
▶️3분기 철강 밀마진 축소되었지만 영업이익은 시장컨센서스 부합
- 3Q23 영업이익 1.2조원(YoY +33.3%, QoQ -7.7%, 컨센서스 1.2조원) 기록
1) 계절적 비수기와 일부 하공정 라인 수리 영향으로 포스코 철강 판매량은 소폭 감소(830만톤: YoY +5.0%, QoQ -0.6%)
2) 철광석을 비롯한 원재료 가격 하락으로 고로 원재료 투입단가는 전분기대비 3.6만원/톤 하락
3) 내수 부진과 중국 수입산 가격 하락으로 탄소강 ASP가 전분기대비 5.3만원/톤 하락하면서 스프레드 축소
4) 다만 고부가제품 판매 확대로 실질적인 ASP 하락은 4.8만원/톤 기록
5) 중국 장가항을 제외한 해외 철강 자회사들뿐만 아니라 기타 국내 주력 자회사들도 대부분 전분기대비 수익성 악화
▶️4분기 판매량 증가와 제품 믹스 개선으로 영업이익 소폭 확대 전망
- 중국 국경절 이후에도 건설용 강재 중심으로 여전히 부진한 내수 영향으로 중국 철강 유통가격 약보합세
- 연말까지도 건설용 강재 수요의 의미있는 반등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이나
- 자동차, 가전 등의 제조업 중심의 수요 회복과 철강 생산 감축으로 수급 상황은 조금이나마 개선 예상
- 일부 후공정 라인 수리가 완료되면서 포스코 4분기 철강 판매량은 통상적인 4분기 수준인 850만톤까지 회복 예상
- 스프레드는 3분기대비 소폭 축소 예상(원재료 투입단가 하락에도 불구, 내수 가격 및 중국 수입산 가격 하락 영향)
- 4분기에도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에 따른 제품 믹스 개선 효과는 일부 가능할 전망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740,000원 유지
- 글로벌 철강가격 하락과 리튬을 비롯한 2차전지 소재 가격 하락으로 POSCO홀딩스 주가는 7월 고점 이후 조정
-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전기차 수요 둔화가 센티먼트 부담으로 작용하겠지만, 2차전지 소재 사업을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전략은 여전히 유효 판단
- 현재 수산화리튬 가격이 POSCO홀딩스에서 제시한 가격대비 낮은 수준까지 하락했지만
- 장기적으로 글로벌 경기 회복과 2차전지 수요가 동반 회복되는 시점에 리튬 가격은 재차 상승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의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
[위 문자는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