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본 메세지] ---------------------
컴퓨터 용어 소사전
MMX
인텔이 새로 개발한 멀티미디어 확장 기술이다. 이 기술을 사용해 만든 CPU가 바로 인텔 P55C(이른바 펜티엄 MMX)이다. 기존의 CPU에서 멀티미디어 처리를 함께 하려면 CPU에 부하가 많이 걸려 동화상이 끊기거나 음질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므로,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CPU 자체에 새로운 명령어를 추가하고, 내부 캐시를 높인 기술이다.
온 칩 캐시(On-Chip-Cache)
칩 내부에 저장된 캐시를 말한다. 펜티엄 CPU의 경우 16KB의 캐시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 중 8KB는 명령어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캐시로, 나머지 8KB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캐시로 사용된다. 캐시가 증가하면 반복적인 작업시 캐시에 로딩되어 있는 명령어를 읽어오게 되므로 수행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최근 발표된 MMX CPU에는 총 32KB의 온 칩 캐시가 들어 있다.
클래매스(Klamath)
인텔 사가 펜티엄 프로칩에 MMX기술을 적용시킨 펜티엄Ⅱ의 개발 코드명. 지난 2월 인텔 사는 그 동안 클래매스라는 코드명으로 불려지던 펜티엄 프로 MMX의 이름을 펜티엄Ⅱ로 확정했다. 펜티엄Ⅱ는 기존 CPU처럼 메인보드 소켓에 꽂는 방식이 아니라, 카드 형태로 슬롯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으므로 온칩 캐시 대신 외부 캐시를 사용한다. 펜티엄Ⅱ는 233MHz의 클럭을 가지고 있으며, 올해 2/4분기에 출시될 전망이다.
미디어 GX
인텔 호환칩 생산업체로 유명한 사이릭스 사에서 개발한 원가 절감형 CPU. 별도의 주변기기 없이 사운드카드 칩과 비디오카드 칩을 하나로 통합하고, 비디오 메모리를 메인보드와 공유하는 방식으로 주변기기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만든 칩이다. 당초 사이릭스는 이 제품을 노트북용으로 계획했지만, 현재 컴팩 데스크톱인 프리자리오 2000 시리즈에 장착되어 있다.
셰이딩(Shading)
움직이는 물체의 색은 광원과의 거리와 광원의 색, 각도에 따라 계산된다. 이를 고속으로 계산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점 몇 개를 우선 계산하고, 계산한 점 사이를 적당한 간격으로 증감시키는 기술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기술을 셰이딩 또는 그라우드 셰이딩(Gouraud Shading)이라 한다.
텍스처 매핑(Texture Mapping)
생성된 3D 이미지인 폴리곤의 각각의 면 위에 이미지를 넣는 작업. 최근 대부분의 3D 게임이 텍스처 매핑을 사용해 화려한 화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정밀한 이미지를 그려넣기 위해서는 그래픽 카드 성능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최근 텍스처 매핑을 개량한 빠른 속도의 'MIP 매핑' 방식도 쓰이고 있다.
부두(VooDoo) 칩
베리테 칩과 동일한 시기에 발표된 3D 가속칩으로 3D fx 사가 개발하였다. 부두 칩은 바이리니어 필터, 안티알리이싱, Z-버퍼, 알파 블렌딩, 포깅 등의 효과를 지원한다. 이 칩은 3D 가속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별도의 2D 그래픽카드와 병행해서 사용해야 하며, 일반 사용할 때에는 2D 그래픽 카드로 출력되다가 3D 가속이 필요로 할 때만 부두 칩을 사용한 그래픽카드로 전환되어 출력된다.
애플릿(Applet)
썬마이크로시스템 사가 웹 커뮤니티에 자바를 소개한 이래 보편화된 말로, 윂페이지에 있는 작은 응용 프로그램을 가르킨다. 애플릿은 웹페이지에 일부로 존재하다 클라이언트로 동장하는 웹브라우저로 다운로드 된 후 동작하게 된다. 기술적으로는 자바 프로그램의 한 유형을 가르키는 말이지만, 자바스크립트의 등장으로 자바 스크립트를 사용해 개발한 스크립트들을 지칭하는 용도로서 사용되고 있다.
케이크워크(CakeWalk)
미디 음악을 만들 수 있는 트웰브톤 사의 시퀀서로, 대중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프로그램이다. 케이크워크로 만들어진 미디 파일은 *.wrk라는 확장자를 가지며, 국내 통신사에서도 쉽게 저장 기능 외 특별한 제약이 없는 케이크워크 5.0 데모 버전을 구할 수 있다.
비주얼 베이식(Visual BASIC)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오브젝트 지향 프로그램 언어로, 그래픽 소프트웨어로 화면을 디자인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기능을 단추나 스크록 바에 지정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물론,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도 비교적 펀리하다.
OPL-3
야마하에서 개발한 YM262 칩을 말하는 것으로, 현재 FM 음원의 표준이라 할 정도로 널리 쓰이고 있다. 흔히 말하는 OPL-3 호환 사운드카드는 YM262 칩과 호환이 되어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는 뜻으로, 거의 대부분의 사운드카드가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현재 OPL-4까지 출시되어 있다.
DAT(Digital Audio Taperecorder)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이 아닌 디지털 방식으로 음성을 기록, 재생하는 카세트식 오디오 테이프 리코더로 소니 사에서 최초로 만들었다. CD 수준의 음질과 물리적인 오류정정이 가능해 데이터 보존력이 높은 DAT는 높은 가격으로 인해 일반 사용자에게 널리 보급되지 못했으나, 방송 기재나 일부 디지털 작업이 필요한 사용자에게 많이 사용되고 있다. 73×54×10.5mm 크기의 DAT 테이프는 VHS 방식과 같이 사용할때에만 뚜껑이 열리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2시간 분량의 데이터를 녹음할 수 있다.
액티브 무비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 만든 멀티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3.0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것을 설치하면 매체 재생기의 '장치' 메뉴에 'ActiveMovie' 항목이 추가되어 MP2 파일과 MPEG, 비디오 CD의 DAT 파일들까지 플레이할 수 있다.
SCSI-2(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2)
여러개의 주변장치를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SCSI를 개량한 SCSI-2는 기존의 8∼10MB/s의 전송 속도를 20MB/s 이상으로 크게 증가시킴으로써 여러 기기가 사용되고 많은 전송량이 요구되는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로 각광받고 있으며, 소규모의 컴퓨터 운영 환경이나 외장형 주변기기를 주로 사용하는 곳에 적합하다.
ODP(OverDrive Processor)
새로운 CPU가 시판될 때 기존의 하위 기종 메인보드 사용자를 위해 업그레이드용으로 만든 CPU이다. 요컨데 CPU 소켓의 크기가 달라진다가너 지원 전압이 다를 경우 메인보드를 교체할 필요 없이 ODP를 장착하면 된다. 예를 들어 펜티엄 60∼66MHz 사용자의 경우 5V의 소켓 6에 3.3V의 소켓 7용 CPU와 같은 기능을 가진 ODP를 끼워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최근 출시된 MMX는 2.8V를 지원하기 때문에 기존 3.3V 지원 보드에서는 펜티엄 MMX ODP를 사용해야 한다.
LCD(Liquid Crystal Display)
흔히 '액정 디스플레이'라 불리우는 LCD는 계산기, 시계, 디스플레이 등에 많이 사용되는데, 저전력, 소형 구조로 과거에는 간단한 문자나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컴퓨터 모니터나 여러 장비의 디스플레이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LCD는 두장의 유리판 사이에 이방성 액체(서모트로픽 액정)가 들어 있으며, 전극이 연결되어 있어 전류가 흐르면 임의의 표시가 가능하다.
MPU(Micro Processer Unit)
'초소형 연산처리장치'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LSI화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뜻한다(CPU는 '중앙처리장치'를 지칭한 단어이다). MPU는 CISC 방식과 명령 축약 형식으로 움직이는 RISC방식으로 나누어 지는데, 현재 많이 사용되는 펜티엄은 CISC 방식이며, 파워PC 칩은 RISC 방식의 포르세서이다.
MPEG-2(Motion Picture Image Coding Experts Group)
MPEG-1에 이어 발표된 영상 압축 기술의 표준 규격. 질 높은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높은 압축률을 가지는 규격이 선결되어야 하는데, MPEG-2는 픽셀이나 화면 구성에 따라 압축률이 달라지는 새로운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최대 9.8MB, 일반적으로 초당 3∼4MB의 데이터 전송률을 가진다. 현재 DVD는 기본적으로 이를 지원하고 있다.
폴리곤(Polygon)
다각형을 뜻하는 말로, CG 등에서 3D 데이터를 표시하는 데 사용하는 삼각형을 지칭한다. 폴리곤을 이용하면 표현하려는 물체를 입체적을 나타낼 수 있으며, 화면상에서 다양한 시점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현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세밀한 묘사를 하려면 많은 폴리곤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비교할 때 초당 폴리곤 생성 수는 큰 의미를 갖는다.
TWAIN(Toolkit Without An Indicated Name)
스캐너로 읽어들인 자료를 이미지화하는 방법의 공통 규격으로, 어도비, 코닥, 후렛팩커드 등 관련 기업들이 모여 개발한 업계 표준 규약이다. TWAIN을 통해 각 업체마다의 비호환성으로 오는 많은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대부분의 스캐너와 그래 프로그램이 이를 호환하고 있다. 최근에는 몇몇 디지털 카메라도 TWAIN을 지원하고 있다.
TTL(Through The Lenz)
카메라의 자동초점 방식 중 한가지. 렌즈 안에 적외선이나 초음파 발생장치를 내장하고 있어 피사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후, 초점이 맞도록 렌즈부가 앞뒤로 구동하여 피사체와의 초점을 맞춘다. 대부분의 자동 카메라에 채용되고 있으며, 수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보다 손쉽게 사진을 찍을 수 있다.
CCD(Charged Coupled Device)
일반적으로 '전하 결합 소자' 라고 불리는 CCD는 실리콘웨이퍼 위에 초소형 금속 전극을 여러 개 배치하여 정보를 전하형태로 기억,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도체 기억소자의 한 가지이다. 주로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촬영기 등에 이용된다.
CRT(Cathode Ray Tube)
CRT라는 약자로 불려지는 '음극선관'은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화면 출력장치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화면 장치이다. 이는 일종의 진공관 형태의 전자관인데, 후면에 장치된 전자총에서 생성되는 열 전자를 가속시킨 후 형광물질이 발라진 화면에 충돌시켜 이 때 발광하는 빛을 눈으로 볼 수 있게 한다.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데이터를 한 번만 기록할 수 있는 ROM을 말한다. 이른바 마스크(Mask) ROM으로 불린다. 저가로 대량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펌웨어를 다시 기록할 경우 그 전의 PROM은 전혀 쓸모 없게 되므로 버려야 한다. 데이터 기록을 위해 전기적 신호가 사용된다.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데이터를 기록한다는 점에서는 PROM과 같지만, 자외선을 통해 기록된 데이터의 소거가 가능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데이터를 여러 차례 재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PROM을 대체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ROM의 표면 위에는 데이터 소거를 위해 투명 유리가 덮인 부분이 있는데, 부분에 자외선을 쬐어주면 30분 정도면 데이터가 모두 소거된다. 따라서 데이터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평상시는 이 곳에 자외선 차단용 스티커를 붙여 놓는다. 역시 데이터 기록을 위해 전기적 신호가 사용된다.
플래시 ROM(Flash RoM)
현재 사용되고 있는 펌웨어 저장용 소자 가운데 가장 유연한 기능을 가진 기억 소자이다. 플래시(Flash) ROM은 데이터를 소거하고 기록하는 데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며, 데이터의 부분 소거와 부분 기록이 가능하다. 따라서 플래시 ROM의 내부 기억 장소를 블록으로 나누어 각 블록에 각기 다른 기록과 소거 작업을 할 수 있다.
VGA 컨트롤러
그래픽카드의 CPU이다. 프로그램에서 전송된 디지털 영상을 분석하여 색과 모양을 결정하고, 최종 출력장치인 모니터로 보낼 신호를 만들어 낸다. VGA 컨트롤러는 도스 환경의 텍스트 모드와 윈도 환경의 그래픽 모드를 제어하며,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더보드와 교신하고 비디오카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그래픽 컨트롤러, CRT 컨트롤러, 시퀀서, 시리얼라이저, 속성 컨트롤러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그래픽 컨트롤러
마더보드의 버스를 통해 가장 먼저 데이터를 받는 곳으로, 여러 비디오 신호를 제어하고 비디오 RAM에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비디오 RAM으로 기록하기 전에 and, or, xor 등의 연산을 수행하며,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의 복잡한 그래픽을 쉽고 간결한 방법으로 출력하기 위한 가속 연산도 맡고 있다.
비디오 RAM
그래픽 컨트롤러에서 보내진 데이터를 저장했다 다시 시퀀서와 시리얼라이저로 이들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비디오 메모리의 속도와 용량은 그래픽 카드의 성능에 큰 영향을 준다. VRAM, MDRAM, WRAM, SRGRAM 등 비디오 메모리로 사용되는 특수 메모리들은 빠른 속도로 시스템과의 병목 현상을 줄인다. 또한 1024×768, 1600×1280 등의 고해상도 모드에서 트루컬러 등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시퀀서
타이밍 시퀀서라고도 하며, 그래픽카드에서 모든 신호의 타이밍 조절과 비디오 RAM의 제어를 맡고 있다. 또한 비디오 RAM에서 CRT 컨트롤러의 데이터 전송도 담당한다.
시리얼라이저
비디오 RAM에서 가져오는 바이트 단위의 병렬 데이터를 속성 컨트롤러가 처리할 수 있는 비트 단위의 직렬 데이터로 변환한 후 비디오 RAM에서 속성 컨트롤러로 보내지는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한다.
CRT 컨트롤러
모니터로 출력될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흔히 말하는 수평, 수직 동기 신호와 화면을 1초에 몇 번이나 그릴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리플레시 타이밍(Refresh Timing)'을 결정, 제어한다.
속성 컨트롤러
색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색상 테이블을 참조하여 비디오 RAM에서 시리얼라이저를 통해 들어온 그래픽 데이터를 CRT 화면용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속성 컨트롤러는 구체적으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작업을 수행하며, 색상 제어, 줌(Zoom), 패닝(Paning) 기능 등의 제어를 담당한다.
램댁
램댁(RAM DAC)이란 색상 팔레트 정보를 담고 있는 'RAM'과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주는 장치인 'DAC(Digital Analog Converter)'의 합성어이다. 램댁은 색상을 표현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며, 색상 팔레트의 수가 많을수록 다양한 해상도와 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 모니터로 최종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적색의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01100011'일 경우, 색상 팔레트에 있는 정보와비교하여 적색임을 판별하고, 그 색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보내는 작업이 이에 해당한다.
비디오 ROM
컴퓨터를 켜면 가장 먼저 잠깐 나타났다 사라지는 화면이 바로 비디오 ROM에 들어있는 바이오스가 그래픽 환경을 설정하는 메시지이다. 비디오 ROM이 담고 있는 바이오스에는 비디오카드의 모델명과 입출력에 관한 프로그램 등 여러 정보가 담겨 있다. 컴퓨터를 부팅시키면 바이오스는 '포스트(POST)' 과정을 통해 시스템 환경을 설정한 후 컴퓨터의 메모리 맵의 'C000h-CFFFFh'에 위치하게 된다.
울트라 ATA
DMA-33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새로운 하드 디스크 인터페이스로 기존의 E-IDE 방식의 하드디스크에 비해 2배 이상인 초당 33MB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갖는다. 울트라 ATA를 사용하면 하드디스크의 빠른 입출력 속도로 인해 컴퓨터의 전반적인 성능이 크게 향상되며, 조만간 모든 메인보드와 하드디스크가 이를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 방식을 지원한 메인보드의 칩셋과 하드디스크로는 인텔 TX 칩셋과 6월 중 출시 예정인 퀀텀 '파이어 볼 ST'가 최초이다.
아트워크(ArtWork)
메인보드나 그 밖의 전자제품 기판 위의 부품(저항, 다이오드, 컨덴서 등)을 은 구리판이 선을 그리며 부품과 부품상이를 연결해, 하나의 완성된 회로를 만들어 주는 것을 아트워크라 한다. 각 부품을 연결해 만드는 회로를 어떤 경로로, 어떤 방식으로 연결하는지 설계하는 기술은 고도의 기술이며, 잘못된 아트워크는 부품간의 간섭으로 인한 성능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메인보드의 아트워크는 4∼6층 구조로 되어 있어 까다로운 설계를 요구한다.
OCR(Optical Character Reader)
통상 광학식문자판독기라 불리며 인쇄물이나 이미지에 빛을 조사해 반사되는 광선의 양적 차이인 강약을 검출하여 문자를 인식, 판독하는 장치를 말하며 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OCR 프로그램이라 하며, 현재 국내에 잘 알려진 것으로는 '한글 아르미' 등이 있다. 이와 달리 문자가 아닌 바코드를 읽어 내는 것을 OMR(Optical Mark Reader)이라 한다.
TX 칩셋
인텔이 발표한 메인보드 칩셋으로 SDRAM을 지원하며 최대 256MB의 메모리를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기존의 HX, VX 칩셋에 비하여 입출력을 담당하는 I/O 부분의 성능을 강화, 기존 하드 디스크의 데이터 입출력 속도를 20% 정도 향상시켰으며, Mode 5인 울트라 ATA 방식의 하드 디스크를 지원한다. 2개의 칩셋이 한 조를 이루고 있으며, HX 칩셋과 같은 '온 칩-보드' 형식으로 장착된다.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 전송모드의 약어로 통신전송방식 중의 하나. ATM은 한 가닥의 전송로를 여러 대의 단말이 공용해 통신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 어떤 단말이 데이터를 송출 중일 때 다른 복수의 단말이 동시에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식을 말한다. ATM 송출정보는 48바이트의 정보와 5바이트의 헤더로 된 53바이트의 셀 형태로 온라인 전송되며, ATM 교환기도 전송정보를 셀 단위로 교환, 접속하여 패킷(Packet)교환과 같이 일정한 길이 이하의 블록으로 분할해 회선이 비어 있을 때 셀을 전송한다.
