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캘리포니아 오렌지카운티, 매립지 메탄가스로 에너지 생산 | ||||||||||||||
---|---|---|---|---|---|---|---|---|---|---|---|---|---|---|---|
게시일 | 2016-04-27 | 국가 | 미국 | 작성자 | 최종우(로스앤젤레스무역관) | ||||||||||
캘리포니아 오렌지카운티, 매립지 메탄가스로 에너지 생산 - 캘리포니아에서 3번째로 진행된 신재생 에너지 시설 - - 연간 5만3000톤의 이산화탄소 배출 방지 -
□ 물 재사용 사업 시행 배경
○ 캘리포니아 정부 관계자들 및 관련 사업가들,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성공 자축 - 미 캘리포니아 주 오렌지카운티 어바인(Irvine)의 프랭크보워먼(Frank R. Bowerman) 매립지에 보워먼 전력사업(Bowerman Power Project) 가스에너지 시설이 설립됨.
○ 사업 내용 - 해당 시설은 애너하임 지역의 가정 및 사업체 수천 곳에 전력을 공급하고, 정부 로열티 수입 수백만 달러를 산출해 환경·경제적 혜택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됨. - 매립지 내 약 1㏊의 부지에 예산 6000만 달러로 건설된 해당 시설은 미국 서부 최대 규모로 평가됨. - 자금은 Cat Financial이 지원했고, 펜실베이니아 주 Montauk Energy의 자회사 Bowerman Power가 개발·소유·운용을 담당함. - 이 프로젝트로 인해 캘리포니아 주의 모든 대형 매립지가 가스 에너지 시설을 보유하게 됨. - 새로 설립된 시설에서는 매립된 폐기물에서 발생한 가스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며 고형폐기물이 분해되면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가스에는 온실가스 메탄이 다량 포함됨. - 또한, 해당 시설은 연간 이산화탄소 5만3000톤의 배출을 방지하게 될 전망임.
생산시설 배경
자료원: LA Times
- Montauk Energy의 대표이사 데이비드 허먼은 “이 사업은 오렌지카운티 최대의 가스에너지사업으로, 가스 정화, 대형 왕복 기관 발전 등의 기술을 적용해 오렌지카운티의 엄격한 배출 기준을 준수하고 있다”고 전함. - 또한, 작동 효율과 온라인 이용성이 우수하고 가스 공급량도 충분해 안정적인 재생에너지 생산이 1년 내내 보장된다고 밝힘.
시설 설계도 자료원: 오렌지카운티 홈페이지
- 연간 전력 16만㎿ 생산(2만6000가정에 공급할 수 있는 규모)으로, 이는 애너하임 전기수도공사(Anaheim Public Utilities)에 판매돼 가정, 학교, 사업체에 공급될 예정임. - 연간 로열티 162만 달러, 20년 협약 기준 총 3100만 달러 이상 발생 - Bowerman Power는 오렌지카운티에 연간 100만 달러 규모 가스 포집 시스템 운용 및 유지·보수 서비스 제공 - 지역·주·연방 대기질 기준을 만족하는 왕복 기관 발전기(가스 정화, 배기가스 저감 기술 포함) 내장 - Bowerman Power는 오렌지카운티의 세 번째 매립지 가스에너지화시설로, Olinda(브레아 소재), Prima Deshecha(산 후안 카피스트라노 소재) 시설과 함께 연간 총 전력 38만MWh를 생산하며, 이는 남가주 5만6000가정에 공급될 수 있는 규모임.
□ 시사점
○ 프로젝트의 주요점 - Bowerman Power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따라 매립된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재활용해 오렌지카운티 가정 및 사업체에 공급할 수 있게 됐고, 이는 연간 5만3000톤의 이산화가스 배출을 방지할 수 있음. - 연간 16만㎿를 생산할 것이며, 남캘리포니아 지역 약 2만6000가정에 공급할 수 있을 것 - Bowerman Power에서 재생산될 전기들은 애너하임 전기수도공사에 판매돼 학교, 가정, 및 사업체들에 제공될 예정임. - 오렌지카운티에만 3개가 있는 에너지재생산 공장들은 총 38만㎿의 전기를 생산할 것이며, 이는 남가주의 5만6000가정에 공급할 수 있는 규모임. - 캘리포니아와 미국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이러한 프로젝트들을 통해 에너지가 생산되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보여줄 것으로 예측됨. 한국 또한 한국전력공사 등을 통해 한국 내 에너지 보급의 시스템의 변화가 있을 것 - 세계적으로 에너지 재생산은 촉망받는 산업이며, 이 산업에 종사하는 한국 기업들은 한국과 미국 등 다양한 시장의 기회를 포착해 정부조달과 같은 방법으로 수출 기회를 잡을 필요가 있을 것
자료원: LA Times, 오렌지카운티 홈페이지 및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