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랜드명 | 설립연도 | 소재지 | 분야 |
다오샹춘(稻香村) | 1773년 | 장쑤성 | 제빵, 제과 |
후이바이러(惠佰乐) | 1999년 | 지린성 | 제빵, 제과 |
유천(友臣) | 2012년 | 푸젠성 | 종합식품 |
라오샹자이(老香斋) | 1993년 | 상하이 | 제빵, 제과 |
위차산팡(御茶膳房) | 1996년 | 베이징 | 제빵, 제과 |
베이징다오샹춘(北京稻香村) | 1985년 | 베이징 | 제빵, 제과 |
아미(阿咪) | 2000년 | 상하이 | 제빵, 제과 |
야미러(丫眯乐, YUMMYHi) | 2007년 | 윈난성 | 종합식품 |
캉취안(康泉) | 2004년 | 광둥성 | 유제품 |
강룽(港荣, Kong WENG) | 1993년 | 광둥성 | 제방, 제과 |
자료: 10대브랜드넷
ㅇ 건강식품 시장 규모
- 중국 시장조사기관인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2010년 중국의 건강식품(保健食品) 시장 규모는 562억 위안 정도였으나 2018년에는 2898억 위안으로 5배 넘게 성장함.
- 쳰잔산업연구원은 중국의 건강식품 시장 규모가 아시아 최대 규모이며, 아시아는 전 세계에서 유럽 다음으로 큰 건강식품 시장을 가지고 있다고 발표함.
- 중국 내 신체건강부터 정신건강까지 건강과 관련된 모든 영역을 아우르는 대건강(大健康)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체 산업 및 시장 규모가 성장하고 있음.
-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 중 70% 이상이 건강식품을 섭취한 적이 있다고 밝히는 등 시장이 성장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
중국 건강식품 시장 규모(中国营养保健食品市场规模)
(단위: 억 위안)
자료: 쳰잔산업연구원
□ 건강식품의 수요와 공급
ㅇ 국가약품감독관리국에 등록된 건강식품
- 홍콩무역발전국(HKTDC)이 발표한 ʻ중국 건강식품 시장동향(中国保健食品市场概况)ʼ에서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6월 기준,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国家市场监督管理总局) 산하 국가약품감독관리국(国家药品监督管理局)이 승인한 1만 7512개 건강식품 중 1만 6732개는 중국에서 생산한 제품이며 780개는 수입 제품임.
- 중국 관리당국에 등록된 제품의 효능을 살펴보면 면역력 향상, 비타민 보충, 피로회복, 수면장애 개선 등 다양함.
-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건강식품 시장을 제품군으로 살펴봤을 때 건강 보조식품(55%)과 영양 보충제(33%) 순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함.
ㅇ 중국 내 주요 건강식품의 품목 분류
- 건강식품의 품목 분류는 원료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조제 식료품으로 구분됨.
- 소매용으로 판매되는 의약품은 제3003호와 제3004호로도 분류되는데, 일부 건강식품이 여기에 해당되는 경우도 있음.
품목 분류
구분 | HS Code |
따로 분류하지 않은 조제 식료품 | 2106.90 |
따로 분류하지 않은 조제 식료품 기타 | 2106.9090 |
비타민 C와 이들의 유도체 | 2936.27 |
기타(제2936호의 비타민이나 그 밖의 물품을 함유한 것으로 한정한다) | 3004.50 |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ㅇ 주요 건강식품 공급처
- 홍콩 무역발전국 자료에 따르면 중국 내 주요 건강식품 생산지는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산둥성, 장쑤성, 저장성 등으로 중국 전체 건강식품 기업의 약 50%가 6개 지역에 분포돼 있다고 밝힘.
- 최근 식품 안전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생산과 유통 과정에서 시장관리 감독이 강화되고 있다고 덧붙임.
ㅇ 주요 건강식품 수입국
-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이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의 자료를 정리한 내용에 따르면 건강식품 산업을 선도하는 국가는 호주, 미국, 독일, 뉴질랜드 등임.
- GTA(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18년 중국이 호주로부터 수입한 건강보조식품 등 조제 식료품 기타 제품(HS Code 2106.9090)은 6억4500만 달러 규모로 중국이 호주에서 수입한 전체 조제 식료품(HS Code 2106.90)의 99.9%를 차지함.
- 2018년 중국이 미국으로부터 수입한 건강보조식품 등 조제 식료품 기타 제품(HS Code 2106.9090)은 5억9400만 달러 규모로 중국이 미국에서 수입한 전체 조제 식료품(HS Code 2106.90)의 99.9%를 차지함.
- 2018년 중국이 수입한 비타민 C 제품(HS Code 2936.27)은 약 700만 달러 규모로 주요 수입국은 일본, 영국, 미국, 한국 등으로 나타남.
□ 주요 건강식품 브랜드
ㅇ 중국 진출 주요 기업 및 브랜드
- 중국브랜드넷(中国品牌网)은 중국 내 주요 건강식품 브랜드를 발표했는데 바이헬스, 암웨이, 화이자, 사노피 등 다국적 기업이 다수 포함됨.