커널(Kernel)
OS의 기본 기능을 실행하는 부분. 응용프로그램이나 주변장치의 동작 감시, 디스크나 메모리의 자원 배분, 프로그램의 실행 등과 같은 처리를 담당한다. OS가 멀티테스킹 기능 등을 가져 고기능화되면 모든 것을 한 번에 조정하는 것이 아닌 입출력의 관리나 기기의 제어 등의 기능을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서 모듈화 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이런 모듈 전체를 관리하는 것을 커널이라 한다.
버스 마스터(Bus Master)
확장보드나 소프트웨어가 입출력하는 버스의 점유권을 쥐고 버스를 직접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버스의 데이터 입출력 제어는 CPU에서 일괄 관리하나 주변기기가 고성능화 되면, 대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주고받을 때가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는 CPU의 간섭으로 속도가 느려진다. 그래서 버스 상에서 데이터 전송처리를 일임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확장보드에 탑재하거나,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를 컨트롤하는데, 이를 버스 마스터링 기술이라 한다.
X윈도
유닉스를 채용할 수 있는 워크스테이션에서 화면에 그래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미국 MIT대학에서 개발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의 이름. X위도에서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효율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유닉스 체제의 워크스테이션에서 리눅스 체제의 PC에 이르기까지 다양히 이식되어 사용되고 있다.
AMD(Advanced Micro Devices)
K5 포르세서로 잘 알려진 AMD 사는 1969년 설립된 개인용 및 네트워크 컴퓨터와 통신시장 관련 집적회로의 세계적인 공급업체로 25억불의 매출액과 12,600명의 사원 수를 가지고 있다. 1987년 AMD Korea로 국내에 진출해 있는 AMD 사는 미국 캘리포티아의 AMD 서브마이크론 개발센터에서 설계와 기술 개발을 하고 있으며 올해 독일의 드레스텐에 유럽지역에서는 첫 생산 시설인 Fab 30의 착공을 계획하고 있다. 지난 4월 윈도 호환 MMX 지원 K6 프로세서를 발표하였다.
파티션(Partition)
하나의 디스크를 마치 여러대의 디스크인 것처럼 논리적으로 구분지었을 때, 그 하나 하나의 구획을 말한다. 도스에서는 Fdisk를 사용하여 파티션을 나눌 수 있으며, 일례로 하나의 2.5GB의 하드디스크를 1.2GB의 2개로 파티션을 나누어 마치 2개의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듯이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FAT 형식의 포맷으로 디스크를 사용하면 디스크의 공간 낭비가 심한데, 적절하게 파티션을 잡아 준다면 디스크 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안티에얼리어싱(Anti-Aliasing)
화면에 표시되는 픽셀은 모두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둥근 원을 그려도 깨끗하지 않고 테두리가 거칠어 보인다. 이 때문에 화면에 표시되는 색 가운데 원 모양과 접해 있는 주변의 모든 색들을 약간 혼합해서 색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편법을 사용하는데, 이렇게 하면 저해상도에서도 상당히 부드러운 원으로 보이게 된다.
매핑(Mapping)
매핑이란, 3D 객체에 단순히 색을 입히는 것으로는 아무리 모델링이 잘 되었더라도 모두 똑같은 상자에 색만 다르게 칠해놓은 것으로 보이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적인 사진이나 원하는 모양, 문양, 그림 들을 그대로 각 3D 객체에 입히는 것이다. 3D 객체가 가지고 있는 색이 사람의 피부색이라면, 매핑은 사람에게 옷을 입혀놓은 것이라 보면 된다. 매핑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텍스처 매핑과 밉 매핑을 들 수 있다. 먼저 텍스처 매칭(Texture Mapping)이란 3D 객체에 질감이나 그림, 사진, 문양 등을 입히는 것으로, 보통 매핑이라고 하면 거의 텍스처 매핑을 가리키는 것을 정도로 가장 일반적인 매핑 기법이다. 다음으로 밉 매핑(MIP Mapping)은 텍스처 매핑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텍스처 매핑에 사용될 매핑 데이터가 여러 가지 크기로 변형될 경우 해상도가 바뀌면서 생기는 이미지 일그러짐 현상을 보완해 준다. 밉 매핑 기법을 사용하면 하나의 매핑 소스만을 가지고 여러 가지 크기로 매핑을 하더라도 깔끔한 매핑을 볼 수 있다. 이외에 퍼스펙티브 코렉션(Perspective Correction) 역시 있으면 좋은 기능으로, 매핑시 물체의 기울기를 매핑될 면에 맞춰 조정해 준다.
알파 블렌딩/포깅(Alpha Blending/Fogging)
알파 블랜딩이란 그림이나 3D 객체 등에 투명 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단계로 나눠주고, 이것으로 투명한 상태나 반투명 상태 등을 표현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물이나 얼음, 멀리 있어 잘 보이지 않는 물체 등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포깅은 말 그대로 안개처럼 뿌연 반투명 상태를 만들어주는 것으로, 안개 효과를 낼 때 잘 쓰이는 효과 필터이다. 앞의 모든 기능들은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3D 엑셀리이터에서 지원해주지 않으면 소프트웨어적으로 한꺼번에 모두 표현하기는 어렵다.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 사양에 따른 한계가 있고, 시스템에 따라 성능 차이가 크다. 물론 하드웨어에서 직접 처리할 경우에는 시스템의 성능에 상관없이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386에서도 MPEG카드만 있으면 비디오 CD를 무난하게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POP(Post Office Protocol)
POP는 인터넷 전자우편 메일 박스에 접속하기 위한 가장 대표적인 프로토콜이며, 현재 POP3 버전이 통용되고 있다.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TCP/IP 프로토콜의 한 부분인 메일 전송 규약으로, 메일 파일의 형식과 전송 방법을 지정한다.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IMAP는 POP3 프로토콜처럼 원격 서버에 도착한 메일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서버에 도착한 메시지의 헤더만을 다운 받거나 다중 사용자 메일 박스를 지원하는 등 POP3 프로토콜에서는 없는 다양한 옵션들이 지원되는 장점이 있다.
MIME(Mu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
바이너리 전자우편 첨부(Attach)시 웹브라우저상에서 텍스트뿐만 아니라, 그래픽, 사운드, 멀티미디어 파일 등을 웹브라우저로 확장시키는 기술
Uuencode(*.uue)
Uuencede 프로그램에 의해 문서 파일로 바뀐 2진 파일
도트
모니터상에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서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색을 이용한다. 즉, 삼원색을 세 개의 튜브로 연결해 하나의 도트(dot)로 보여지는 것인데, 이 도트들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선명한 화질이 제공된다. 이 수치는 도트 피치로 표시되며,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모니터는 보통 0.25∼0.28mm 도트 피치이다.
주파수
모니터 주파수는 시스템내 장착된 비디오 카드의 사양과 관련이 깊기 때문에, 구입하기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이다. 모니터에서 생기는 대부분의 문제는 비디오 카드가 고해상도 주파수를 지원하는 반면, 모니터는 낮은 주파수를 지원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근래에 출시된 비디오 카드라면, 15∼17 인치의 모니터를 사용해도 큰 무리는 없다.
리프레시율
리프레시율은 해상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좋은 모니터일수록 높은 리프레시율을 지원하는데, 보통 1024×768/75Hz 이상이면 요즘 출시되는 비디오 카드에서 본래의 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다.
편평도
말 그대로 모니터 화면이 얼마나 평평한가를 정하는 치수이다. 모니터 화면이 평평할수록 좋은데, 모니터의 곡면이 굽을수록 화면 양쪽에 끝이 일그러져 보이는 현상이 생긴다.
드라이버
모니터의 드라이버는 제작사의 것으로 셋팅되어야 한다. 도스 시절에서는 비슷한 사양의 드라이버를 골라 설치해도 되었지만, 윈도 95 사용자가 증가되는 요즘에는 다른 사양의 것을 설치할 때, 화면이 흔들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 제작사의 드라이브를 사용해야 주파수, 리프레시율, 해상도,기타 전력 지원 소프트웨어들을 조정하기 용이해 진다.
셰어웨어
새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신망 등에 배포하고 사용자들이 사용 후 마음에 들었을 때 개발자에게 등록하여 부가적인 기능이나 사후 서비스를 받는 방식으로 배포되는 프로그램. 테스트를 목적으로 하는 베타판이나 아무 대가 없이 제공되는 프리웨어와는 다르다.
런처(Launcher) 형식
'로켓의 발사대' 등의 의미를 갖고 있지만, 여기서는 파일 관리 프로그램에서 지정한 프로그램이나 폴더를 곧장 열 수 있는 단축 버튼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도구 모음줄에 있는 계산기 버튼이 바로 실행시키는 기능을 지원한다면, 이 버튼이 런처 버튼인 것이다.
드래그&드롭
마우스로 끌어다 다른 곳에 놓는 작업을 말한다. 윈도 95 등의 그래픽 사용자 환경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방법으로, 한쪽 폴더에 있는 개체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누른 채 다른 위치로 끌어다 버튼에서 손을 놓으면 개체가 이동, 또는 복사된다.
코렐 드로
개나다 코렐 사에서 제작한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비트맵 방식의 그래픽 에디터와는 달리 베지어 곡선을 채용하였다. 포토숍 등의 비트맵 그래픽 에디터가 도화지에 물감으로 그림을 그려나가는 방식이라면, 코렐 드로는 색종이나 색실을 붙여나가는 작업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필터
포토숍 등의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이미지 변형에 사용하는 프러그인.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픽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각각의 첨의 위치와 색상을 변형시키면 변화된 형태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유명한 필터로는 에일리언스킨(AlienSkin), KPT, 갤러리 이펙트(Gallery Effect) 등이 있다.
캡처
현재 실행 중인 화면을 그림이나 글자로 저장하는 것. 통신 중이라면 글자도 별도의 텍스트 파일로 저장할 수 있으며, 현재 모니터에 나타난 화면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우리말로 '갈무리' 라고도 한다.
Mdir
최정한 씨가 만든 도스용 파일 관리 프로그램. Mdir은 ?글, 이야기와 함께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로 뽑힌 바 있으며, 작은 용량과 편리한 기능으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셰어웨어다.
노턴 커맨더
노턴 유틸리티로 유명한 시맨텍에서 만든 파일 관리 프로그램. 도스상에서 두 개의 창을 열어놓고 작업할 수 있으며, 압축, 통신 등 다양한 기능으로 사랑받았던 프로그램이다.
JPG, GIF
이미지 파일의 형식으로, 높은 압축률로 인해 인터넷 등 통신에서 많이 쓰이는 방식이다. JPG는 이미지의 질을 조정할 수 있어 작은 용량의 큰 그림을 전송할 수 있고, GIF는 애니메이션과 배경 제거 등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다.
조합형
한글을 구현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조합형은 완성형과 함께 우리나라의 한글 표준 코드이며, 각 글자의 초성, 중성, 종성을 결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조합하는 방식이므로 풍부한 한글 구현이 가능하다. 반면 완성형은 고정된 형태의 글자꼴을 갖고 있으며, 사용 가능한 글자 수가 제한되어 있다.
레지스트리
윈도 95에서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에 관계된 사항을 디렉토리 구조로 정리한 데이터. 윈도 3.1에서는 관련 정보를 텍스트 형식의 INI 파일로 정리하였으나, 로딩 시간이 길고 128줄 이상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윈도 95에서는 데이터 형식으로 바꿨다.
비트맵
이미지를 이루는 각각의 점들의 연속을 말한다. 이미지를 확대하면 사각형의 점들로 보이게 되는데, 이 가각의 점들이 모여 이미지를 이루는 방식이다. 포토숍 등 대다수의 이미지가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각 픽셀 계산으로 이미지를 변형한다.
플러스!
마이크로소프크 사에서 윈도 95용으로 별도 판매하는 프로그램. 플러스에는 전화 접속 네트워킹 서버 기능과 데스크톱 테마, 디스크 공간 늘림 3 등 윈도 95보다 확장된 기능들이 제공된다.
다이렉트X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 멀티미디어 수행 능력 강화를 위해 하드웨어들을 직접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게 만든 드라이버로, 다이렉트 드로, 다이렉트 사운드, 다이렉트 3D 등으로 분류된다. 윈도용 게임에서 필수적이다.
AVI / MOV
MOV와 함께 동영상 파일의 선두 주자로 꼽히는 파일 형식. 이 파일을 보기 위해서는 비디오 포 윈도(Video for Windows)를 설치해야 하며, 윈도의 매체 재생기를 통해 플레이된다. 참고로, MOV 파일을 보기 위해서는 퀵 타임 플레이어가 필요하다.
DLL / VBX
프로그램에서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 제작하는 라이브러리들이다. DLL(Dynamic Link Library)은 윈도에서 공유하는 자원들이며, VBX는 비주얼베이식에서 제작한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스크립트다.
노턴 크래시 가드
윈도의 프로그램들이 충돌하는 것을 막아주는 시스템 프로그램이다. 여러 프로그램이 라이브러리 등 자원을 공유하게 되면 충돌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런 사태를 미연에 방지해 준다.
백업
중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안정성이 좋은 다른 저장 매체로 옮겨 보관하는 것. 이전의 백업은 단순 보관을 목적으로 테이프 백업 등의 장비를 사용했으나, 중요한 데이터의 안전을 위해 일반 사용자들도 다른 디스크에 사본을 남겨두는 것이 좋다.
바이오스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펌웨어로서 하드웨어의 각 부분을 통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ROM에 저장된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제품들이 플래시 ROM을 사용하므로 사용자도 손쉽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SOS 메뉴
윈도 95가 오동작 중이거나 수행 중인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할 때 사용하는 메뉴. 키보드에서 <Alt+Ctrl+Del> 키를 동시에 누르면 나타나는 메뉴로, 이 메뉴가 나타난 상태에서 다시 한 번 같은 키를 누르면 윈도가 재시작된다.
FTP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파일을 전송하는 규약이다. 인터넷에서 바이너리 파일을 주고받기 위해서는 바이너리 자료 위주의 FTP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파일을 자신의 컴퓨터로 다운로드해야 하는데, 이 경우 최소한 3대의 컴퓨터에서 파일 교환이 이루어진다.
서버/클라이언트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자료를 제공하는 쪽이 서버, 자료를 제공 받는 쪽이 클라이언트가 된다. 프로그램에서도 서버용과 클라이언트용으로 따로 나뉘는데, 예를 들어 FTP 프로그램으로 파일을 전송 받을 때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된다.
윈속
'Windows Socket'의 약자로, 윈도에서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 구동된다. 윈도 3.1에서 전화를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라면 반드시 트럼펫 윈속이나 트윈속(Twinsock) 등의 윈속프로그램을 띄어야 하며, 윈도 95에서는 전화접속 네트워킹에 내장되어 있다.
IRC
'Internet Relay Chatting'의 약자로, 인터넷상에서 즐기는 채팅을 총칭한다. 초기의 IRC는 단순 텍스트 위주의 채팅이었으나, 최근에는 가상 사회를 건설하는 시뮬레이션까지 가미되어 인터넷의 기술을 한층 향상시키고 있다.
액티브 무비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 만든 멀티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3.0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것을 설치하면 매체 재생기의 '장치' 메뉴에 'Active Movie' 항목이 추가되어 MP2 파일과 MPEG, 비디오 CD의 DAT 파일까지 재생이 가능하다.
어태치(Attatch)
인터넷상에서 메일을 보낼 때 문서를 함께 보내는 것. 어떤 메일 프로그램이든지 이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이 있는데, 어태치(Attatch)되는 문서는 바이너리 형태로 전달된다.
유즈넷
User's Network에서 파생된 말로, '사용자들의 네트워크'라는 의미로 쓰이는 수많은 토론 그룹들의 모임이다. 유즈넷 토론 그룹을 보통 뉴스그룹이라고 말하며, 뉴스그룹 내에서의 개인적인 기고를 포스팅(Posting)이라고 하고, 구독을 아티클(Atricle)이라고한다.
푸시 기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직접 취합하는 브라우징 개념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방송처럼 뉴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TV나 라디오 등의 전파 방송과 다른 점은 사용자가 미리 원하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플러그인
웹브라우저의 기능을 추가시키는 서브프로그램들로, 브라우저 자체 내에서 지원하지 못하는 기능들을 추가해주는 기능을 한다. 웹브라우저 안에서 실행되는 프러그인과는 별도로 외부 프로그램이 호출되어 나타나는 플러그인을 플러그온(Plug-on)이라고도 한다.
VRML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의 약자로, 실제 물체나 상황과 비슷하게 3차원으로 제공하는 모델링 언어이다. VRML은 사용자들이 3차원적인 공간을 느끼도록 해주므로 웹상에서 특수한 효과를 위해 사용한다.
Z모뎀
PC통신 등에서 사용되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의 하나. X모뎀이나 Y모뎀, 커미트(KERMIT) 등에서 부족했던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송신하는 데이터 길이의 단위는 1024 바이트이며, 옵션으로 32비트 길이의 CRC를 사용할 수 있다.
TCP/IP
'Transfer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TCP는 파일 전송시의 헤더 및 데이터 비트에 대한 규약이며, IP는 어드레스를 알아내는 방법에 대한 프로토콜이다.
메타 검색엔진
야후, 알타비스타 등 기존의 검색엔진들을 모아 종합적인 검색이 가능하도록 만든 검색엔진. 메타 검색엔진은 새로운 검색엔진이 아니라 기존 엔진의 특정 부분을 차용하여 한 번에 여러 검색엔진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태그
인터넷 홈페이지를 만들 때 사용되는 부호. HTML 문서는 기본적으로 텍스트 문서이기 때문에 표현할 수 있는 문단이나 표 등의 부호 역시 텍스트가 사용된다. 태그는 '<>'로 둘러싸인 기호이며, 사용자가 직접 태그를 입력하지 않는 오소링 프로그램이라도 완성된 HTML 문서에는 태그가 삽입된다.
WYSIWYG
'What You See Is What You Get(보이는 대로 얻는다)'는 뜻으로, 초기 워드프로세서부터 생긴 말이다. 텍스트 위주의 워드프로세서에서는 출력물과 모니터에 나타나는 작업화면이 서로 다른 데서 생긴 말로,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What You Think Is What You Get(생각한 대로 얻는다)'는 단어까지도 생겨났다.
URL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자로, 인터넷상에서 원하는 문서를 찾아가기 위한 주소로 사용된다. URL은 http://, ftp://, gopher://, news:// 등을 포함한 완전한 주소로서 사용된다.
