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 분 | 2014 | 2015 | 2016 | 2017 |
드럼세탁기 평균 가격 | 3,906 | 3,872 | 3,634 | 3,804 |
일반세탁기 평균 가격 | 1,585 | 1,578 | 1,569 | 1,613 |
자료: 중국산업뉴스(中国产业信息网)
2010~2018년 상반기 중국 세탁기 판매액
(단위: 억 위안)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ㅇ 일반 세탁기에서 드럼세탁기로의 교체 소비 증가
- 중국의 가구당 세탁기 보급률은 평균 87.4%이나 드럼세탁기의 보급률은 27%에 그침.
- 2018년 상반기 일반세탁기 판매량은 전년대비 0.6%, 판매액은 2.8% 증가한 데 비해 드럼세탁기 판매량은 13.5%, 판매액은 18.3% 증가함.
ㅇ 결합형 및 스마트 세탁기의 성장
- 용량 10kg 초과 대용량 세탁기의 경우, 두 개 이상의 모터 혹은 세탁조가 구동되는 결합형 제품이 잇따라 출시됨.
- 2017년 휴대폰 연동이 가능한 세탁기 판매는 전년대비 129.8% 성장했고 무게 측정 후 세제를 자동으로 투입하는 세탁기 판매는 26.5% 성장함.
- 이 밖에도 세탁물 및 세탁조 소독, 저소음 등 편의 기능이 추가된 상품이 인기
□ 수입동향
ㅇ 내수 부진으로 세탁기 수입 규모 감소
- 2018년 중국의 세탁기(HS 8450.20) 전체 수입 규모는 3년 연속 하락세
ㅇ 대한국 세탁기 수입 규모 역시 감소 추세이나 여전히 최대 수입국 유지
- 2018년 기준 중국의 대한국 세탁기 수입 규모는 약 1309만 달러로 전년대비 약 28% 감소
- 한국은 지난 3년간 수입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2위인 미국과 큰 차이로 선두를 유지
2016~2018년 중국 세탁기(HS CODE 8450.20) 수입 상위 10개국
(단위: 천 달러)
자료: GTA
□ 경쟁동향
중국 내 주요 브랜드
브랜드 | 브랜드 소개 |
海尔 | - 본사 소재지: 중국 - 특징: 1984년 설립, 중국 대표 전자제품 브랜드로 포춘 선정 2019년 세계 500대 기업에 이름을 올림. - 자체 특허 기술을 다수 보유, 가정 내 海尔 가전 제품을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연동 어플 등을 출시해 사용자 중심의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 홈페이지: www.haier.com/cn/ |
小天鹅 | - 본사 소재지: 중국 - 특징: 1978년부터 세탁기 생산을 시작해 하이얼과 함께 세탁기 대표 브랜드로 인식 - 건조 시 세탁물 손상을 줄인 ‘智臻라인’, 소음과 전기 사용을 줄인 ‘TS-Drive라인’ 등 라인별 강점을 살린 시리즈 제품이 인기 - 홈페이지: www.littleswan.com/ |
美的 | - 본사 소재지: 중국 - 특징: 2017년 기준 小天鹅 지분을 37.8% 보유하고 있으며, ‘凡帝罗라인’은 3D 센서 및 심플한 유럽풍 디자인으로 대표적인 프리미엄 제품으로 자리매김함. - 홈페이지: www.midea.cn |
LG | - 본사 소재지: 한국 - 특징: 드럼세탁기 하단에 일반세탁기를 추가 설치할 수 있는 ‘트윈워시’ 제품으로 분리·동시 세탁 기술을 선보여 전 세계적으로 호평을 받음. - 홈페이지: https://www.lg.com/cn |
三星 | - 본사 소재지: 한국 - 특징: 기존 드럼세탁기에 일반세탁기의 회전판을 결합함. 세탁 시간을 30분 대로 절감시킨 ‘퀵드라이브 세탁기’를 선보였고 휴대폰 연동 기능을 강화시킴. - 홈페이지: us.samsung.com/ |
松下 | - 본사 소재지: 일본 - 특징: 일반세탁기 분야의 강자로 건조 기능이 탑재된 일반세탁기를 처음으로 선보였고 세탁물 손상을 크게 개선시켜 중국 시장에서 주목을 받았음. - 홈페이지: consumer.panasonic.cn/ |
西门子 | - 본사 소재지: 독일 - 특징: 1994년 중국 시장에 진출해 브랜드 인지도가 높음. - 고장이 나지 않고 조작이 간편한 브랜드로 알려져 수입 브랜드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홈페이지: www.siemens.com.cn |
博世 | - 본사 소재지: 독일 - 특징: 높은 가격에 걸맞는 사후서비스 등 고급화 전략으로 프리미엄 브랜드로 자리 잡음. - 홈페이지: www.bosch-home.cn |
惠而浦 | - 본사 소재지: 미국 - 특징: 내구성이 높고 조작이 간편한 것으로 유명하며 2014년 중국 산요 인수 후, 시장점유율을 늘리려는 시도를 계속하고 있음. - 홈페이지: www.whirlpool.com.cn |
자료: TMALL
□ 유통구조
ㅇ 세탁기 유통채널이 오프라인 위주에서 온라인까지 확장됐음.
