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liams' 퍼센트 R은 Larry Williams에 의해 개발된 지표로 과매도, 과매수를 측정하기 위한 모멘텀 지표입니다.
해석 Williams' % R은 스토케스틱스 오실레이터와 매우 흡사합니다. 왜냐하면 스토케스틱스는 최근 변동폭과 종가와 최저점 차이를 구하는 것이고, Williams' % R 은 최근 변동폭과 종가와 최고점 차이를 구해서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특이하게 Williams' % R의 상하 변동폭 크기는 항상 음(-)의 값을 가집니다. 왜냐하면 분석의 목적이 최고점에서 종가와의 변동폭을 구하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Williams' % R이 -80에서 -100% 사이에 있으면 시장은 과매도 상태로 볼 수 있고, 0에서 -20% 범위는 과매수되고 있는 상태로 분석 되어집니다. 과매수, 과매도 지표의 대다수가 그렇듯이 이 지표는 투자자가 방향설정에 앞서 반드시 주가 변화를 기다린 후 매매에 참여함이 바람직합니다. 즉 추세의 상승과 하락을 확인하고 매매하여도 늦지 않다는 얘기입니다. % R 지표의 반전 신호 예측은 위에서도 설명하였듯이 통상 시장의 주가보다 몇일 앞서서 과매수, 과매도 신호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특히 Williams' % R은 매매신호가 발생되더라도 반드시 시장 주가의 변화를 확인한 후 매매에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계산방법 Williams' % R의 계산 방법은 Stochastics Oscillator 산정 방식과 비슷합니다.
|
이 챠트는 5일 Williams' %R을 보여주는 종합지수입니다. -80% 아래에서 %R 값이 나타날때를 종합지수에 화살표로 표시하였는데 여기서 매수신호가 지수의 바닥보다 몇일 앞서는 현상을 발견할 수가 있습니다. 이 Williams' %R 지표도 Stochastics oscillator와 같이 %D 값을 두어 시그널 라인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즉 %R이 %D를 상향 돌파하면 매수 시점으로, 하향 돌파하면 매도 시점으로 분석할 수가 있습니다. 이 지표에서 -25% 이상의 과매수 구간에서 잦은 매매 신호(Whipsaw현상)이 나타나는데, 이 경우 MACD지표를 보조지표로 사용하면 매매 신호의 오류를 줄일 수가 있습니다. 즉 MACD지표가 상승을 지속하면 위의 Whipsaw현상도 일시적일수 있다는 것입니다. 결국 이런 경우는 여타 보조지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On Balance Volume(OBV)은 가격의 변화에 거래량을 관련시킨 모멘텀 지표인데 Joe Granville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해석 OBV는 거래량이 주식시장으로 유입되고 유출되는 것을 나타내는데, 당일 종가가 전일종가에 비해 상승하였을 때, 그날의 총거래량을 누적 거래량에 더하여 주고 당일종가가 전일 종가에 비해 하락하였으면 그날의 총거래량을 누적거래량에서 뺍니다. 당일종가가 전일종가와 동일할 때는 거래량 산입을 제외시킵니다. OBV와 관련된 기본적인 가정은 OBV는 가격 변화보다 먼저 선행한다는 것입니다. 이 이론은 OBV가 상승하면 선도세력들의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들어오고, 그 후 대중들이 시장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주식시장도 장세가 상승 전환되고 OBV도 더욱 상승된다는 이론입니다. OB가 상승 추세에 있을 때 각각의 새로운 고점은 이전의 고점보다 높고 저점들도 이전의 저점보다 높습니다. 반대로 OBV가 하락추세에 있을 때 연속되는 고점은 이전의 고점 보다 낮고 연속되는 저점들도 이전의 저점보다 낮습니다. OBV가 횡보하는 모양은 추세자체가 방향이 없이 진행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위의 설명을 그림으로 보면 상승추세 하락추세 평형추세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추세는 한번 형성이 되면 그 추세가 깨질 때까지 기존 추세의 여력은 남아있습니다. OBV도 추세가 깨질 수 있는 조건은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상승추세에서 하락추세로 변할 때나 하락추세에서 상승추세로 변할 때 나타나고 나머지 하나는 OBV추세가 위 그림처럼 평행추세를 나타내든지 3일 이상 추세를 확정하지 못하면 OBV의 추세도 깨질 수 있습니다. OBV는 통상 가격이 추세전환 되기 전에 먼저 추세가 전환되는데, 투자자들은 OBV의 이전 고점이 상향돌파되어 기존 하락추세가 마감될 때 매수하고 이전 저점이 하향돌파 될 때 매도해야만 합니다. 그리고 기존 매수 분과 매도 분은 추세가 반전될 때까지 보유하고 다음 추세 전환신호를 기다려야 합니다. Granville에 의하면 OBV 분석방법은 단기분석을 위해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투자자들은 단기 OBV 분석으로 수익을 기대하려면 과감하고 재빠른 행동을 하여야 한다고 추천합니다.
계산방법 OBV는 주가의 당일 종가가 상승했을 때 총누적 거래량에 당일 거래량을 더하고, 당일 종가가 하락했을 때 당일 거래량을 총누적 거래량에서 뺍니다. 즉, 전일 종가보다 당일 종가가 상승했을 때
|
OBV = 전일 OBV + 당일 거래량
|
전일 종가보다 당일 종가가 하락했을 때
|
OBV = 전일 OBV - 당일 거래량
|

|
이 챠트는 OBV 지표를 봉챠트와 함께 표현한 것으로 크게 3가지 국면으로 구분할 수가 있습니다. 봉챠트에서 A국면은 OBV의 상승추세로 저점이 점점 높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주가도 점진 상승을 보이고 있습니다. B국면은 OBV의 고점과 저점이 낮아지는 하락 추세로 주가도 하락을 보이고 있고, C국면은 OBV 지표에서 보듯이 횡보현상이 나타나는 국면으로 주가도 평행추세(횡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