컴퓨서브
미국의 대표적인 온라인 서비스 업체. 다양하고 폭넓은 서비스, 많은 정보로 해외에서도 인기가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으로까지 사업을 확장했으며, 뉴스 캐스팅 등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비디오 포 윈도
AVI 동영상 파일을 감상하는 데 필요한 드라이버이다. 별도의 뷰어가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윈도의 매체 재생기에서 수행되므로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의 문서 공유가 자유롭다.
시뮬레이션
전투기나 탱크 등을 모의 조정을 하는 게임으로, 많은 하위 장르를 갖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장르는 F-22나 아파치 같은 군사 무기를 조정하는 비행 시뮬레이션이며, 일정 기간 동안 캐릭터를 성장시키는 육성 시뮬레이션, 주어진 공간 안에서 전투를 벌이는 전략 시뮬레이션, 국가나 도시를 대상으로 경제를 책임지는 경영 시뮬레이션 등이 있다.
SRPG
시뮬레이션과 롤플레잉이 결합된 게임 장르. 최근의 게임들은 하나의 전형적인 장르만 고집하지 않고 다른 장르와 복합되어 새로운 게임을 만들어내는 추세다. SRPG는 롤플레잉 안에 워 크래프트와 같은 전략 시뮬레이션 요소가 가미되어 게이머가 군대나 조직을 이끌고 임무를 달성하게 된다.
턴 방식
바둑이나 장기처럼 한 번씩 순서를 바꾸어가며 공격을 하는 게임 방식. 삼국지, 파워 돌이 대표적인 예이다. 즉, 게이며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캐릭터를 이동시키거나 공격한 후 턴을 종료하면 상대방이나 컴퓨터가 대응하며, 턴이 이루어지는 동안 생각할 시간이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모든 환경이 시간에 따라 계속 바뀌는 방식을 실시간(리얼타임) 방식이라 한다.
WinG
윈도 3.1 환경에서 빠른 게임 스크롤을 위해 만들어진 드라이버. 윈도 3.1의 경우 시스템의 문제로 빠른 그래픽 처리가 어렵기 때문에 단순한 퍼즐 위주의 게임만 가능했지만 WinG를 사용하면서 어드벤처나 슈팅 같은 빠른 스크롤의 게임도 할 수 있게 되었다. 윈도 95에는 자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어드벤처 게임
어드벤처의 사전적 의미는 '모험'이다. 어드벤처 게임은 정해진 줄거리에 따라 주인공을 움직여 결론에 도달하는 방식의 게임으로, 중간에 퍼즐이나 슈팅, 대화가 등장하여 게임을 복잡하며 다양한 결론으로 이끈다. 대표적인 어드벤처 게임으로는 시에라 사의 스페이스 퀘스트,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가 있다.
인터랙티브
인터랙티브는 양방향성을 뜻하는 말로, 멀티미디어 타이틀이나 인터넷 등에서 자신의 의사가 반영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멀티미디어 타이틀에서 사용자가 어떤 버튼을 클리하느냐에 따라 전개가 달라지는 것이나 인터넷 뉴스그룹에 글을 올리는 것 등이 좋은 예이다.
폴리곤
다각형을 뜻하는 말로, CG 등에서 3D 데이터를 표시하는 데 사용하는 삼각형을 지칭한다. 폴리곤을 이용하면 표현하려는 물체를 입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화면상에서 다양한 시점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렌더링
3D로 물체를 작성한 후에 표면에 질감을 주는 작업을 말한다. 렌더링은 주로 곡면의 질감이나 텍스처 등을 나타내기 위해 쓰이므로, 렌더링이 잘 된 그래픽은 보다 정교한 표현이 가능하다.
슈팅게임
아케이드 게임의 한 부류로, 정해진 시간이나 거리 내에 나타나는 적들을 총이나 미사일로 파괴하는 게임을 통칭한다. 발매되는 게임 중 가장 많이 선보이고 있는 장르이며, 최근에는 단순한 슈팅이 아닌 어드벤처나 시뮬레이션과 결합하여 반복의 지루함을 없애는 추세이다.
레드얼럿
웨스트우드 사에서 제작한 전략 시뮬레이션. 전편인 커맨드&퀀커의 후속편으로 국내에서는 '적색경보'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전편에 이어 그래픽이 정교해졌으며, 등장하는 유닛의 종류나 인공지능이 진보되었다. 이 게임은 랜(LAN)이나 모뎀을 이용하여 다수의 게이머와 실력을 겨룰 수 있다.
버추얼 파이터
세가 사에서 제작한 격투용 게임. 배경과 모든 캐릭터가 3차원 폴리곤으로 제작되어 사실적이며, 속도가 빨라 자연스런 움직임을 연출하는 게임이다. 오락실용으로는 3탄까지 제작되었으며, 새턴용으로도 이식되었다.
새턴
세가 사에서 제작한 가정용 오락기. '새턴'이라는 이름은 개발 당시의 프로젝트명이기도 하며, 세가 사의 여섯 번째 게임기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도 한다. 1994년에 발매된 이 게임기는 32비트 하드웨어로 TV에 연결하여 조이스틱과 비슷한 패드로 게임을 즐긴다.
윙커맨더 시리즈
오리진 사에서 제작한 우주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 현재 시리즈 4편까지 판매되고 있다. 특히 4편은 CD 6장의 방대한 용량으로, 게임 제작을 위해 할리우드 배우를 고용하여 한 편의 영화까지 만들었으며, 특수 효과와 사살적인 그래픽으로 우주 비행 시뮬레이션의 새 장을 연 게임으로 평가받고 있다. 영화 <윙커맨더> 4편에는 <스타워즈>의 마크 헤밀이 출연한다.
서브워 2050
마이크로프로즈 사에서 발표한 수중 시뮬레이션으로, 미래의 잠수함을 타고 임무를 완수하는 게임이다. 수중 시뮬레이션으로는 몇 안 되는 게임이며, 물속 환경의 처리가 독특하고 효과음도 만점이다.
트레이
사용하려는 CD-ROM을 사용자의 손에서 회전하는 스핀들(Spindle) 위로 옮겨놓는 일을 맡는다. 전면부의 이젝트 버튼을 누르면 CD-ROM 드라이브 밖으로 나오며, 트레이 위에 CD-ROM을 올려놓고 다시 버튼을 누르면 스핀들 위로 CD-ROM을 이동시킨다. 요즘 8배속 이상 제품 중에는 드라이브를 수직 장착할 수 있는 제품도 있는데, 이들 제품은 트레이에 디스크 훅(Disk Hook)을 4개 장착해 트레이와 CD-ROM을 고정시킨다.
트레이 구동 모터
트레이를 열거나 닫는 동작을 담당하는 모터이다. 트레이의 밑부분에 기어 홈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기어 홈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기어를 모터와 벨트로 연결해 구동한다.
스핀들
스핀들 구동 모터가 주는 회전력을 CD-ROM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트레이가 드라이브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CD-ROM 중앙 부분에 있는 지름 1.5cm의 구멍 밑에서 스핀들이 올라와 트레이와 CD-ROM의 간격을 벌려 회전시 접촉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빠른 속도로 CD-ROM을 회전시키려면 CD-ROM의 고정이 매우 중요한데, 드라이브 안의 스핀들 위쪽에는 고정판이 있어서 스핀들과 고정판 사이에 CD-ROM을 고정시키게 된다.
스핀들 구동 모터
CD-ROM의 회전을 위해 스핀들로 회전력을 주는 역할을 한다. 8배속보다는 16배속이 단위시간당 많은 데이터를 읽어야 하므로 분당 회전수가 많은데, 16배 속의 경우 3,600∼4.200rpm의 빠른 회전수를 가지고 있다. 배속이 높을수록 금색의 웜(Worm)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경향은, 이처럼 회전 스피드가 빨라 트랙을 찾기가 더 힘들기 때문이다.
헤더
CD-ROM에 기록되어 있는 피트(Pit)와 랜드(Land)를 판별해 데이터를 읽는 역할을 한다. 헤더의 구성은 크게 '갈륨 아세나이드 레이저 다이오드'와 빛을 감지하는 '포토 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 그럼 CD-ROM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원리를 알아보자. 1.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생된 갈륨 레이저는 단방향 반사 프리즘, 대물 렌즈, 사준 렌즈를 거친 후 집광 코일에서 더욱 집중화되어 디스크 표면에 투사한다. 2. CD-ROM 표면에 저장된 0과 1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는 홈으로 패인 피트(Pit)와 평평한 랜드(Land)로 구성되는데, CD-ROM 표면으로 투사된 레이저는 피트에서는 분산되지만, 랜드에서는 다시 반사되어 단방향 프리즘을 거쳐 포토 다이오드로 되돌아온다. 3. 반사되어 돌아온 빛 펄스들은 포토 다이오드에서 전압 펄스로 변환되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2진수 값으로 나타난다.
헤더 이동 모터
헤더는 CD-ROM의 중심부에서 바깥쪽까지 기록된 데이터를 모두 읽어야 하므로 앞뒤로 이동해야 하는데, 이런 헤더의 이동을 맡는 것이 바로 헤더 이동 모터이다. 헤더는 대체적으로 2개의 샤프트에 지지되어 있고, 기어로 연결된 모터 구동력으로 샤프트 위를 앞뒤로 이동한다.
CD-ROM 인터페이스 보드
과거에는 CD-ROM을 설치하려면 전용의 인터페이스카드를 필요로 했으나 지금의 CD-ROM은 이런 인터페이스를 모두 CD-ROM 하단부에 내장하고 있어 메인보드에 작접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보드는 헤더가 읽은 데이터를 전송 받기 위해 헤더와 얇은 두께의 필름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단자
40핀의 단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CD-ROM 드라이브와 PC 사이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드라이브가 EIDE 방식인 경우 40핀 IDE 케이블을 이용해 메인보드에 연결하면 된다.
기계어(Machine Language)
컴퓨터가 알아 듣고 처리할 수 있는 언어이다. 어셈블리어나 고급언어를 이용하여 작성한 프로그램은 컴파일러라는 독특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계어로 바뀐다.
기본메모리(Convention Memory)
도스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사용하는 메모리의 640KB 영역을 말한다.
개인용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
일반 사용자들이 개인적인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하는 컴퓨터를 말한다.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컴퓨터란 바로 이 개인용 컴퓨터를 의미한다.
경로(Path)
현재 디렉토리 위치와는 상관없이 탐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경로를 지정한다."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한글 프로그램이 있는 디렉토리를 경로를 지정해 두면 사용자는 굳이 한글 프로그램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어디서든지 그 프로그램을 실행시킬수 있게 된다.
광역통신망(WAN : Wide Area Network)
한 국가 또는 전세계를 연결하는 것과 같이 아주 넓게 분포한 컴퓨터 연결망을 말한다.
고급언어(High-level Language)
학원같은 곳에서 컴퓨터 기초를 배우면 반드시 설명해 주는 단어이다. 프로그램을 코딩(Coding)할 때는 컴퓨터가 알아 듣는 언어로 코딩해야 하는데, 이런 언어에는 고급언어와 저급언어가 있다. 고급언어란 각종 명령이 영문자나 간단한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사람들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말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베이식(Basic), 파스칼(Pascal), C언어등이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윈도우즈와 같이 화면에 나타난 그림을 마우스로 선택함으로써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는 사용환경을 말한다. 일일이 명령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가까운 거리에 있는 여러 대의 컴퓨터 장비를 연결하여 서로 자료를 주고 받는 등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만든 것이다.
네트워크(Network)
데이터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장치, 전송장치, 교환장치, 그리고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 선으로부터 구성된 연결망이다.
나노초(Nano Second)
1조분의 1초
다중작업(Multi-Tasking)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한꺼번에 실행하는 것이다. 윈도우즈를 사용하면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이점 중의 하나이다.
바코드(Bar Code)
굵기와 간격이 다른 세로 막대로 이루어진, 상품 정보를 알려주는 코드이다.
배치파일(Batch File)
여러개의 명령어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도록 명령어를 연결해서 기록해 놓은 파일이다.
버그(Bug)
프로그램이나 컴퓨터 장치를 사용하는 도중에 생기는 이상현상으로 컴퓨터 작동을 방해하는 전기적, 기계적, 또는 전자적인 결함이나 코딩 과정에서 일어나는 오류를 말한다. 이 말은 옛날에 컴퓨터 회로 기판에 벌레가 붙어서 타죽은 바람에 컴퓨터 작동이 멈추었다는 것에서 유래 되었다.
비트(Bit)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정보 표시의 최소 단위로, Binary digit의 합성어이다. 비트는 2진수 처리의 기본 단위로 0과 1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32비트는 2진수 정보 32개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다.
백업화일(Backup File)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여 원본 파일을 똑같이 복사해 둔 파일을 백업 파일이라고 한다.
BPS(Bits Per Second)
1초 동안 몇 개의 비트가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전송 속도 단위이다. 통신이나 모뎀 장치 등에서 사용된다.
버스(Bus)
여러 장소로 정보를 전송할 경우 회로 구조가 간단하도록 설정된 정보 전송 통로를 말한다.
밴(VAN:Value Added Net-work)
간단히 말하면 천리안이나 하이텔 같은 통신 서비스가 밴의 일종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순수 통신 서비스 이외에 주식 시세나 승차권 예매, 홈뱅킹 등의 부가 가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이다.
부트섹터(Boot Sector)
컴퓨터 시동시 시스템 디스크를 찾기 위하여 참조하는 디스크의 처음 영역이다. 이 부분이 정상이어야 부팅 디스크로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디스크(System Disk Program)
컴퓨터의 기본 운영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러니까 도스가 바로 시스템 프로그램인 셈입니다.
시스템 파일(System File)
시스템을 부팅시키는데 필요한 정보를 가진 파일이다. 도스에서 IO.SYS, MSDOS.SYS, COMAND.COM, 이 이에 해당된다.
스캐너(Scanner)
종이에 기록된 글이나 그림을 그대로 읽어서 컴퓨터의 그림 파일로 만들어 주는 장치이다.
실행파일(Executable File)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파일이다. 실행 파일들은 확장자가 EXE, COM, BAT 등으로 붙는다.
씨디롬(CD-ROM : CompactDisk Read-Only Memory)
콤팩트 디스크에 음악 대신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정보를 기록해 놓은 것으로 약 600메가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자성을 이용하는 일반 디스크와는 달리 광학적인 방법을 이용하므로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하다. 가격 또한 용량에 비해 저렴한 편이다.
아날로그(Analog)
정보 표현 방식의 하나로 디지털과 상반되는 개념이다. 전파의 파형이 대표적인 아날로그 신호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네트(Internet)
전세계의 수많은 컴퓨터를 연결해서 정보를 자유롭게 주고 받을수 있게한 컴퓨터 통신망을 의미한다. 정보란 컴퓨터와 관련된 정보 뿐만 아니라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지식이다. 인터넷은 원래 1969년 미국 국방부가 주도해서 네 개의 컴퓨터 센터를 연결한 것이 시초이다. 오늘날 전세계 157개 국가의 거의 모든 대학과 연구소, 국가 기관 및 기업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다.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특별한 작업을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글 작성프로그램, 자료 처리프로그램, 숫자 계산기프로그램, 그래픽프로그램, 음악프로그램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유닉스(UNIX)
연구소에서 개발한 운영체제로 여러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운영체제이다.
업로드(Upload)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의 파일 자료를 호스트 컴퓨터로 보내는 것을 업로드라고 한다.
어셈블리(Assembly)
저수준 언어를 이용해 컴퓨터에게 지시하는 방법으로, 이 언어는 기계어와 고급 언어 중간에 위치한다.
에뮬레이터(Emulator)
개인용 컴퓨터에서 통신을 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프로그램이나 장치를 말한다. 통신 프로그램으로는 이야기, 하이콤, 슈퍼세션등이 있다.
아이콘(Icon)
GUI 환경에서 사용되는 작은 그림이다. 아이콘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한다.
주변기(Peripheral Equipment)
컴퓨터 본체, 모니터, 키보드 이외의 모든 장치를 주변기기라고 한다. 마우스, 프린터, CD-ROM 드라이버 등이 모두 해당된다.
채팅(Chatting)
컴퓨터 통신 가입자들끼리 키보드를 이용하여 서로 대화를 나누는 것을 말한다.
캐시(Cache)
빠른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여 정보의 흐름을 빠르게 해주는 것을 캐시라고 한다. 그리고 캐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메모리를 캐시 메모리라고 한다.
캡쳐(Capture)
화면에 나타난 내용을 디스크 장치에 파일로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갈무리라는 말로 많이 사용된다.
코프로세서(Coprocessor)
컴퓨터 시스템에서 부동 소수점 이하의 데이터를 빠르게 계산하기 위한 보조장치이다.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보조 기억 장치로 많이 사용된다. 보통 5.25인치와 3.5인치 크기의 플로피 디스크가 사용된다. 하드디스크와는 다르게 플로피 디스크는 드라이브에서 빼낼 수 있으므로 이동이 가능하다.
프로그램(Program)
컴퓨터가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놓은 명령어의 집합을 말한다.
패스워드(Password)
암호이다. 컴퓨터 통신 사용자들은 패스워드를 아무도 모르게 간직하고 있어야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비밀을 보장받을 수 있다.
프로토콜(Protocol)
통신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통신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부호나 상징 체계를 말한다.
프로그래머(Programmer)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작성하여 시험하는 사람을 말한다
하드 디스크(Hard Disk)
보조 기억 장치로 많이 사용된다. 플로피 디스크에 비하여 수백배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지만 드라이브와 디스크가 한 몸을 이루고 있으므로 휴대할 수 없다.
확장 슬롯(Extension Slot)
컴퓨터의 메인 보드와 다른 카드 장치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메인보드에 붙어 있는 긴 접속 부분이다. 보통 메인 보드에는 5~8개 정도의 확장 슬롯이 있다.
하드웨어(Hatdware)
전기나 기계적인 장비들과 같은 물리적인 기기들을 말한다. 소프트웨어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모니터, 본체, 키보드 등을 말한다.
데이터 통신
컴퓨터의 단말기를 접속시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메시지를 교환 하는 것을 말한다
전기통신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송/수신자간에 자료를 주고 받는 행위를 일컫는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은 전기 통신의 일부라고 할수 있다.
