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용림 전공역사 교재(1월 이론반 교재 132p)
Q. 이 부가 6부의 부가 아닌 관청부인것은 알겠는데 이 부를 왕이 설치하지 않고 관리들이 알아서 설치했다는 얘기인가요?
A. 책봉과 식읍을 받은 종친이나 공신들이 그 식읍에서 나오는 막대한 재물을 관리하기 위해 독자적으로 설치한 관청이었다. 부에서 일하는 관리는 국가가 임명하지 않고 부의 주인(府主)이 임의로 임명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부를 설치하는 것을 ‘부를 세운다(입부立府 )’ ‘부를 연다(개부開府)’라고 하였다..<뿌샘 권2. p108>
A. 식읍을 받은 사람의 재산 관리를 위하여 독자의 요속(僚屬. 관직 기관)을 둔 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통일신라 시기의 부(府)이다.<뿌샘 권2. p109, 110> ...... (府主는) 이러한 지배 지역 가운데 중심이 될 만한 지역에 부(府) 청사(廳舍. 관청 건물)를 설치하고 관리들 두었다.<뿌샘 권2. p110>
Q. 그 부분을 본 후 2번에 나오는 신라왕을 중심으로 한 질서로 재편되었다는 말이 이해가 잘 안됩니다
A. 진평왕은 수문제(隋文帝)한테 ‘상개부 낙랑군공 신라왕’이라는 관작을 받았다. ‘낙랑군공’이자 ‘신라왕’으로 임명하며 부의 개설을 허락한다는 의미의 관작 이름이다. ...... 원성왕이 김주원을 ‘명주군왕’으로 책봉하고 ‘개부’를 허용하거나, ‘친왕국’ ‘읍사’ 개설을 허용했던 것은 이러한 중국 중심의 지배 질서가 신라왕을 중심으로 한 질서와 구조로 재생산된 형태였다.<뿌샘 권2. p110>
Q. 또 설명해 주실 때 중국의 6부체제를 가지고 오는 측면이 있다고 말씀해주셨는데 그럼 교재 138p에 나오는 14부와 관련있는건가요?
A. 통일 후 중앙관제는 종래의 중요 행정기구인 집사부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지만 새로이 우이방부(686) 등의 관부가 설치되고, 기존의 각 관부에도 많은 관원이 증치되었다. 이에 따라 신라의 정치기구는 이부에 해당하는 위화부, 호부에 해당하는 창부와 예부 및 병부, 그리고 형부에 해당하는 좌이방부·우이방부, 공부에 해당하는 공작부·예작부 등이 설치됨으로써 6전조직의 체제를 갖추었는데, 이는 신라 정치제도의 진전을 보여주는 것이다. ....... 당제의 모방에도 불구하고 신라의 정치제도는 독자적인 특수성을 간직하고 있었다.<한국사 통론 p123, 124>
즉, 통일신라 6전조직 체제는 당제를 모방하여 성립(신라의 정치제도는 독자적인 특수성을 간직) 한 것으로 통일신라 시기 설치한 부(府) 또한 당제의 영향이라는 측면을 이야기 한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중앙 조직인 14부와 지방에 대한 식업 및 군왕으로 봉함과 함께 독자적으로 설치된 부(府)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습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