주요 건강식품 기업 및 브랜드
기업명 | 브랜드 | 소재지 | 홈페이지 |
바이헬스유한공사 (汤臣倍健股份有限公司) | 바이헬스 (汤臣倍健) | 광저우 | www.by-health.com |
암웨이차이나 (安利(中国)日用品有限公司) | 뉴트리라이트 (NUTRILITE,纽崔莱) | 광저우 | nutrilite.amway.com.cn |
양성탕유한공사 (养生堂有限公司) | 양성탕 (养生堂) | 항저우 | www.yst.com.cn |
둥어어자오유한책임회사 (东阿阿胶股份有限公司) | 둥어어자오 (DEEJ,东阿阿胶) | 산둥성 | www.dongeejiao.com |
화이자투자유한공사 (辉瑞投资有限公司) | 센트룸 (Centrum, 善存) | 상하이 | www.centrum.com.cn |
화이자투자유한공사 (辉瑞投资有限公司) | 칼트레이트 (Caltrate, 钙尔奇) | 상하이 | www.caltrate.com.cn |
하야오그룹산징제약유한공사 哈药集团三精制药有限公司 | 하야오 (Sanchine, 三精) | 헤이룽장 | www.sanjing.com.cn |
중국베이징통런탕그룹유한책임회사 (中国北京同仁堂(集团)有限责任公司) | 통런탕 (同仁堂) | 베이징 | www.tongrentang.com |
젠안시상하이무역유한공사 (健安喜(上海)贸易有限公司) | 젠안시 (GNC, 健安喜) | 상하이 | www.gncstore.com.hk |
항저우사노피민생건강제약유한공사 杭州赛诺菲民生健康药业有限公司 | 21진웨이타 (21金维他) | 저장성 | www.21vita.com |
자료: 중국브랜드넷(中国品牌网)
□ 판매 채널 및 유통 사례
ㅇ 주요 판매채널
- 현지 건강식품 유통상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대건강(大健康)과 관련된 제품은 전통적인 방식인 직판, 프로모션 행사와 연계한 판촉 방식으로 시장에 유통되는 경우가 많음.
- 특히 시니어가 애용하는 제품은 접근성 때문에 양로원 또는 의료기관과 연계해서 판매되는 경우가 많음.
- 해외 유명 브랜드 제품은 정식으로 온오프라인 매장에서도 찾아볼 수 있음. 징둥(京东), 톈마오(天猫), 왕이카오라(网易考拉), 1하오뎬(1号店) 등 일반 소비재를 판매하는 온라인 플랫폼뿐만 아니라 건강식품만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온라인 플랫폼인 궈민젠캉윈(国民健康云, www.gmjk.com) 등에서도 구입할 수 있음.
건강식품 전문 온라인 플랫폼
자료: 궈민젠캉윈(国民健康云) 홈페이지
ㅇ 호주 건강식품 기업 사례
- 다롄 현지 국제물류∙유통기업 담당자에 따르면 해외직구로도 잘 알려진 국가간전자상거래(Cross-border E-commerce) 방식을 통해 중국 내 소비되는 건강식품이 최근 증가하고 있음.
- 호주 유명 건강 보조식품 스위스(Swisse)와 블랙모어스(Blackmores)는 중국 온라인 플랫폼 톈마오인터내셔널(天猫国际, Tmall Global)에 공식 매장을 열고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자료: 톈마오인터내셔널(天猫天猫国际) 홈페이지
ㅇ 한국 S사 사례
- 충북 소재 건강식품 제조사 S사의 제품은 국내 대형마트, 직영 온라인 매장 등을 통해 국내 인지도를 점차 쌓아가고 있으며 현재 중국 시장진출을 준비하고 있음.
- KOTRA 다롄 무역관 사업 참가 후 국경 간 전자상거래(Cross-Border e-Commerce) 방식으로 중국 내 첫 수출을 준비하고 있으며 현재는 입점을 위해 여러 플랫폼과 논의를 이어가고 있음.
- 오프라인 판매채널 구축을 위해 중국 대리상도 찾고 있으며 대리상과 함께 중국 내 브랜드 등록 및 정식 유통을 시작할 계획임.
□ 시사점
ㅇ 시니어 건강식품과 일반식품 수요 확대
- 홍콩 무역발전국은 1인당 건강식품 소비 규모를 비교했을 때 중국의 소비 규모는 117위안으로 미국(924위안)과 일본(662위안)의 시장 규모와는 차이가 크기 때문에 중국의 건강식품 소비 규모가 지속 확대될 것으로 내다봄.
- 중상정보망에 따르면 55~64세 연령대에서 건강식품 수요가 가장 많으며, 뒤이어 65세 이상 소비자와 45~55세 소비자 수요가 많음.
- 이 때문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소비력을 갖춘 시니어 대상으로 건강식품과 일반 식품 수요가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ㅇ 수입∙통관 및 현지 유통과정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 필요
- 다롄 소재 식품 유통기업 T사에 따르면 최근 중국의 식품 안전에 관한 관리감독이 강화되고 수입식품의 경우 정식 통관된 제품인지 확인하는 절차가 많이 까다로워짐.
- 중국 내 비즈니스를 준비하고 있는 기업은 현지 수입 통관 및 유통과정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이 필요하며 시장 내 유통 후에도 어떤 식으로 관리가 되는지 지속적으로 확인이 필요함.
- 일반식품을 유통하는 T사의 경우 중국 내 모조품 문제로 큰 골머리를 앓고 있으며 현지 시장감독관리국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준비 중임.
자료: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홍콩무역발전국(HKTDC),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중국브랜드넷(中国品牌网), 톈마오인터내셔널(天猫天猫国际) 등 KOTRA 다롄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