듀플렉스(Duplex)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으로는 전이중과 반이중방식의 두 가지가 있다.전자는 키보드 입력시 입력받은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지 않고 상대방으로 송신한 다음 상대방으로부터 재송신 한 것을 받아 화면에 표시한다. 후자는 키보드에서 입력받은 내용을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대 측에 전송하게 된다. 모뎀통신에서는 전이중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패킷교환
기존의 공중통신 사업자인 전화회사로부터 회선을 빌려 여기에 컴퓨터의 일종인 패킷교환기를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수의 사용자를 지원함은 물론 축적전송, 프로토콜 변화, 코드변환 등의 새로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CCITT(International Telegraph & Telephone Consultative Committee)
국제 전신전화 자문위원회의 약어로 CCITT 인터페이스는 UN의 통신에 관한 표준으로 미국의 공업협회(EIA) 표준인 RS-232B 또는 RS0232C와 비슷하며, 데이터 단말장비와 데이터통신 장비 사이에 필요한 접속기이다.
PSTN(Public Switched Network)
교환기를 통해서 가입자들 사이를 연결해 주는 전화망으로 일반 가정용 전화가 이에 해당된다.
ISDN(Integrated Services Network)
음성정보나 비음성정보를 모두 디지탈 신호로 통일시켜 하나의 번호체계로 전송 및 교환 등의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미래의 통신망이다.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으로 0.1km ~ 10km정도 떨어진 지역간에 정보 통신 지원을 공유하기 위한 사설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장거리 통신망에서 요구되는 복잡한 전송경로 및 제어알고리즘 등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들에게 경제적인 통신업무를 제공할 수 있다.
직렬방식
통신방식에는 직렬 방식과 병렬 방식이 있다. 이중 직렬방식이란 한 바이트를 각각의 비트로 나누어 한 비트씩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을 알리는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가 필요하다.
RS-232C 커넥터
모뎀과 터미널간의 연결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컴퓨터와 터미널간 그리고 PC와 PC간의 연결에도 널리 쓰인다. 25개의 핀이 있지만 병렬 전송이 아닌 직렬 전송 방식으로 사용한다. 1과 0을 구분하기 위해 -15V -1, + 15V = 0으로 전송선을 통해 전압이 전달되는 전압구동 방식을 사용한다.
포트(port)
문자 그대로 컴퓨터와 주변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창구를 말한다. 병렬 포트와 직렬 포트가 있으며, 병렬포트는 프린터를, 직렬포트는 RS-232C 등을 부착하여 모뎀이나 마우스, 다른 PC와의 연결에 사용된다. 직렬포트는 보통 COM1, COM2로 부른다.
패리티비트
데이터 통신중 외적인 요인에 의하여 신호의 흐름을 방해받아 상대에게 정확한 데이터를 전달하지 ㅇ을 수 있다. 패리티는 이렇게 잘못 수신된 데이터를 발견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의 전송시에 패리티 비트를 첨가하여 보내게 된다. 이것을 무시하는 것이 "NONE"이고 전체 8비트에서 1의 개수가 짝수가 되도록 패리티 비트를 설정하는 것을 EVEN, 홀수가 되도록 하는 것을 ODD라고 한다.
동기 방식과 비동기 방식
모뎀은 전송 방식에 따라 동기, 비동기방식으로 나뉜다. 비동기 방식은 일련의 데이터가 전송될 때 전송 바이트 맨앞에 스타트 비트를 두고 바이트 끝에 스톱 비트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스타트 비트가 수신되면 그 다음 비트부터 데이트 비트로 처리되고, 스톱 비트가 수신되면 그때까지의 비트를 묶어 하나의 바이트로 처리하게 된다. 전송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2400bps이하의 중저속 모뎀에서 주로 이용된다. 동기식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양쪽의 모뎀을 일정한 속도로 동기화시키는 방식이다. 스타트비트와 스톱비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송 속도가 빠르며, 데이터 전송의 오류를 발견하기 위해 CRC를 붙여서 전송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전용선을 사용해야 하므로 회선 비용이 많이 든다.
CRC(Clclic Redundancy Check)
송신한 각 문자의 총계와 이 합을 수신한 문자의 총계와 비교하는 것으로 만일 이 두 총계가 일치하지 않으면 에러가 발행한 것이 되어 해당 데이터 블록을 자동적으로 재송신한다.
MNP(Microcom Networking Protocol)
마이크로콤사가 설계한 통신 프로토콜로 1단계에서 6단계로 이루어져있다. 특히 통신시 자동 오류 수정과 자료 압축 기능을 펌웨어로 구현하게 함으로써 고속 고품질의 통신이 가능하다. MNP모뎀은 바로 이러한 MNP 프로토콜을 가지는 모뎀으로 자료를 압축해서 보내므로 2400의 모뎀이 실지로는 4800bps의 전송률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통신하는 양쪽 모두가 MNP 모뎀이라야 최고 속도를 낼 수 있다.
스크립트언어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사용자 언어로 작성한 짧은 프로그램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운영체제의 명령어 해석기로 작성한 쉘스크립트나 통신 프로그램에서 자동 접속을 위한 키메크로 등도 일종의 스크립트이다.
전자사서함 서비스
기존의 통신 수단인 우편, 전화, 텔렉스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통신 기술중의 하나이다. 즉 우체국의 사서함 원리를 그대로 컴퓨터에 옮겨 이용자가 컴퓨터 사서함을 할당받은후 통신망을 통하여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컴퓨터에 저장하면 상대방이 언제든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받아볼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전자회의
주 컴퓨터에 여러개의 전자회의 공간을 할당하고 특정한 PC 통신 가입자들이 회원을 구성하여 일정한 주제에 대해 컴퓨터로 메시지를 교환하여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다운로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통신 서비스 사용자가 모뎀을 통해 전송받아 오는 것을 말한다.
56K Line
56,000 bits-per-second의 전송속도를 지닌 전화선을 말한다. 이 속도에서는 1 Megabyte의 전송 시간이 3분밖에 안된다. 14,400 bps 모뎀보다 4배가 빠르다.
A.D.N.(Advanced Digital Network) -- 56K Line과 같다.
Archie
Anonymous FTP에서 원하는 파일들을 찾아주는 도구 또는 소프트웨어이다. 정확한 파일명이나 파일의 요약 설명을 미리 알아야 한다.
ARPANet(Advanced Research Projects Administration Network)
인터넷의 원조로 60년대와 70년대 미국 국방부가 시작했다.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Latin 문자, 번호, 구두점등을 기계번역하는,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암호. 모두 유일한 이진 번호인 128개의 암호가 있다: 0000000에서 1111111 (이진 번호).
Backbone
네트워크 대부분의 정보가 통하는 High Speed Line이나 한 그룹의 connections 이다. 작은 네트워크의 Backbone은 큰 네트워크의 Backbone이 아닌 Line 보다 작을 수 있다. ( Network 참고)
Bandwidth
한번의 접속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양. Bandwidth의 기본단위는 보통 bits-per-second (bps)로 한 페이지(영문)는 16,000 비트다. Full-motion, Full-screen Video는 최소한 10,000,000 bps가 필요하다. (56K, Bps, Bit, T-1 참고)
Baud
"Baud Rate"는 모뎀이 1 초안에 몇 bits 를 받을 수 있는가를 알려주는 용량. 1 baud = 4 bits. (Bit, Modem 참고)
BBS(Bulletin Board System)
많은 사람들이 서로 토론하며 파일들을 올리고, 다운받고 발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Binhex(BINary HEXadecimal)
Non-text 파일들을 ASCII 포맷으로 변경하는 방식이다. 인터넷 E-mail은 ASCII만 가능하므로 중요하다.(ASCII 참고)
Bit(Binary DigIT)
하나의 이진 숫자 (0 아니면 1) (Bandwidth, Bps, Byte, Kilobyte, Megabyte 참고)
BITNET(Because It's Time Network)
인터넷과는 별개로 존재하는 교육 site 들의 네트워크로 인터넷과 따로 있지만 E-mail은 서로 보내고 받을 수 있다.
Bps(Bits-per-second)
정보전송의 척도로 사용되며 28.8kbps 모뎀은 1 초에 28,800 bits 를 전송받을 수 있다. (Bandwidth, Bit 참고)
Browser
인터넷에서 World Wide Web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Client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다.(Client, URL, WWW 참고)
Byte
한 문자를 나타내는 Bit의 그룹으로 한 Byte는 8 bit로 구성되어 있다.
Client
다른 컴퓨터 즉 서버나 프로그램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나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말로 Client 소프트웨어는 특정한 서버의 종류에만 접근하고, 또한 각 서버는 특정한 Client의 종류하고만 상호작용할 수 있다.(Server 참고)
Client-Server architecture
프로그램들이 분산되어 있는 서비스들을 이용하고 제공하는 구조.
CERN
high-energy physics 연구원들의 유럽 협회(핵 연구를 위한 유럽 기구).
CSO
중앙 서비스 기구(Central Services Organization). databases안에서 이용자와 site address들을 찾기 쉽게 해주는 service.
Cyberspace
William Gibson의 소설 "euromancer" 서 처음 사용된 단어로 요즈음에는 단지 컴퓨터 네트워크로 구현된 논리적인 세계를 나타내는 의미로 쓰인다.
Domain Name
인터넷 site가 가지는 고유의 이름으로 Domain Name들은 항상 두 부분이나 그 이상의 부분으로 조합돼 있고 부분들 사이에 "."이 있다.Domain Name의 왼쪽 부분은 제일 구체적이고 오른쪽의 이름은 그보다 더 넒은 의미를 담고 있다. 한 네트워크의 컴퓨터들은 모두 똑같은 모양의 네임을 가진다. ( IP Number참고) 예 : gateway.gbnetwork.com mail.gbnetwork.com www.gbnetwork.com
Doug Engelbart
마우스를 포함해서 오늘날 컴퓨터를 사용할때 많이 사용되는 도구들과 개념들을 만들어 낸 사람.
E-mail(Electronic Mail)
컴퓨터를 통하여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것으로 보통 E-mail은 텍스트 포맷이고 한꺼번에 많은 이용자들에게 동일한 메세지를 보낼 수 있다 (Mailing List). (참고 Listserv, Mail List)
Ethernet
LAN을 이용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Etherne은 거의 모든 종류의 컴퓨터에 사용할 수 있고 10,000,000 bps 까지 전송할 수 있다.
FAQ(Frequently Asked Questions)
한 과목에 대하여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물어보는 질문들과 응답들의 목록이다.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Fiber optic cable로서 100,000,000 bps 속도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방식이다 (Ethernet의 10배, T-3의 2배).
FTP(File Transfer Protocol)
인터넷에서 현재 많이 사용되는 파일전송 방식으로 FTP는 파일을 보내거나 받을 목적으로 다른 site에 login한다. 대부분의 개방된 FTP site들은 "anonymous"로 login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site들을 anonymous FTP site이라고 한다.
Finger
다른 site의 이용자들을 찾아주는 인터넷 소프트웨어다. 다른 정보에 접근하도록 허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Finger 사용자들은 다른 사람의 E-mail 주소를 찾기 위하여 사용한다. Finger 프로그램을 받아주는 site도 있고 안 받아주는 site들도 있다.
Gateway
서로 다른 두 프로토콜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매개해주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말한다. 또 다른 서비스나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해주는 기구라는 의미도 있다.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파일안에 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영상을 압축하는 것으로 흔히 사용되는 graphics 형식이다.
Gopher
Gopher는 Client Server 시스템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Gopher Client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지난 몇년간 Gopher가 세계적으로 유명해졌지만, 요즘에는 Hypertext기능 또는 World Wide Web이 Gopher의 기능을 흡수하고 있다.
Home page
처음 Web server에 접속할때 Web이용자들이 보게 되는 기본 문서를 말한다.
Host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들에게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주컴퓨터를 말한다.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World Wide Web에 사용되는 Hypertext 문서들을 만드는 컴퓨터 언어. HTML에서는 문서가 별도의 코드(code text)를 인식하여 완벽한 하이퍼 텍스트를 만들 뿐만 아니라 단어 또는 단문을 인터넷의 다른 장소나 파일로 연결시킬 수 있다. HTML 파일들은 WWW Client 프로그램으로 읽어야 한다. ( HTTP, Hypertext, WWW 참고)
HTML+
HTML의 최신판.
HTTP(HyperText Transport Protocol)
Hypertext 파일들을 인터넷에서 전송하는 프로토콜로 두 장소 사이에 전송하는 경우 한 쪽에는 HTTD Client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다른 쪽에는 HTTD Server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WWW(World Wide Web)에서는 HTTD가 제일 중요한 프로토콜 이다.
Hyper-g
유럽에서 인기있는 distributed hypertext system.
HyperCard
Apple Computers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personal hypermedia/multimedia 작품들.
Hyperlink
hypermedia와 hypertext와 다른 매체들의 연결고리.
Hypermedia
다른 형태의 매체들에 대한 연결고리들을 포함하는 hypertext.
Hytelnet
telnet접속을 위한 hypertext interface .
Hypertext
한 본문이 선택이 되었을때 연결된 문서들을 보여주는 기능.
IMHO(In My Humble Opinion)
온라인 (on-line) 포럼에서 사용되는 약어. IMHO는 "저의 의견으로는..." 라는 말로 특히 논쟁 중의 화제에 대해 토론할 때 유용하다.
Inline image
본문과 같은 page 안에 화상을 보여주는 hypermedia 문서.
IP Number
컴퓨터의 주소를 나타내는, 네부분으로 만들어진 번호. 4 부분 사이에 "."이 있다. (예:165.113.245.2) 인터넷의 모든 컴퓨터는 유일무이한 IP Number가 있다. 그러나 IP Number보다는 기억하기 쉽기 때문에 컴퓨터의 Domain Name을 더 많이 사용한다.
ISO 8859
강조체와 부호들을 포함하는 전세계 표준으로 정해진 문자 set.
LAN(Local Area Network)
한 건물내의 컴퓨터들을 하나로 연결한 네트워크
Leased-line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연결된 통신선을 특별히 임대한 것.
Listserv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는 maillist. Listserv는 원래 BITNET에 생겼지만 현재에는 Internet에도 무수히 많다. (BITNET, E-mail, Maillist 참고)
Login
1. 명사: 컴퓨터 네트워크를 접속할 때 쓰는 ID 이름.(비밀번호가 아니다) 2. 동사: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함.
Maillist 또는 Mailing List
E-mail을 한 주소로 보낼 때 Maillist에 등록 된 모든 주소들로 메시지를 복사해서 자동적으로 보내주는 시스템. 이렇게 함으로서 많은 이용자들끼리 E-mail로 토론할 수 있게 된다.(Listserv 참고)
Man page
설명서 page. online 문서는 흔히 UNIX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컴퓨터와 같이 사용된다.
Megabyte
대략 1,000,000 bytes. 1000 Kilobytes.(Byte, Bit, Kilobyte 참고) 정확하게 1,048,576 bytes. 1,024 Kilobytes
MEMEX
이용자들이 보았던 정보를 기억했다가 보여주는 개념적 장치
Menu bar
graphic computer interfaces에서 흔히 볼수 있는 기능으로서 이용자들이 메뉴에서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MOO(Mud, Object Oriented)
Multi-user role-playing environment의 종류. 아직 텍스트로만 돼있다. (MUD, MUSE 참고)
Mosaic
WWW browser 중에서 Macintosh, Windows 와 UNIX에 똑같은 interface를 사용하는 browser. 월드와이드웹의 인기는 Mosaic의 덕분에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Browser, Client, WWW 참고)
MPEG(Motion Pictures Entertainment Group)
전자식 영상 및 사운드를 위한 MPEG 표준 판을 개발했던 오락 회사의 전문가협회.
MUD(Multi-User Dungeon or Dimension)
Multi-user simulation environment. 어떤 MUD들은 재미로만 하고 또 다른 MUD들은 교육이나 소프트웨어 개발용으로 사용된다. MUD의 중요한 특징은 어떤 문서의 작가가 네트워크를 나갔을 때도 다른 이용자들이 사용 할 수 있는 것이다. (MOO,MUSE 참고)
MUSE
MUD의 한 종류.(MOO, MUD 참고)
Navigation buttons
graphic computer용 World-Wide Web interface의 요소들로서 이용자들이 여러 방법으로 이미 보았던 문서들을 다시 볼수 있게 해준다.
NCSA(National Center for Supercomputing Applications )
과학적 지식의 공유를 위해 첨단 기술을 연구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연방정부기금으로 운영되는 조직이다.
NCSA Collage
NCSA가 개발한 공동 연구 프로그램.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
네트워크의 정보를 관리하는 회사. 이 중 인터넷에서 제일 유명한 것은 InterNIC(새 Domain Name을 등록하는곳)
Network
두대 이상의 컴퓨터가 정보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물리적인 선을 이용해 연결한 것을 네트워크라 한다. 네트워크를 두개 이상 연결할 때는 internet이라고 한다.(internet 참고)
Newsgroup
Usenet의 토론 그룹의 이름들.(Usenet 참고)
NNTP(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Usenet의 기사들을 전송할때 흔히 쓰이는 방법.
Node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를 말한다.(Network, Internet 참고)
NSF(National Science Foundation )
미국내의 모든 주요 연구기관과 대학들과 연결되어 있는 NSFnet을 운영하는 조직으로 연방정부기금의 재정지원을 받는다.
Packet Switching
Internet 안에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Packet Switching에서는 정보를 작은부분(packet)으로 나누어서 각 packet을 따로 보낸다. 이렇게 함으로서 한 줄(전화줄)에 많은 컴퓨터에서 나오는 packet들을 같이 섞어서 전송 한다.
page
World-Wide Web browser를 통해 볼 수 있는 hypermedia문서.
POP
1. (Point of Presence) --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도시 또는 장소. 예: 어떤네트워크가 수원에 POP가 있을 것이라고 하면 곧 수원의 네트워크에 접속시켜주는 전화번호나 leased-line이 있을 것이라는 의미.
2. (Post Office Protocol) -- E-mail소프트웨어가 E-mail을 서버에서 받는 방법.
Port
1. 컴퓨터에서 정보가 들어가거나 나오는 곳 (예:PC의 모뎀은 "serial port"에 연결) 2. URL 주소의 "." 표시 뒤에 명시되는 번호. (예:gopher://peg.cwis.uci.edu:7000/에 7000이 port 번호) 3. 한 종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다른 종류의 컴퓨터에 사용할 수 있게 변경하는 것. (예: Windows 프로그램을 Macintosh에 사용할 수 있게 변경하는 경우에 port 한다고 한다)
PPP(Point-to-Point Protocol)
보통 모뎀과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으로 TCP/IP
QuickTime
Apple Computer가 개발한 전자 video 형식인데 압축기법으로 동시에 영상과 음향을 통합 해 보여준다.