- 세탁기 업계의 온라인 시장 매출은 2018년 기준 전년대비 15.3% 성장했음.
- 쑤닝, 징둥, 티몰 등 주요 온라인몰에 브랜드관(官方旗舰店) 형태로 입점해 판매 중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 관세율 및 관련 정책
ㅇ 2019년 8월 기준 용량 10kg 초과 세탁 용량의 세탁기(HS CODE 8450.20)가 대중국 수출 시 적용받는 최혜국 세율은 10%, 일반 세율은 80%임.
- 일반세탁기(HS 8450.20.11)와 드럼세탁기(HS 8450.20.12)에 적용되는 세율 모두 동일함.
ㅇ 관련 정부 정책
-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는 2018년 3월 15일 새롭게 개정된 국가상품표준인 GB/T4288-2018 '가정 및 이와 유사한 용도의 전동 세탁기'를 발표하고 2018년 10월 1일부로 시행토록 권고
국가상품표준(GB/T4288-2018: 가정 및 이와 유사한 용도의 전동 세탁기) 개요
ㅇ GB/T 표준은 ‘강제’ 효력을 갖는 GB 표준과는 달리 ‘권고’의 성격을 띰. ㅇ 해당 표준안 개정은 주로 세탁 성능, 세탁물 마모 성능 테스트 결과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 세탁 용량 허위 표기 문제와 관련한 개정도 함께 이뤄졌음. ㅇ 250V 미만의 전압을 사용하는 가정, 상업시설, 학교 등 장소에서 사용하는 탈수기 및 세탁기에 한해 적용됨. - 세탁 가능 용량은 표기 용량의 95% 미만이 돼서는 안됨. - 명시된 실험 방법에 따라 측정하여야 하고, 이때 제품이 만족시켜야 하는 세제 잔여량, 세탁 성능, 세탁 균일도 등 기준 안내 · 관련 홈페이지: http://openstd.samr.gov.cn/bzgk/gb/newGbInfo?hcno=8D9D545E31B5D9912134BFFBA4409B7A |
□ 시사점
ㅇ 제품 자체의 기술력 및 안전성이 제품 선택의 주요 요소로 작용
- 살균 기능, 옷감 손실 최소화 등 기능성 기술을 내세워 소비자 공략 필요
- 스마트폰 앱에 세탁 시스템 관리 및 모드 추천과 같은 연동 기술을 적용하는 등 세탁기도 IoT 시대에 맞춰 변화하고 있음.
ㅇ 다변화되는 현재의 소비자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신제품 지속 개발 필요
- 드럼세탁기에 일반세탁기 회전판을 추가하거나 세탁조를 두 개로 구성해 세탁 중 애벌빨래, 분리 세탁 등 소비자 수요를 만족시키는 제품이 등장함.
- 소비자 편익 중심의 기능을 고루 갖춘 제품들이 시장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ㅇ 중국 가전제품협회(中国家用电器协会) 창주쥔(长朱军) 부회장과의 유선 인터뷰에 의하면 세탁기 제조업체들은 시장 변화를 고려한 새로운 전략을 고심해야 한다고 제언함.
- 단순히 양적 공세를 통해 시장점유율을 높이던 방식에서 벗어나 이제는 소비자들의 새로운 니즈를 반영하고 기술 혁신을 통한 브랜드 포지셔닝이 늘고 있음.
- 이러한 방향성은 건전한 시장 경쟁을 도모하게 함으로써 관련 업계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끌어내고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 또한 높일 수 있을 것임.
ㅇ 관련 박람회 정보
전시회명(중문) | 中国家电及消费电子博览会 |
전시회명(영문) | Appliance & Electronics World Expo |
전시품목 | 가전 제품을 포함한 전자제품 |
개최국가·도시 | 중국 상하이 |
개최주기 | 연 1회 |
개최기간(2020년) | 2020. 3. 11 ~ 14 |
홈페이지 | http://www.awe.com.cn/ |
자료: 중국가전연구원, 중국상업연구원, 중국자유무역구서비스홈페이지, 한국무역협회, KOTRA 항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