Rich Text Format(RTF)
컴퓨터들 사이에 전자문서들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해줄때 흔히 쓰이는 교환 형식
Router
둘 이상의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특별한 컴퓨터 또는 소프트웨어
Scroll bar
이용자들이 스크린 상의 전자 문서를 돌려가며 볼수 있게 만든 graphic computer interface의 요소
SMDS(Switched Multimegabit Data Service)
새로 개발된 고속정보전송 방식.
Server
다른 컴퓨터의 특별한 Client 프로그램에게 요청받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한 기계가 네트워크의 Client 이용자들에게 동시에 많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Client, Network 참고)
SLIP(Serial Line Internet Protocol)
보통 전화선(serial line)과 모뎀으로 컴퓨터를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프로토콜. PPP가 SLIP대신 등장하고 있다.( Internet,PPP 참고)
T-1
전송속도 1,544,000 bps. 이 속도에는 1 Megabyte를 10초 안에 전송할 수 있지만 full- motion video (10,000,000 bps 필요함)는 구현하기 어렵다. 보통 네트워크를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것이 T-1 이다( 56K, Bandwidth, Bit. Byte,Ethernet, T-3 참고)
T-3
45,000,000 bps로 full-motion video는 충분히 전송 가능 (56K, Bandwidth, Bit,Byte, Ethernet, T-1 참고)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인터넷에 접속하는 모든 프로토콜. TCP/IP는 원래 UNIX 시스템에만 가능했지만 현재에는 모든 operating system 에서 가능하다.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TCP/IP 소프트웨어가 꼭 필요하다. (IP Number, Internet, UNIX 참고)
Techinfo
MIT에서 개발한 공공의 campus-wide information system .
Ted Nelson
"hypertext"라는 단어를 만들어냈고 그에 관련된 많은 개념들을 만들어낸 사람.
Telnet
한 인터넷 장소(site)에서 다른 인터넷 장소에 login 하는 프로그램과 명령.
Terminal
다른 장소에 있는 컴퓨터에 명령을 송신 하는 기계 또는 소프트웨어.
Terminal Server
한 쪽에는 다수의 모뎀들에 연결되고 다른 쪽에는 LAN 이나 Host 기계에 연결된 특별한 컴퓨터. 한쪽에서 들어오는 요청 또는 명령을 해당 node에 연결한다.인터넷에 연결돼 있으면 대부분의 Terminal Server들은 PPP 나 SLIP 서비스를 제공한다. (LAN, Modem, Host, Node, PPP, SLIP 참고)
Texinfo
공공 campus-wide information system.
UNIX
Operating System(컴퓨터의 제일 기본적인 소프트웨어)의 한 종류. UNIX는 많은 이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게 됐고 TCP/IP 도 가능하다. 인터넷의 Servers에서 제일 많이 사용되고있는 Operating System.
URL(Uniform Resource Locator)
World Wide Web 에 있는 정보나 파일의 주소. 예: http://www.matisse.net/seminars. html telnet://well.sf.ca.us news:new.newusers.
questions
UR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통 Netscape, Lynx, Mosaic과 같은 WWW Browser가 사용된다.
Usenet
전세계의 뉴스를 읽을 수 있도록 네트웍상에서 서비스되는 토론그룹들. Usenet의 모든 컴퓨터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는다. Usenet은 한 곳에 집중되어 있지 않고 수많은 newsgroup으로 나누어져 있다. (Newsgroups 참고)
Vannevar Bush
hypertext의 개념을 처음 생각해낸 사람.
Veronica(Very Easy Rodent Oriented Net-wide Index to Computerized Archives)
이용자들이 고퍼 시스템을 통해 정보를 찾게해주는 네트웍 서비스로 모든 Gopher 메뉴의 아이템 이름을 기록하는 database기능을 하고 있다. Veronica는 대부분의 큰 Gopher 메뉴에서 접근할 수 있다.( Gopher 참고)
Webmaster
World-Wide Web site의 운영과 디자인을 맡은 사람.
WAIS(Wide Area Information Server)
많은 정보를 index 하고 그 정보를 인공지능적으로 찾아주는 소프트웨어. 정보는 인기 있는 순서로 목록을 만들고 제일 인기 많은 정보를 위에다 올려놓는다. 이용자들의 이름을 찾아보는 service.
World-Wide Web(World Wide Web)
1. Gopher, FTP, HTTP, Telnet, Usenet, WAIS 나 다른 도구로 접근할 수 있는 모든자원 (resources). 2. 멀티미디어가 가능한 모든 Hypertext Servers (HTTP Servers). ( Browser, FTP,Gopher, HTTP, Telnet, URL, WAIS 참고)
X bitmap(XBM)
X Windows system에서 지원되는 표준 2색 bitmap image형식.
X.500
전자우편 directory service를 정의하는 기준.대개 유럽에서 쓰인다.
Xanadu
전자출판, 상업행위 등을 위한 networked hypertext를 기본으로 한 client-server system.
XCMD
새로운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HyperCard를 확장시킨 program module .
웨이퍼(Wafer)
반도체 소자를 만들수 있는 소재..100%에 가까운 순수한 원통모양의 단결정 실리콘을 0.2~0.3mm로 자른다음 표면을 거울처럼 닦아서 만든다. 이 웨이퍼 위에 한번에 몇개의 IC를 만들어 나중에 개개의 IC로 나눈다.
IC(Integrated Circuit)
반도체의 기본이 되는 소자. 실리콘 단결정의 기판위에 회로를 찍어 넣고 회로이외의 부분을 깎아내는 방법으로 만든다. 크기는 손톱만한 정도로 매우 작으나 그 속에는 개별소자인 수많은 트랜지스터가 쌓여있다. 집적도에 따라 SSI. MSI. LSI. VLSI. ULSI 등으로 나뉘며, 회로구성에 따라 바이폴라 IC와 MOS IC로 나뉜다.
D램. S램
높은 집적도를 가지고 있는 반도체의 기억장치는 D램과 S램으로 나뉜다. 램은 수시로 입력시키거나 출력이 가능한 메모리를 뜻한다. S램에 비해 D램은 데이터 보존기능은 다소 떨어지나 용량이 훨씬 커서 메모리 분야에서는 가장 일반적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16메가니 64메가니 하는 말은 숫자가 높을수록 기하 급수적으로 용량이 늘어나는 것이다. 이때 메가라는 것은 단위의 일종으로 컴퓨터 처리능력의 기본단위인 1바이트의 100배 (정확하게는 1024배)는 1킬로바이트, 1바이트의 100만배는 메가바이트라고 한다.
ASIC
주문형 반도체로 사용하는 시스템업체가 특정회로부분을 하나의 반도체로 설계해 제조업체에 주문해서 만드는 특정용품 제품. 쉽게 말해서 다른 것이 기성품이라면 ASIC는 맞춤인 셈이다.
비메모리
메모리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단순한 기억용량의 문제가 아니라 논리연산을 하고, 예약에 맞추어 움직이거나 스스로 제어하는 자동화에 필수적인 분야이다. 마이크로 프로세서. ASIC 등이 대표적인 비메모리 반도체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분야보다 고부가가치이며 장기적으로 시장성도 뛰어나다.
메모리 IC
정보를 저장 또는 기억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직접회로. 가장 작은 사이즈에 가장 많은 정보를 담아내는것이 기술개발의 핵심이다.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D램은 메모리 IC의 대표격. D램. S램. 롬등은 모두 메모리 IC에 속한다.
롬(ROM : Read Only Memory)
미리 써놓은 자료를 읽을 수만 있는것으로, 사전이나 연표와 같다고 생각 하면 된다. 전기를 끊어도 자료가 지워지지 않으므로 비휘발성 메모리라고 한다. 최근에는 기억된 자료를 지우고 다시 쓸 수 있는 EEP롬. 이것이 더 발전한 플래시 메모리 등이 나오고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MPU)
연산작용을 담당하는 IC로 컴퓨터의 두뇌인 중앙처리장치(CPU)에 사용된다. 286. 398. 486 하는 말은 바로 중앙처리장치의 처리속도. 즉 반도체 집적 회로의 발전을 나타내는 말이다.
Adventure Game
단어를 입력하여 직접 명령을 내리거나 메뉴에서 명령을 선택해 논리적으로 문제를 푸는 형태의 게임으로 그래픽 어드벤처와 텍스트 어드벤처로 나누어 진다.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기
데이터 크기에 따른 전송시간의 지연현상을 극소화시켜 종전에는 실현할 수 없었던 음성화상 및 문자데이터를 동시간 안에 전송가능케 하는 비동기 전송방식을 사용한 교환기를 말한다.
CD-DA(Compact Disk-Digital Audio)
레드북이라고 불리우는 이것은 1980년 소니사와 필립스사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디지털 오디오에 대한 표준을 담고 있는 것이다.
CD-G(Compact Disk-Graphic)
디지털 오디오에 대한 표준안인 레드북을 발표할 때, 레드북에는 CD에 담겨져 있는 오디오에 맞추어 그림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래픽 정보는 각각의 오디오 섹터에 들어있는 통제 바이트지역(Control-Byte Area) 안에 기록되는 것이다. 이렇게 그래픽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CD-G를 CDP에 넣고 구동하면 그래픽 데이터는 읽어들이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만을 읽어들이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CD-G를 구동시키려면 CD-I 플레이어를 이용해야 한다.
CD-I(Compact Disk-Interactive)
CD-I 표준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표준뿐만 아니라 CPU, 운영체계, 메모리, 비디오 디스플레이 콘트롤러, 오디오 출력, 데이터의 압축 등에 대한 표준을 담고 있다. CD-I 시스[@템은 플로피디스켓이나 하드디스크 등이 들어있는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지 CD-I에 들어있는 내용을 보여줄 디스플레이 장치만 있으면 구동된다. CD-I가 개발된 이유는 컴퓨터가 없는 가정에서 CD-ROM에 실릴수 있는 텍스트나 애니메이션 등의 자료를 텔레비전과 스테레오 오디오를 이용하여 재생하기 위해서다.
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CD로 음악만을 저장할 수 있는 음악용 CD와는 다르게 음악은 물론 텍스트, 그래픽, 애니메이션 등이 들어갈 수 있는 CD를 말한다.
SRS Sound Retrival System)
사람의 청각 구조를 바탕으로 SRS연구소에서 개발한 3차원 사운드기술의 원조. 소리의 주파수에 따라 사람의 귀바퀴를 통해 들어오는 시간에 차이를 분석하여, 시간차이에 의해 소리의 위치를 인식하게 되는 점에 착안하여 개발한 기술입니다. 두개의 스피커에서 3차원 효과를 구현하게 한 방법이며 출력회로의 별도 장치를 통해 주파수 대역별로 재생시간에 차이를 두어 인위적으로 3차원 효과를 느끼도록 소리를 출력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현재 전자제품이나 스피커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고가에서 저가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고 성능도 제품별로 다양합니다. 단점으로 2차원의 소리를 3차원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음의 왜곡이 생기거나 장시간 청취할 경우 두통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큐사운드(Qsound)
좌우로 구분되어진 2차원 스테레오 방식의 웨이브데이타에 QSound라는 고유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3차원 효과를 얻는 기술입니다. 일반 스테레오의 경우 양쪽 소리의 단순 분리에 의해 공간적인 느낌을 받기 어려우나 QSound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반대편 소리의 데이타를 포함하게되어 소리의 변화에 상호작용(소리의 전달현상)하게됩니다. 이에 의해 소리의 이동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QSound 기법은 사실적인 3차원 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지만 웨이브데이타에 한정되며 적용하기위해 실시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ADSP 프로세서가 필요합니다. 또한 응용프로그램에서 이를 적용하여 개발되어야 하기 때문에 보편화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현재 몇몇 PC용 사운드 카드에서 이 방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돌비 프로 로직(Dolby Pro Logic)
돌비 연구소에서 기존의 돌비 서라운드 방식 기술을 개량하여 개발한 새로운방식의 3차원 입체음향 시스템입니다. 기존 서라운드 방식의 경우 단순히 별도의 서라운드 채널을 통해 시간차이를 두어 소리지연에 의한 공간감을 표현 하였으나 단순하고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돌비 프로로직은 전방 스피커(프론트), 후방 스피커(리어), 중앙 스피커(센터)의 5Way 6Speaker로 구성되어 각각의 채널을 통해 독립된 신호를 출력하게되며 전후좌우로 배치된 각 스피커를 통해 청취자를 360도 휘감는듯한 3차원 사운드를 출력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선 최소 5개의 스피커 시스템과 돌비 프로 로직을 지원하는 오디오 장비가 있어야 하며, 돌비 프로 로직으로 제작된 타이틀이 필요합니다. 또한 청취자가 스피커에 둘러 싸여 중앙에 위치 해야만 3차원 효과를 제대로 느낄 수 있습니다. 돌비 프로 로직은 효과면에서가장 우수하지만 시스템 요구사양과 설치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3차원 스테레오 강화기술(3DSE-3D Stereo Enhancement)
왼쪽과 오른쪽의 소리가 섞여 들리는 현상(Speaker Crosstalk)에 의한 불분명한 스테레오 분리를 명확히 분리하여 입체 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다는 원리를 실제로 적용한것이 '3차원 스테레오 강화기술' 입니다. 사운드 블라스터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사운드카드의 출력회로 부분에 3D 강화회로를 첨가하여 이를 통하여 재생되는 소리의 3차원 성향을 높이기 됩니다. 3차원 스테레오 강화기술은 음의 직진성을 강화하여 완벽한 좌우분리를 가능하게 하였고, 음의 발산 영역을 확대하여 빈약한 저음영역을 보강한 3차원 사운드효과를 출력 합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효과를 주거나 주지안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3DSE는 별도의 입체사운드 구현을 위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고 일반 스피커로도 충분히 3차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다른 방식에 비해 효과가 약한 단점이 있습니다.
3D 포지셔닝 오디오(3D Positioning Audio)
3DSE와 함께 사운드 블라스터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프로테우스 음원으로 유명한 EMU사의 사운드 폰트 2.0 기술을 3차원 사운드분야에 적용한 기술입니다. 게임등에서 사용되는 효과음을 사운드폰트로 제작하여 이를 게임실행시 사운드카드의 메모리에 로드하며, 세밀히 구분된 패닝에 의해 공간에서의 사운드 이동을 정밀하게 표현해줍니다. 두 개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게임에서 3차원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로 사운드블라스터의 3DSE기술과 결합하면 아날로그방식과 디지탈방식이 혼합된 3D Mixing Audio기술로 한층 효과적인 3차원 사운드를 구현하게 됩니다.
ADLIB
1987년 캐나다의 Adlib사가 자사의 이름을 따서 '애드립(Adlib)' 이라는 제품으로 발표한 PC용 음악카드입니다. FM(Frequency Modulation) 주파수 변조 방식의 음원을 사용하며 칩은 야마하사의 YM3812칩을 사용하였습니다. 리듬악기에서 9중화음, 타악기까지 포함하면 11중화음을 표현할 수 있어 그 당시에선 많은 인기를 얻었습니다. 하지만 소리가 단순하고 MONO이기 때문에 부족한점이 많았습니다. 이후에 이를 개선하여 OPL3라는 YMF262M 칩을 사용한 제품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STEREO를 지원하며 고음과 저음에서 표현이 개선되었습니다. 애드립 카드는 놀라울 정도의 인기를 얻어 음악카드의 효시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최근까지도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이를 지원하고 있으며 사운드카드에서도 기본적인 FM 음원으로 호환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AdSP(Advanced Signal Processing)
AdSP칩의 기능은 3차원 사운드 효과(Qsound)와 웨이브 파일의 실시간 압축/해제 기능, 음성출력기능을 수행하는 전용프로세서칩으로 하드웨어적인 압축을 실시간 처리하므로 웨이브화일 녹음시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줄일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인 웨이브파일의 압축/해제기술이 CPU에 많은 부담을 주어 멀티테스킹의 환경을 불가능하게 하는 한계를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여 시스템속도 저하를 막아주는 기능을 합니다. 사운드 블라스터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제어기를 사용하여 최대 4배(Creative AdPCM)까지 음질 손실없이 압축할수 있으며, 음성녹음일 경우(모노/11KHZ) 에는 8배(FastSpeech -8 ), 최대 10배(Fast Speech -10)까지 웨이브파일을 실시간으로 압축/해제할 수 있습니다. 3차원 사운드효과를 만드는데는 WAV를 사용하며 Qsound라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소프트웨어적인 제어를 통해 실시간으로 소리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고, 가상공간속에서 휘도는듯한 입체사운드를 구현하게 됩니다.
AGC(Auto Gain Control)
입력과 출력신호의 이득(Input/Output Gain)을 가장 적당한 상태로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기능을 말합니다. 오디오 신호는 서로 다른 기기와 연결하였을 경우 그 신호가 손실되어 작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손실에 의해 신호가 작아지거나 입력된 신호자체가 약한 경우 볼륨을 최대로 올려도 출력되는 소리가 작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경우 입출력이득을 조절하여 좀더 큰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득을 너무 크게 설정하면 잡음이 심해지고 신호가 왜곡되어지기 때문에 적당하게 조절하여야 합니다. 이런 조절을 일일이 사용자가 조절하기엔 신경쓰이고 번거로운 일이기 때문에 자동으로 이득을 조절해준다면 아주 편리한 기능일것입니다. 바로 그러한 것이 AGC입니다. AGC는 입출력 신호가 약하거나 지나치게 크지 않도록하면서 잡음대출력비를 적당한 수준에서 자동으로 이득을 변화시킵니다.
EMU8000칩
프로테우스로 유명한 EMU사에서 제작한 웨이브테이블 방식의 신디사이저 음원입니다. 사운드 블라스터의 AWE32 제품의 음원으로 탑재되어 많은 인기를 끌었으며, 동시에 최대 32개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고 리버브와 코러스 이팩터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1M ROM에 담은 사운드 샘플을 이용하여 기본 128개의 멜로디 악기와 1개의 드럼셋을 제공하여 General midi 규격을 준수하며, Roland의 GS규격과 MT-32규격을 지원합니다. 또한 기본램외에 사운드 폰트를 활용하였을때 더 진가를 발휘하여 기존적인 샘플러 기능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FM(Frequency Modulation) Music Synth
컴퓨터에서 음이 합성될때 사용되는 방식의 일종으로 음의 주파수를 변조해 음을 만드는 음파합성방식입니다. 사운드카드의 시조인 애드립에서 사용하던 방식으로 그후로 사운드블라스터와 호환카드에서도 기본 음원으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PC내장 소리에 비해 단음이 아닌 화음표현도 가능하고 다양하게 소리를 변조할수 있기 때문에 예전까지 대부분의 사운드 카드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일정한 정현파를 여러 파라메타 조건에 따라 음을 실시간적으로 변화시켜 소리를 자유자제로 변화시킬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실제소리가 아닌 가상의 소리이기 때문에 사실적인 면이 결여된 기계적인 사운드를 만들게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ROL이나 IMS 형식의 파일들이 FM 방식으로 제작된 데이타입니다.
FM 이펙트
사운드 블라스터 AWE32나 AWE64에서 사용가능한 기능으로 도스상에서 FM출력에 미디과 같이 리버브와 코러스 두가지의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리버브는 소리의 잔향효과를 주어 울리는 듯한 소리로 변화시켜주며, 코러스는 단순한 음에 화음을 조합하여 음을 화려하게 꾸미는 효과를 주게됩니다. ROL이나 IMS 재생시, 또는 게임등에서 사용하면 FM사운드가 훨씬 듣기 좋게 변화됩니다.
풀 듀플렉스(Full Duplex)
통신방식에는 다음의 세가지가 있습니다. 심플렉스 (Simplex), 하프 듀플렉스 (Half Deplex), 풀 듀플렉스 (Full Deplex). 심플렉스는 라디오와 같은 방식으로 한쪽은 송신만을 다른 한쪽은 수신만을 할 수있는 형태를 말하고, 하프 듀플렉스는 무전기와 같은 방식으로 한쪽이 송신중일 경우 다른 한쪽은 수신만이 가능한 형태를 말하며, 풀 듀플렉스는 전화기와 같은 방식으로 양쪽 모두 동시에 자유롭게 송 ,수신이 가능한 방식을 말합니다. 16 이상의 사운드 블라스터에서는 이러한 풀듀플렉스를 기본적으로 지원하여 인터넷폰과 같은 인터넷 전화프로그램에서 쌍방향 대화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GM(General MIDI)
Roland사의 미디 규격을 토대로 미디 악기의 표준으로 채택된 세계 공통의 미디 규격안으로 128개의 멜로디 악기와 1개의 기본 드럼(타악기)세트로 구성됩니다. 또한 각 악기별 음색간에 호환이 이루어 지도록 음색의 특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디 음원 제조사들은 이 규격을 참조하여 음원을 만들하게 됩니다. 하지만 음색의 특징만을 제시하였고 어떠한 음색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각 제조사별, 또는 제품모델에 따라 같은 악기의 소리도 차이가 나게 됩니다. 악기의 소리는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악기 배치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GM 모드로 제작된 미디데이타간의 호환이 됩니다. GM은 미디악기제조사의 개성을 존중하면서 미디악기간에 동일한 데이타를 공유할 수 있도록 제안된 미디 표준 규격이며 윈도우즈에서나 게임 등에서 기본으로 지원되고 있습니다.
GS(General Standard)
GS는 General Standard의 줄임말로서 MIDI의 표준 규격을 만들었던 Roland 사의 GM (General MIDI)에 이어 내놓은 Roland사의 또다른 표준규격안입니다. 세계 표준인 GM이 128개의 악기만을 사용하여 다양한 표현이 힘들다는 단점 때문에 이에 추가악기와 드럼셋을 늘리고 SFX라는 효과음을 포함하는 확장된 GM규격을 만든것입니다. 자사 SoundCanvas 제품의 규격으로 지정되었으나 SoundCanvas모듈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어 GM과 더불어 표준의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GM규격을 완벽히 지원하며 현재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격으로 표준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습니다.
미디-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미디 악기간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국제 규격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미디장비나 키보드를 칭하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16채널을 사용하여 각 악기의 상태나 콘트롤등을 전송하게 되며 악기간의 동기를 맞추는 역할도 합니다. 이러한 데이타 입출력을 위해서는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며 Roland사의 MPU401장비가 업계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현재의 미디 인터페이스는 대부분 MPU401의 호환으로 사용되며 PC사운드카드에서도 기본으로 이 MIDI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MT-32
MT-32는 Multi-Tambler 32의 약자로 동시에 32음을 낸다는 뜻을 의미합니다. Roland 만든 가장 초기의 음원 형식이며, 자체적인 악기배열을 갖고있어 이를 MT-32모드라고 합니다. GM, GS모드와 함께 미디분야에서 널리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MT-32는 LA방식의 음 합성방식을 지니고있어 다양한 음색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초창기에는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자주 사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OPL3(Operator type 3)
야마하 사에서 만든 FM음원칩 중 YMF 262M칩을 OPL3 칩이라고 합니다. 20개의 음을 동시에 발음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기본적인 기능은 AdLib 카드에 사용되던 OPL2칩인 YMF 3812 칩과 기능이 동일하지만 채널의 좌우 분리가 가능해 스테레오를 지원합니다.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
샘플링레이트는 샘플링시 얼마만큼 정교하게 샘플링하는지에 대한 주파수를 말하며 1초동안 몇번을 샘플링하는지를 계산하여 나타냅니다. 이것은 바로 샘플의 음질과 밀접한 관계를 갖으며 그 비율에 따라 11KHz, 22KHz, 44KHz로 분류됩니다. 22Khz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1초에 2만 2천번으로 세분하여 샘플링한것을 의미합니다. 샘플링레이트가 클수록 원음과 가까운 음질을 갖지만 용량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참고로 일반 CD는 44.1KHz의 샘플링 레이트를 갖습니다.
샘플링(Sampling)
자연의 소리를 컴퓨터나 디지탈음악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샘플링이라는 작업을 거쳐야야 합니다. 자연의 소리는 아날로그형식으로 표현이 되며 디지탈 장비에서는 0 과 1 로된 디지탈신호만을 인식할 수 있기때문에 디지탈장비에서 사용하기위해 이와같은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아날로그 데이터는 연속된 파형의 형태로 입력되는데 이 데이터를 세분하여 0 과 1의 신호, 즉 디지탈 신호로 변환 합니다. 이런작업을 샘플링이라고하며 이렇게 변환되어진 신호를 샘플이라고 합니다. 샘플을 편집하여 컴퓨터 음악에 사용하게되며 웨이브테이블방식에서는 실제악기소리를 샘플링하여 악기로 구성된후 음원으로 사용하게됩니다.
사운드 폰트(Sound Font)
사운드폰트는 미디에서 사용하기 위한 소리를 담은 데이타를 말합니다. 글씨에서의 폰트기능과 같이 추가적인 음색이나 더 나은 소리를 원하는경우 음원을 향상시킬수 있는 방법입니다. 사운드폰트는 실제의 소리를 웨이브로 녹음한 웨이브를 기본샘플로 사용하며 이를 편집하고 음계별로 배치하여 악기로 구성됩니다. 이렇게 구성된 악기들을 모아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GM, GS, MT-32모드처럼 악기모드에 적합하도록 악기 배치가 이루어 집니다. 이렇게 하면 새로운 악기폰트가 재작이 되면 전체의 악기가 아닌 몇 가지의 샘플만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하여 간단히 샘플러 기능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취향에 맞는 폰트로 편집할 수 있어 잘 활용하면 PC사운드 카드에서 고가의 음원모듈에 비교해 손색이 없을 만큼 사용이 가능하게 됩니다.또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악기를 만들고 편집할 수 있게 해주는것이 바로 사운드폰트입니다.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소니와 필립스에서 디지탈오디오를 위해 제정한 디지탈 입출력 방식입니다. 일반적인 PC사운드카드는 내부적으로 데이타를 디지탈로 처리하지만 출력에서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자체의 믹서기를 통하게됩니다. 하지만 사운드카드 내부 믹서기의 DAC의 성능이 전문작업을 하기위해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음질손실 및 잡음이 섞이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때문에 사운드카드의 믹서를 거치지 않고 음원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출력을 그대로 SP/DIF 단자를 통해 외장형 DAC(Digital Analog Converter)로 출력하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잡음을 최대한 줄일수 있게 되어 전문 매니아들에게 적합한 출력을 제공해 줄 수 있게됩니다. 사운드 블라스터 AWE32와 AWE64 GOLD제품에서 이를 지원하며 DAT나 DCC또는 MD와 같은 장비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피커 크로스 토크(Speaker Cross Talk)
스피커 크로스 토크현상이란 스피커의 좌우 소리가 명확하게 분리되지 못하고 교차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비행기가 좌에서 우로 이동하는 소리를 표현하려고할때 왼쪽에서 소리가 크다가 오른쪽으로 서서히 이동해서 오른쪽에서 큰 소리가 나야 이동하는것을 느낄수 있습니다. 이 때 크로스토크현상이 생기면 소리의 위치가 정확히 들리지 않고 이로인해 비행기의 이동을 정확히 표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3차원 사운드를 구현할 때는 이러한 현상을 제거하여 사운드의 입체감을 주게 됩니다.
웨이브 테이블(WAVE TABLE)
예전에는 주파수를 변조하여 실제소리를 흉내는 전자악기가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모든 소리를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실제 소리와 많은 차이가 있었습니다. 이 점을 극복하기 위해 실제소리를 녹음하여 음원으로 사용하는 웨이브테이블 방식이 개발되었습니다. 이 방식은 실제소리를 웨이브로 샘플링하여 General MIDI 규격에 부합하도록 악기테이블로 구성한후 음원으로 사용하며, 샘플링된 음색을 롬에 담아 읽어오거나 사운드카드의 램에 저장하여 필요할때 읽어서 사용하게 됩니다. 샘플은 각음계에 대표적인 몇개를 사용하여 악기로 구성이 되며 각종 파라메타를 변경하여음의 높낮이나 피치 등을 조절하게 됩니다.
멀티포인트 인터폴리에이션(Multi-point interpolation)
웨이브테이블에서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녹음된 음원을 사용하나 출력시에는 디지탈로 변환되어지며, 이런 변환 과정에서 아날로그 신호는 잘게 쪼게저서 디지탈로 처리되는데 직사각형의 끝을 이어서 각이진 형태의 파형을 이룰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소리가 거칠어지고 왜곡이 심하였는데, 이런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운드에 적용된 일종의 필터링기법으로, 잘게 쪼게진 신호를 이으는 과정에서 단순화된 파형의 각진면을 보정하기 위한 중간포인트를 두어 신호를 최대한 곡선에 가깝도록 해주는 기법이 멀티포인트 인터폴리에이션입니다. 결과적으로 최대한 원음과 가까운 출력을 재생할 수 있게 됩니다.
웨이브 신스(Wave Synth)
웨이브신스는 인텔CPU의 특수한 부동소수점 연산처리방식과 사블의 DSP칩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웨이브테이블을 구현한 소프트웨이브테이블입니다. 일반적인 소프트웨이브테이블에 비해 반응도가 매우 높아 소리의 지연이없고 하드웨어 웨이브테이블과 같이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도를 높이기 위해 인텔만의 특수한 부동소수점연산 기능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CPU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
웨이브 가이드는 피지컬모델링(Physical Modeling)방식의 파라메트릭(Parametric) 신디사이징의 일종입니다. 기존의 미디 음원에서는 연주자의 연주 감각이나 악기의 특성을 표현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였습니다. 웨이브 가이드는 실시간으로 연주되는 악기의 느낌이나 음색에 변화를 주어 실제 악기의 느낌을 최대한 살릴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는 실제 악기의 구조나 연주형태를 분석해 수학적 모델(복잡한 고차 방정식)로 만들어 이를 계산한 후 표현되어집니다. [참고] 피지컬모델링(Physical Modeling)-실제소리를 웨이브파일로 샘플링하여 음원으로 사용한 것을 말합니다.
미디 악기 매퍼(MIDI instrument mapper)
크리에이티브 미디 악기 매퍼는 하나 이상의 미디 장치를 가상의 매퍼로 구성하는 미디 매퍼입니다. 하드웨어 미디 장치 뿐만 아니라 소프트신디인 WaveSynth/WG를 하드웨어 악기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FM이나 외장 미디장치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각 악기별로 사용장치를 선택할 수 있어 각 미디악기에서 마음에 드는 악기를 조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개인의 취향에 맞는 미디설정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미디 악기 매퍼는 기존 윈도우 내장 미디 맵퍼에서 취약했던 점을 보강한 것으로, AWE64의 모든 미디출력을 미디 악기 매퍼로 조합하게 됩니다.
안티-알리아징(Anti-aliasing)
이미지를 가공하는 방법 중 하나로 어떤면에 선을 그렸을때 도트가 나란히 배열되어 표시되는데 도트에 의해 계단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런 계단현상으로 화면이 거칠어지기 때문에 선 주위에 배경색과 중간색조의 점을 추가하여 전체화면을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표현하게 됩니다.
에지 안티-알리아징(Edge anti-aliasing)
면과 면이 만나면 두 면의 색이나 접촉된 각에 의해 모서리 부분이 날카롭고 거칠게 보이게 됩니다. 에지 안티-알리라징은 면과 면이 만나는 경계에 대한 필티링 기법으로 서로 다른 면이 만나는 경계인 모서리를 부드럽게 하여 입체 구조물을 부드러운 형태로 만들어주게 됩니다.
쉐이딩(Shading)
3차원 물체는 다각형의 모임으로 구성됩니다. 정육면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6개의 사각형이 필요하며 각각의 면에 색을 입히고, 여기에 빛에 의한 명암 등 실제 물체에 대한 특성을 적용하여 질감이나 입체감을 부여하게 됩니다. 이렇게 면에 색을 칠하여 입체감을 높이는 기법을 쉐이딩이라고 하며 광원이 면에 비치는 밝기를 조절하는 Flat shading과 한면에서도 광원과의 거리, 각도 등을 적용하여 좀더 세밀하고 부드럽게 표현하는 기법인 Gouraud shading가 있습니다.
텍스쳐멥핑(Texture Mapping)
쉐이딩이 면에 색을 칠하는것이라면 텍스쳐멥핑은 면에 그림을 입히는 것입니다. 무늬가 그려져 있는 어떤면을 쉐이딩으로 표현하려면 계산이 상당히 복잡해지고 처리시간도 오래걸리지만 텍스쳐멥핑 기법을 적용하면 간단히 면에 무늬가 있는 그림을 입힐 수 있게 됩니다. 이 기법을 적용하여 물질의 재질감을 표현할 수 있으며 좀더 사실적인 효과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GDI(Graphic Devide Interface)
그래픽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로써 선그리기와 컬러 관리 같은 그래픽 함수들을 구현하는 일을 담당하는 윈도우의 구성 요소이며, 윈도우에서 모든 그래픽 API들을 포함하는 DLL입니다.
DCI(Display Control Interface)
윈도우의 GDI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그래픽 표현 요구가 오면 이것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와 프린터 드라이버의 그림 표현 명령으로 변환하고 실제의 그림표현 처리를 행합니다. 조합에 의해 표시 디바이스 능력(색수와 해상도)에 의존하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이 작성할 수 있는 반면, GDI에서는 드라이버로의 변환 처리 오버헤드 때문에 그림표현 속도가 떨어지거나 동화상 재생과 3D 표시 엑셀러레이션 등 최근 새로운 하드웨어에 의한 메리트를 살릴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기위해 GDI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비디오카드의 성능을 발휘 하도록 설계된 것이 DCI입니다. DCI에서는 뱅크전환을 하지않고 비디오 메모리(프레임 버퍼 메모리)에 직접엑세스 가능하게 되어,하드웨어 동화상 재생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인텔과 마이크로소프트가 1993년에 공식화한 이 DCI는 윈도우즈의 GDI (Graphics Display Interface)를 통해 비디오를 효율적으로 보내고 비디오 카드가 비디오 복원작업을 CPU와 나눠 맡습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그래픽 카드는 DCI를 지원하며 디스플레이 성능을 30% 가량 높이고 비디오를 풀 스크린으로 확대하는 등의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마이크로 소프트는 DCI가 게임 개발자의 요구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이유로 윈도우즈95 비디오 재생 아키텍처를 기존의 DCI에서 텍스처 매핑,오버레이, 로테이팅, 미러링 등의 추가 기능을 가진 DD(Direct Draw)로 전환한 상태이며 DD(Direct Draw)의 장점을 이용하려면 비디오 카드 제조업체가 제공하는 업 데이트된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Direct Draw
다이렉트 트로우는 윈도우 95상에서 그래픽 카드가 가진 특별한 기능을 디자인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성능의 인터 페이스입니다. 가장 간단한 예가 게임의 속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BLT의 사용입니다. (BLT란 여러개의 점을 이용해 하나의면을 만드는 방식이 아닌, 직접 한번에 면을 그리는 방식입니다) 도스상에서 개발된 게임들은 VGA 레지스터를 직접 사용했기 때문에 각각의 그래픽카드가 가진 가속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윈도우의 표준 2D API(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던 초창기의 게임에서도 속성상 빠른 속도의 그래픽 처리는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다이렉트 드로우를 사용하면 상상할 수 없는 빠른 속도의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됩니다. 또한 그래픽 블라스터는 다이렉트 드로우를 통해 컬러 스페이스 변환(Color-Space Conversion)과 스트레칭(Stretch), 필터링 기법 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기법을 사용함으로써 AVI나 MPEG 파일을 풀 스크린, 풀 컬러로 재생할 때 재생되는 화질손상이나 프레임이 빠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다이렉트 드로우 기능을 8 비트와 16 비트 컬러 모드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기 때문에, 그래픽 블라스터를 사용할 경우에도 8 비트(256컬러)나 16 비트(65K 컬러) 모드를 사용해야 다이렉트 드로우의 강력한 그래픽 성능을 즐길 수 있게 됩니다.
Direct Video
다이렉트 비디오 (DirectVideo)는 다이렉트 드로우와 함께 그래픽 카드의 비디오 재생능력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사에 의해 고안되었습니다. 다이렉트 비디오는 다이렉트 드로우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MCI AVI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관리하는 일종의 드로우 관리자 (Draw hand-ler)입니다. 다이렉트 비디오 사용시 가장 커다란 이득은 풀 스크린 재생시 하드웨어 적으로 계단현상 및 깨짐현상, 화면이 찢어지는 현상을 현저히 줄여주는 것입니다. 다이렉트 드로우와 다이렉트 비디오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이렉트 비디오 드라이버가 제어판에 로딩 되어야 하며 해상도에 상관없이 8비트와 16비트 컬러모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래픽 카드의 다이렉트 비디오및 드로우 기능 사용여부를 살펴 보기 위해서는 시작 -> 제어판 -> 멀티미디어 -> 고급 -> 비디오 압축코덱에서 DirectVideo Driver [Draw]를 체크해보아야 하며, 현재 사용하는 컬러 수가 8비트(256컬러), 16비트(65,000컬러)인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래픽 블라스터는 윈도우 95 상에서 이러한 다이렉트 드로우와 다이렉트 비디오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윈도우 95 용 그래픽 프로그램 및 게임, 소프트 웨어 MPEG 및 AVI 파일(동영상) 재생시 더욱 빠른 그래픽 처리가 가능합니다. 또한 동영상의 확대시 나타나는 비트맵 현상을 제거하여, 풀 스크린으로 재생 시에도 부드럽고 깨끗한 영상을 제거하는 X, Y 인터폴레이션 기능까지 지원할 수 있게 됩니다.
X, Y 인터폴레이션
그래픽 블라스터의 YUV-to-RGB 컬러변환 기능 과 필터링 기능 YUV-to-RGB 컬러 변환(color space conversion) 기능은 비디오 디코더로 부터 나온 픽셀형태의 데이타를 모니터에서 사용하는 RGB 형식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그래픽 블라스터는 이러한 YUV-to-RGB 컬러 변환 기능을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CPU의 로드를 감축함 으로써, 남겨진 CPU 의 능력을 이용해 그래픽 재생 속도를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비디오 재생시에는 원본 비디오 클립이 가지고 있는 프레임 수를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 블라스터는 이러한 YUV-to-RGB 기능을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함으로써 16 비트의 YUV 포맷의 비디오를 화질의 손상없이 24 비트 RGB 형식으로 완벽하게 변환할 수 있으며, 또한 윈도우 데스크탑의 컬러수가 8 비트(256컬러)나 16 비트(65,000컬러)라 할지라도 원본 이미지를 풀 컬러로 충실하게 구현합니다. 또한 stretch/ filter 엔진은 조그만 비디오 클립을 화질 저하나 프레임드롭(Drop) 없이 풀 스크린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래픽 블라스터는 XY 인터폴레이션(수직, 수평 동시 지원)을 통한 바이니어 필터링(bilinear filtering) 기능을 지원 합니다. 대부분의 VGA 카드들은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며, 일부 이 기능을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라 할지라도 수직 방향의 경우에는 선을 복제하는 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입자가 크게 보이는 계단 현상이(staircasing) 발생하게 됩니다.
오버레이(Overay)
VTR 영상신호 및 비디오 카메라를 통한 신호 등 일반적인 영상 신호를 받아 화면에 중첩 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멀티미디어 PC 에서의 오버레이는 오버레이 기능을 가지고 있는 주변기기를 장착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PC 모니터 상에 중첩시켜 보여주는 기능을 말합니다.
크로마키(Chroma key)
입력되어 들어오는 영상 중 특정색을 지정하여 지정된 특정 색상에 VGA 이미지를 중첩시킬 수 있습니다. 이때 지정한 특정색을 크로마키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하와이 배경이 저장된 이미지 화일을 가지고 계시다면 실제 하와이에서 촬영된 것 같은 영상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스트로보(Strobo)
입력되어 들어오고 있는 영상을 정해준 시간만큼 정지시킬 수있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시면 마치 슬로우 모션과 같은 효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텍스트 오버레이(Text overay)
그래픽 화면 뿐만 아니라 도스화면등에서 볼 수 있는 일반 텍스트 화면에서도 오버레이가 가능합니다. 이런 기능을 텍스트 오버레이 라고 합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시면 텍스트 화면에서 작업하시면서 연결된 입력소스의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
미국, 캐나다, 일본, 맥시코, 한국 등지에서 사용되는 방송 시스템으로 TV 스크린에 영상을 나타내기 위해 초당 525 주사선과 60 프레임을 전송합니다.
PAL(Phase Alternation Line)
서유럽 (프랑스 제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사용되는 방송 시스템으로 TV 스크린에 영상을 나타내기 위해 초당 625 주사선과 50 프레임을 전송합니다.
프레임 캡쳐(Frame capture)
입력받은 영상 신호중 원하는 화면을 PC내에 파일 형태로 저장 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정지화면 및 움직이는 동화상 등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 버퍼(Frame buffer)
정지화상 등의 캡춰시 캡춰된 영상을 임시로 보관하는 기억장소 입니다.
인디오 R 3.2(Indeo R 3.2)
인텔이 만든 비디오 영상 압축 / 해제 기술,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비디오 포 윈도우즈에 적용되었습니다. 파일의 확장자는 .AVI 를 가지고 있습니다.
Intel i750
비디오 영상 압축 전용 칩입니다. 인디오 3.2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 합니다. 320*240 의 화면 크기로 초당 30 프레임까지 동영상을 압축 저장할 수 있습니다.
엔코더(Encoder)
영상신호, 음성 신호등 원래의 데이터를 특정 신호로 만들어 내는 작업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영상을 압축하여 CD 1장에 저장한다면 비디오 영상을 압축할 수 있는 엔코더가 필요합니다.
디코더(Decoder)
엔코더와는 반대되는 기능으로 엔코딩 기술로 만들어진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해제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흔히 볼 수있는 비디오 CD 재생 카드 (MPEG Card) 등이 바로 디코딩 보드(DecodingBoard) 입니다.
RCA VIDEO 케이블
2 선방식으로 되어 있는 VIDEO 신호및 음성 신호 등을 각각 전달할 수 있는 케이블입니다. 잭 내부의 핀이 둥글게 되어 있습니다.
미디(MIDI)
우리가 말로 서로간에 대화를 하듯이 전자 악기는 미디라는 언어로 통신을 합니다. 원래 미디는 전자 악기간의 통신규약을 말하지만 일반적 으로는 '소리가 나는 키보드나 모듈'을 칭합니다. 예전의 미디는 미디인터페이스만 있고 외부로 미디모듈이나 키보드를 연결 했으나 최근에 개발된 사운드 카드에서는 이 둘이 합쳐져 있습니다. 미디 인터페이스는 롤랜드사의 'MPU401'이라는 기기가 업계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AGC(Auto Gain Control)
먼저 입출력 이득조절(Input/Output Gain )에 대해서 설명드리면 여러회사에서 생산된 여러종류의 기기들은 다양한 출력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중인 입력소스가 작은 출력치를 가지고 입력된다면 아무리 볼륨을 최고치로 해도 다른 소스볼륨에 미치지 못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믹서콘솔의 게인 (Gain)의 양을 높여 소리를 크게 할수 있지만 게인의 수치를 높인만큼 잡음도 커지기 마련이므로 게인과 전체볼륨, 고음/저음, 개별볼륨을 적당량 만큼 조절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렇듯이 알맞은 게인조절은 레코딩시나 여러 소스의 알맞은 조절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능 이며 소스가 얼마나 큰출력치를 가지고 있는지 예상하기 힘들기 때문에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Auto Gain Control)이 필요하게 됩니다. 자동으로 게인을 변화 시키는 기술은 고급 오디오용 데크에서나 채용되는기술로 음의 찌그러짐이 없는 최고의 저 잡음을 실현하는 기능 입니다.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음악인을 위해 스피커아웃, 라인아웃 이외에 SPDIF라는 디지탈 출력 단자로써 앰프에 입력하는 소리는 아날로그 신호이며, 사운드 카드 내부에서 이를 디지탈로 변환해 믹싱녹음 등의 작업을 수행할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이소리는 스피커로의 출력을 위해 다시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 때문에 DAT(Digital Audio Tape), DCC(Digital Compact Cassette )와 같이 디지탈 신호로 녹음하는 전문장비를 연결하는 경우라면 굳이 아날로그로 재변환된 스피커나 라인 아웃 출력을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이와같이 컴퓨터 내부에서 처리된 디지탈 신호를 바로 녹음할 수 있는 단자가 SPDIF 단자이며, 이를 이용하면 불필요한 잡음을 최대한 줄여 더욱 선명한 사운드를 얻을수 있게 됩니다. 또한 전문음악 매니어들중에는 소리를 디지탈 방식으로 출력한후, 외장형 DAC(Digital Analog Converter) 를 거쳐, 앰프와 연결해 음악을 듣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외장형 DAC(Digital Analog Converter)와 사운드 블라스터의 단자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PnP(Plug aND Play)
PnP 란말이 뜻하고 있는바 그대로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설치 하기만 하면 바로 동작이 되게 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하드웨어를 구입하면 매뉴얼을 하나하나 읽어 보고, 사용하는 I/O 어드레스와 DMA(Direct Memory Access), IRQ(Interrupt Request)가 어떻게 사용 되는가를 미리 알아 주변 창치들간의 충돌을 피해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플러그 앤 플레이를 이용하면 충돌이 나는 부분을 플러그 앤 플러그 지원 주변카드의 도움으로 아주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 앤 플레이가 완벽하게 동작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가지 조건이 충족 되어야 합니다.
1. Plug And Play를 지원하는 바이오스. (메인보드 내의 플레쉬 롬바이오스)
2. Plug And Play를 지원하는 주변기기.
3. Plug And Play를 지원하는 운영체제.
위에 나열한것 처럼 플러그앤 플레이를 지원받기 위해서는 윈도우95 같은 플러그앤 플레이를 지원 운영체제가 필요하지만 도스나 윈도우 3.1 과 같은 Non Plug And Play 운영체제를 사용한다하더라도 Plug And Play의 혜택을 전혀 못받는 것은 아니며 인텔과 크리에이티브 랩에서 개발한 Configuration Mannager를 사용하여 I/O 어드레스와 DMA (Direct MemoryAccess), IRQ (Inter-
rupt Request)등의 설정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할수 있습니다.
OPL3(Operator type 3)
야마하 사에서 만든 음원칩 중 YMF 262M 칩을 OPL3 칩이라고 합니다. 기본적인 기능은 AdLib 카드에 사용되던 OPL2 칩인 YMF 3812 칩과 기능이 동일하지만 채널의 좌우 분리가 가능해 스테레오를 지원합니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할 때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만드는 인터페이스. 요컨대 입출력 함수나 개발할 프로그램을 위해서 만드는 하위 프로그램을 말한다. 또는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해 실행되는 하위 수준 서비스를 실행하고 요구하는 데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일컫는다.
Direct X(다이렉트 엑스)
윈도 95용 게임을 만드는 개발 라이브러리. 윈도 95에서 빠른 속도로 그래픽을 처리해주기 때문에 3차원 그래픽이 가능하며, 게임에 어울리는 실감나는 사운드도 지원할 수 있다. 게임 개발 언어인 게임SDK로 알려져 있으며, 다이렉트 드로, 다이렉트 사운드, 다이렉트 플레이, 다이렉트 인풋, 다이렉트 3D의 5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다이렉트 드로는 다이렉트 엑스의 핵심 부분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 게임이 직접(direct) 그래픽카드를 액세스하게 해주므로 고속 그래픽 처리가 가능하다. 다이렉트 사운드는 음량과 밸런스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규격이며, 다이렉트 플레이는 모뎀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명이 함께 게임할 수 있게 해준다. 다이렉트 인풋은 조이스틱을 제어하는 규약으로, MS 사의 사이드 와인더 3D 같은 제품을 사용할 때 좀 더 실감나는 동작을 제공한다. 다이렉트 엑스 2 버전부터 추가된 다이렉트 3D는 가상 입체 그래픽을 구현하는 핵심 기술이다.
EDO RAM(Extend Data Out RAM)
EDO RAM은 부가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마지막 작업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지우고 쓰는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는 RAM을 말한다. 현재 EDO RAM은 펜티엄보다 느린 프로세서에서는 그 특징을 구현할 수 없다. 특히 EDO RAM은 인텔의 Triton과 같은 칩셋에서 보다 빠르게 동작한다. 보통 EDO RAM이라고 불리는 것은 Burst EDO RAM이다.
Interrupt(인터럽트)
컴퓨터의 CPU에 특정한 신호를 보내서 CPU가 하던 일을 멈추고 다른 일을 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프린팅이 다 끝났다는 신호를 보내기 위해서 메시지를 화면에 보여주는 것이나 통신에서 다운로드가 끝났을 때 나타나는 소리와 메시지는 CPU에 인터럽트 신호를 보내서 나타내는 메시지다. 또한 입출력 장치는 고유의 인터럽트 순위와 인터럽트 요구선을 가지고 있다.
MO(Magneto Optical) 드라이브
레이저광과 자장을 이용해서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 매체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라고도 한다. 대개 SCSI 방식이 널리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E-IDE용도 개발되었으며, 주로 3.5인치 드라이브가 주종을 이룬다. 미디어는 3.5인치가 230MB 용량이며, 데이터의 안정성이 뛰어나 저장용 매체로 많이 쓰인다. 소니에서 처음 발표했으나 후지쯔의 Dyna MO가 많이 쓰인다.
MPEG(Motion Pictures Expert Group)
연속적으로 변하는 동화상을 압축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mpg라는 확장자를 갖는다. MPEG-1은 CD-ROM에서 최적화된 압축 기술이다. 화질은 VHS 비디오보다 좋고, 음질은 오디오 CD 정도이다. 이보다 진보된 MPEG-2는 방송용 화질로 고안되었다. MPEG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MPEG 카드가 있어야 했지만, 최근에는 CPU의 발달로 소프트웨어 MPEG가 많이 사용된다.
NT(Network Terminator) 회선 접속 장치
ISDN 전력을 공급하면서 디지털 신호를 분석,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로 ISDN 사용에 필수적인 장비이다. 한국통신에 ISDN을 신청하면 매월 2천원으로 대여가 가능하다.
Ping
일정 크기의 의미 없는 자료(패킷)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보내 되돌아오는 상태를 보고 회선 상태를 관찰하는 명령어이다. 이것을 통해 보내는 속도와 받는 속도를 체크할 수 있다.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사용자가 회선 상황을 체크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사용 방법은 login이 끝나고 프롬프트 상태에서 'ping 서버의 주소'를 적는다. 만약 아이네트와 연결되어 있다면 'ping ns.nuri.net' 라고 적어준다. packet loss가 0%일 때 정상이며 이것이 20~30% 정도 생긴다면 회선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RAMDAC(Ramdom Access Memory Digital to Analog Converter) 램댁
컴퓨터에서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지만 비디오카드에서는 이러한 신호를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에 보내 컴퓨터에서 일어난 일을 화면을 보여준다. 이러한 디지털 화면 신호를 아날로그 화면 신호로 바꾸어주는 것이 램댁이다.
SRAM(Static RAM)
플립플롭이라는 논리회로를 가지고 있는 기억소자로, DRAM에 비해서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다. DRAM은 간단한 축전기의 방저, 충전의 상태로 기억하지만, SRAM은 보다 복잡한 플립플롭이라는 논리회로를 가지고 있다. 이것 때문에 DRAM보다 고용량으로 만들기 어렵고 가격도 비싸지만,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어서 주로 캐시 메모리로 사용한다.
S-Type 카드
ISDN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로 ISDN용 모뎀이라 생각하면 된다. ISDN의 디지털 신호와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디지털 신호를 맞춰주는 기능을 하는 장치이다. 흔히 ISDN 카드, ISDN 모뎀으로 불린다.
TA(Terminal Adapter)
NT(회선 접속 장치)와 S-Type의 기능을 통합한 접속 장치이다. 이 장비는 일반 전화기와 팩스를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ISDN 전화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요즘은 S-Type 카드보다 TA가 주로 생산되고 있으며, 64K부터 128K까지의 속도를 지원한다.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표면을 손으로 눌러서 선택하거나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는 모니터를 말한다. 가장 간단한 터치 스크린은 격자 구조의 감지선들로 구성되는데 이 선들은 수직, 수평 접촉을 짜맞추어 위치를 결정한다. 좀 더 정교한 타입은 전기적으로 충전된 표면과 전기적 붕괴의 양과 접촉이 이루어진 핀 포인터를 감지하기 위해 스크린의 외부 모서리 주위에 센서를 사용한다. 세 번째 타입은 적외선 LED와 센서들을 스크린의 외부 테두리 주위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LED와 센서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 격자를 만들고, 이것을 스크린 정면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지한다. 적외선 터치 스크린은 오염 물질이 다른 종류의 터치 스크린의 동작을 방해할 수 있는 '더러운' 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스크린의 한 포인터에 손을 대야 하기 때문에 제한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또한 고해상도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보 알림판과 말하는 기계와 같은 응용분야에서는 활발히 이용되어 왔는데, 그 이유는 마우스나 키보드 같은 하드웨어 없이 입력이 가능하고, 스크린에 손을 댄다는 자체가 직관적이기 때문이다.
TV 수신 카드
TV 전파를 받아서 컴퓨터 모니터로 TV를 보여주는 장비이다. TV 튜너는 먼저 TV 전파를 수신해서 비디오카드가 인식하는 신호로 만들어 비디오카드로 보낸다. 이 TV 신호는 비디오카드에서 모니터로 보여지게 된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TV 튜너가 하나의 카드로써 비디오카드와 연결됐지만 요즘은 통함 VGA 카드에 함께 장착된다.
가이드
컴퓨터 케이스의 베이에 드라이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플라스틱이나 철판 조각. 예전의 컴퓨터 케이스는 정확한 프레스가 이루어지지 않아 디스크 드라이브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가이드 없이도 디스크 드라이브가 타이트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는다. 소요 케이스 등 일부 제품에서는 쉽게 끼웠다 뺐다 하기 위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단축 아이콘(Shortcut)
윈도 95에서 실제 아이콘이 아니라 가상으로 만들어진 아이콘을 의미한다. 단축 아이콘은 실제 프로그램이 아니라 실행 프로그램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이 아이콘을 지운다고 해도 실제 프로그램은 지워지는 것은 아니다. 단축 아이콘은 기본적으로 오른쪽 아래에 작은 화살표를 가지고 있다.
델파이(Delphy)
오브젝트 파스칼이라는 언어를 사용하는 프로그램 개발 툴이다. 객체 지향 언어이며, 일반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OS/2, 윈도 워크그룹, 노벨 네트웨어 등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한다. 윈도에서 사용하며, 델파이로 완성된 프로그램은 EXE파일로 만들어진다.
두얼 프로세서(Dual Processor)
하나의 컴퓨터에 2개의 중아처리장치(CPU)를 가지고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같은 종류의 중앙처리장치가 있어서 병렬 처리가 가능하다. 두얼 프로세서는 운영체제에서도 지원해야 하는데 도스나 윈도 95에서는 병렬 처리를 위한 두얼 프로세서가 지원되지 않는다. 반면 윈도 NT나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는 두얼 프로세서를 지원한다.
리얼 모드(Real Mode)
인텔 사의 CPU에서 지원하는 것으로, 프로그램마다 한정된 기억 장소가 주어져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이 가능한 CPU의 동작 상태. 80286부터는 가상 기억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동작을 할 수 있는 프로텍티드 모드(Protected Mode)를 지원한다.
멀티태스킹(Multitasking)
동시에 2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워드프로세서로 프린팅을 하면서 게임을 하는 경우다. 이러한 멀티태스킹은 윈도 환경에서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의 창을 하나의 태스크(작업)로 생각하면 된다. 지금 화면에 보이는 작업은 '포그라운드'라고 하며 화면에 보이진 않지만 작업 중인 것은 '백그라운드'라고 한다. 멀티태스킹은 실제로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운영체제에서 프로그램의 실행 시간을 조금씩 나누어 빠른 CPU가 돌아가면서 조금씩 작업들을 진행시키는 것이다. CPU의 작업 처리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동시에 일어나는 것처럼 느낄 뿐이다.
베이(Bay)
컴퓨터 케이스 내부에 주변기기를 장착할 수 있게 만든 곳. 주로 하드디스크나 플로피디스크, CD-ROM 드라이브 등을 설치하며, 5.25인치 베이와 3.5인치 베이가 있다. 케이스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미들 타워형의 경우 5.25인치 3~4개, 3.5인치 1~2개의 베이를 가지고 있으며, 3.5인치베이 중에는 케이스 전면에 드러나지 않는 하드디스크용 베이도 있다.
베젤(Bezel)
컴퓨터 케이스 전면 부분. 케이스는 새시부와 베젤부로 나뉘는데, 베젤은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며 외부 디자인의 중심을 이룬다. 베젤에는 전원, RESET, TURBO 스위치와 HDD, TURBO, POWER LED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스위치와 LED는 메인보드에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각각 다른 색상의 전선이 섀시 내부까지 연결된다. 케이스에서는 이 베젤과 섀시의 연결 부분이 가장 약하다.
불린(Boolean) 검색
'0'과 '1' 또는 '참'과 '거짓'으로 표현되는 논리수학의 일종을 부울대수라고 하는데, 부울대수는 디지털 논리회로에서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AND', 'OR', 'NOT'이 있으며 이것이 확장된 형태도 있다. 부울대수에서 A 'AND' B는 A와 B가 모두 들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A 'OR' B는 A 또는 B가 하나만 있어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울대수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것을 불린 검색이라 하며, 대부분의 검색 사이트에서는 불린 검색을 지원한다.
소스 코드(Source Code)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처음 만든 것을 소스 코드, 혹은 소스 파일이라고 한다. 일반인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컴파일'이라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소스 코드를 볼 수 없다. 단, 텍스트 파일 형식을 가지는 스크립트 파일이나 HTML 문서에서는 소스 코드를 볼 수 있다.
스트림웍스(StreamWorks)
넷스케이프 플러그인 프로그램의 하나로 온라인상에서 실시간 동영상을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스트림웍스는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서버로 보내므로, 사용자가 서버에 연결하면 비디오와 오디오를 이터넷으로 볼 수 있다. 스트림웍스 방송을 시청하려면 Xing 사의 홈페이지(http://www.xingtech.com/)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 스트림웍스를 제공하고는 홈페이지에 연결하면 된다.
윈도 NT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서버 혹은 워크스테이션급 운영체제이다. 윈도 NT는 486 이상의 CPU, 16MB 이상의 메모리를 요구하는 운영체제로, 32비트 파일 시스템과 두얼 CPU, 멀티유저 환경을 지원한다. 윈도 NT 3.5는 윈도 3.1과 모양이 비슷했으나 최근에 발표된 윈도 NT 4.0은 윈도 95와 비슷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인텔, 알파, MIPS 등 여러 종류의 CPU에서 동작한다.
이퀄라이저(Equalizer)
전자회로의 수신단에서 잡음이 아닌 주파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가 일그러짐, 감쇠, 시간 지연되는 현상을 원래 송신단에서 보낸 신호와 비슷하게 만들어 주는 장치이다.
인터랙티브(Interactive)
우리말로 하면 '쌍방향성' 혹은 '양방향성'으로 해석된다. 인터랙티브란 단순히 워드프로세서를 입력하거나 파일 관리자 등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생각과 프로그램된 켬퓨터의 생각(?)이 의사소통하는 것을 의미한다. PC통신이 대표적인 인터랙티브 매체이다. 즉, 컴퓨터를 매개로 자신과 보이지 않는 상대바이 서로 대화하고 교류하며, 인터랙티브 영화나 소설은 보는 이가 그 속에 참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퀵 타임(Quick Time)
애플 사가 개발한 동화상 규격이다. 퀵 타임은 매킨토시용으로 개발되었으며 퀵타임 포 윈도는 윈도에서 실행할 수 있다. 퀵 타임에서 재생할 수 있는 파일은 MOV라는 확장자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파일을 퀵타임 무비라고 한다.
클러스터(Cluster)
클러스터란 도스에서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자료의 최소 단위를 가리키는 말로, 최소 크기는 1024바이트이다. 파일은 이러한 클러스터의 연속으로 이루어져 FAT(File Allocation Table)에 기록되는데 컴퓨터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에는 이러한 클러스터의 정보가 FAT에 제대로 기록되지 않아 로스트 클러스터가 생기게 된다.
트루타입 폰트(Truetype Font)
애플 사와 마이크로소프트 사가 공동 개발한 아웃 라인 글꼴을 말한다. 기존의 글꼴은 비트맵 글꼴로 글꼴을 확대했을 경우 작은 글꼴이 그대로 확대되어 보기에 좋지 않았으나 트루타입 글꼴은 확대했을 경우에도 거친 선이 보이지 않는다. 트루타입 글꼴은 애플사 시스템 7과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윈도에 채용되어 지금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글의 경조체는 비트맵 글꼴이고, 신명조체는 트루타입 글꼴이다.
패스트 이더넷(Fast Ethemet)
초당 100Mbps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규약. 기존 이더넷의 10Mbps보다 10배 빠르다. 패스트 이더넷을 사용하려면 네트워크카드, 케이블, 허브가 모두 패스트 이더넷을 지원해야 한다.
해상도(Resolution)
모니터나 프린터로부터 얻은 출력물의 선명도를 말한다. 프린터의 해상도는 가로 세로 인치당 도트수로 나타내며 모니터에서의 해상도는 화면상의 가로점과 세로점으로 표현된다. 해상도는 비디오카드의 성능에 의해 결정된다.
프리웨어(FreeWare)
말그대로 공짜로 사용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단, 상용으로 쓰이지 않는 범위 내에서 무료로 배포되며, 저작권이 살아 있는 소프트웨어다.
쉐어웨어(ShareWare)
PC통신이나 인터넷을 유통 경로로 갖는 소프트웨어 상품이지만, 전형적으로 30일이나 10일 정도의 평가 기간을 제공해 무료로 소프트웨어를 사용해볼 수 있게 한다. 대부분의 쉐어웨어는 정식으로 구입할 때에만 설명서, 업그레이드 등의 소프트웨어 지원 서비스가 제공된다.
도네이션웨어(DonationWare)
소프트웨어가 특히 마음에 들거나 규칙적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지만, 사용 후 개발자에게 원본을 되돌려준다는 보장을 해야 한다. 도네이션웨어의 경우, 약간의 돈을 지불하면 갱신되는 사항을 계속 업그레이드 받으며 개발자와 Q&A 등의 연략을 취할 수 있다.
포스트카드웨어(PostcardWare)
유도라 사용자에게만 국한된 소프트웨어로서, 개발자에게 전자우편을 보내면 사용하고 싶은 기간 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업 버전(Commercial Version)
대부분의 프리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상업 버전이다. 이런 상업 버전은 통신이나 인터넷을 통해 개발자와 연락해 상품 정보를 얻어 구입할 수 있다.
PDS(Public Domain Software)
저작권을 전부 포기한 응용 프로그램이다. 즉, 개발자가 저작권을 포기하고 누구나 무상으로 사용, 배포할 수 있도록 소스 리스트나 오브젝트를 공개한 소프트웨어를 가리킨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이 그대로 사용하거나 개조할 수 있다.
페이크웨어(FakeWare)
겉으로 보면 정식 버전과 같은 데이터 파일과 화면을 제공하지만, 그 안에는 단지 *.com과 *.exe 그리고 바이러스가 담겨 있는 공개 소프트웨어이다.
캡션
'캡션(Caption;자막)'이란 영화 분야에서 흔히 쓰이는 표현으로 비디오의 음성 정보가 문자 정보로 표시되는 것을 말한다. 비디오 테이프의 자막을 떠올리면 된다. 즉 화면의 하단에 나타나는 글자들이 바로 캡션인 것이다.
CCFE
'CCFE(Closed-Caption For Education)'는 영어나 일어 등의 외국어 학습을 위한 교육용 캡션 규격이다. 이는 청각 장애자용 캡션 규격ㅇㄹ 대폭 강화하여 교육 목적에 적합하게 각종 기능을 추가시킨 교육용 캡션 규격이다. 이 규격의 지원을 통해 사용자들은 자연스럽게 컴퓨터로 영화를 감상하면서 동시에 영어 학습도 할 수 있게 되었다. 원래 이 프로그램은 가산전자의 제품인 WINX-퍼펙트에 내장된 기능이었으나 별도 프로그램화하여 일반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CC
'CC(Closed-Caption)'란 말 그대로 닫혀진 캡션, 즉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 자막을 의미한다. 이는 평소에는 보이지 않다가 사용자가 원할 경우 나타나게 하는 기능이다. 영화나 비디오에서는 언제나 자막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상태를 'Open Caption'이라고 한다.
CCI
'CCI(Closed-Caption Interactive)'는 방송이나 비디오 테이프 등에 삽입된 자막의 또 다른 형태로, 비디오 CD 2.0 규격을 만족하는 비디오 CD에 담겨진다는 점이 다르다. 우리가 쉽게 볼 수 있는 자막은 시청자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표시되는 것이다. 하지만 CCI는 사용자가 원할 때에만 자막을 표시할 수 있으며, 캡션 데이터를 따로 불러내어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다 다이내믹한 형태의 캡션이다. 한마디로 단순 전달형의 기존 캡션에서 한 걸음 진보한 대화형 캡션이다.
비디오 CD 2.0
비디오 CD 2.0 규격은 필립스, 소니, 마쓰시타, JVC 등의 가전 4사가 만든 새로운 비디오 CD 규격으로, 상호 대화(Interactive)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비디오 CD이다. 장면을 거꾸로 돌리는 '플레이 백' 컨트롤 기능과 고해상도 정지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비디오 CD 1.0 규격이 흡사 비디오 테이프처럼 단순한 영화 감상이나 가라오케 등으로 쓰여졌던 것에 반해 비디오 CD 2.0은 상호 대화가 가능한 재생 목록과 선택 목록, 재생 항목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볼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TX
ATX는 인텔이 1995년 중반기에 발표한 PC 제조에 관한 새로운 규약. PC 제조원가를 낮추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자는데 목적이 있다. 메인보드, 케이스, 전원 공급장치의 모양을 효율적으로 재설계했다. 사운드카드와 비디오카드가 메인보드에 장착되어 있는 형태와 그렇지 않은 두 가지 형태가 있다. 메인보드에 +3.3V를 직접 공급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발열량을 줄였다. 외형적으로는 냉각팬이 돌출되어 CPU까지 함께 냉각시켜 별도의 CPU 냉각팬을 가지고 있지 않다.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집적도가 높고 저전력에서 동작하는 반도체의 종류이다. 메인보드는 ROM과 CMOS 한 쌍을 가지고 있다. ROM에는 컴퓨터를 체크하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고 CMOS에는 하드디스크의 종류라든가 보드의 여러 가지 데이터 내장 시계를 가지고 있다. 메인보드의 CMOS는 내장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있으며 배터리가 모두 방전되면 데이터를 잃어버린다.
CPS(Character Per Second)
레이저프린트를 제외한 도트 매트릭스, 잉크젯프린터 등의 작업 속도를 측정하는 기준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 등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기들의 성능 기준이다. 1초 동안 전송할 수 있는 문자 수를 나타낸다.
DMA(Direct Memory Access) 직접 메모리 접근
CPU를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와 메모리 사이에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모리 접근 방식이다. DMA 컨트롤러 칩을 사용하여 CPU에 아무런 부하를 주지 않기 때문에 보다 빠르게 메모리와 주변기기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Full Duplex(풀 듀플렉스)
송신과 수신이 하나의 채널을 사용하고 동시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방식이다. 이것과 반대로 송신과 수신이 독립적인 채널을 가지고 있는 것을 심플렉스(Simplex)라고 하며 송신과 수신을 하나의 채널로 사용하지만 무전기처럼 동시 송수신이 안되는 것을 하프 듀플렉스(Half duplex)라고 한다. 풀 듀플렉스 방식을 가지고 있는 사운드 카드는 녹음과 재생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운드 카드를 가지고 인터넷 폰을 사용하면 전화를 사용하는 것처럼 상대방의 소리를 들으며 자신이 이야기를 할 수 있다. 하지만 풀 듀플렉스를 지원하지 않는 사운드 카드를 사용하면 무전기처럼 자신이 말한 후에 상대편의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FTP(File Transfer Protocol)
컴퓨터 통신에서 파일을 다른 컴퓨터로 전송하는 방식. 주로 인터넷에서 파일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로 사용되며. 이 때 FTP를 이용해서 다른 호스트 컴퓨터와 연결하여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다. 공개된 FTP 서버는 'anonymous FTP' 서버라고 불리우며 접속할 때 ID는 'anonymous'를 입력하고 패스워드는 자신의 email 주소나 guest를 입력한다.
FM(Frequency Modulation)
사운드 카드에서 소리를 내기 위한 방식으로 주파수 변조 방식을 이용한다. 사운드 카드에서는 대부분 FM음원을 기본으로 사용한다. 주파수 합성을하여 소리를 만들어내므로 다양한 음색을 합성할 수 있다. 야마하에서 제작한 FM음원 방식으로 OPL1, OPL2, OPL3가 있으며 요즘은 OPL3를 채용한 칩을 사용하거나 그에 호환되는 칩을 사용하고 있다.
IRQ(Interrupt Pequest)
입출력 포트, 키보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CPU에 인터럽트를 요구하기 위해 인터럽트 컨트롤러에 보내는 신호. IRQ가 발생하면 CPU는 우선 순위가 높은 것부터 인터럽트를 허용한다. 인터럽트 우선 순위는 하드웨어의 내부에 규정되어 있으며, CPU가 각 요구의 상대적 중요성을 결정할 수 있도록 요구마다 다른 상대적 우선 순위가 할당되어 있다.
PCM(Pulse Code Modulation) 음원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방법 중의 하나. 사운드 카드의 미디음원은 대부분 PCM 방법을 사용한다. 우리가 듣는 소리는 아날로그인데 이것을 1초 동안 샘프링하여 샘플링된 디지털 신호를 특정한 값으로 만들어 칩 속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PCM 음원을 가지고 있는 사운드 카드를 사용하면 보다 자연음에 가까운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버전(감마버전)
베타버전의 다음 버전을 의미하는 감마버전은 보다 넓은 필드 테스트를 위해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공하는 미완성 버전이다. 제품 테스트를 위해 한정된 사용자를 대상으로한 베타버전과는 달리, 감마버전은 반드시 거쳐야 되는 과정은 아니다. 국내에서는 IBM의 OS/2 멀린이 감마버전 형태로 통신망에 공개되었다.
번들(Bundle)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하드웨어를 구입할 때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최근에는 패키지화 된 메인 프로그램에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타업체의 소프트웨어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번들로 제공되는 제품은 독자적으로 판매되는 사용프로그램이며 컴퓨터나 패키지 판매 업체가 이들 업체로부터 제품을 구입하여 함께 제공하는 것이다.
비프음(Beep Sound)
사운드 카드를 이용하지 않고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말한다. 음원을 갖고 있지 않아서 소리는 그저 '삑삑'하면 나는 소리다. 컴퓨터의 사운드 카드가 개발되지 않았을 때 게임에서도 사용했다. 컴퓨터를 처음 켜면 '삑' 하고 나는 소리가 비프음이다.
어드벤체 게임
컴퓨터 게임의 한 종류로 게임 속의 인물을 조종하며 사건의 실마리를 풀어나가는 형식이다. 게이머는 게임 속의 등장인물과 대화하기, 줍기, 열기, 닫기 등으로 게임 속의 자신을 조정하고 돌아다니며 게임을 한다. 어드벤처 게임은 탄탄한 줄거리와 다양한 사건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어드벤처 게임으로는 '래리', '어둠의 씨앗' 등이 있다.
인트라넷(Intranet)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새롭게 대두되었던 것이 인트라넷으로, 기존 사무실 환경의 그룹웨어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등장하였다. 인터넷과 동일한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무실내의 네트워크를 인트라넷이라 한다. 그룹웨어는 사용자마다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번거로움과 업그레이드시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었지만 인트라넷을 이용하면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웹브라우저로 인트라넷을 사용한다. 자연스럽게 인터넷과 연결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 중 하나이다. 인트라넷은 인터넷의 대중화와 웹브라우저의 기능 향상, TCP/IP를 기반으로 한 응용 프로그램들의 확충으로 더욱 그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커널(Kernel)
운영체제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메모리, 주변장치, 파일 등과 같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자원들을 관리하며 CPU 스케줄링 입출력 등을 제어하는 역활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