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8158
| ||||||||||||||||||||||||||||||||||
유명 커피원두 2급 발암물질 ‘오크라톡신’ 검출...기준 없어 | ||||||||||||||||||||||||||||||||||
| ||||||||||||||||||||||||||||||||||
【헬스코리아뉴스】수입원두커피에서도 발암물질이 검출돼 국민건강이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사실을 식약청이 이미 알고 있음에도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8일 국회에 제출한 ‘커피류의 곰팡이독소 함유 실태조사’ 자료를 통해 210건의 제품 중 7건(3.3%)에서 신경·순환·호흡기 질환과 암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오크라톡신(국제 암연구소 2등급 분류)이 1.3 ~ 4.8ppb검출됐다고 밝혔다. 국내 유명 커피회사인 T코리아의 ‘트리니다드 커피 과테말라’, ‘트리니다드 커피 하와이 코나 블랜드’(총 2만4636㎏ 수입)와 한국M회사에서 수입된 ‘분쇄 헤이즐넛향 원두커피’, ‘분쇄 블루마운틴스타일 원두커피’(총 11만4210㎏수입)에서도 오크라톡신 1.3ppb~4.8ppb이 검출 됐다. EU(유럽연합)의 경우 오크라톡신 검출기준을 5ppb로 설정하고 있으며 평균 오염수준은 0.724ppb다. 커피에 관해 가장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는 이탈리아는 오크라톡신 규제기준을 4ppb로 설정하고 있다.
◆ “식약청, 커피업계 눈치보기”
문제는 정부가 이같은 오염 실태를 이미 알고 있었음에도 검출 기준조차 마련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식약청은 2006년 ‘식품 중 곰팡이독소류 실태조사’ 용역보고서를 통해 이미 커피의 발암물질에 대한 오염실태를 확인한 바 있다. 당시 보고서는 국내 유통중인 커피제품 66개 시료를 수거검사한 결과 38개(57.6%)시료에서 오크라톡신이 검출됐고, 인스턴트 커피의 경우 14건의 시료 모두에서 오크라톡신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또 국내 유통되는 커피제품의 오크라톡신 평균 오염량을 0.608ppb로 보고 이탈리아 기준을 감안할 때 적어도 하루에 7잔 이상 마시면 오크라톡신 기준을 초과 섭취하는 것이므로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요구하기도 했다.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한나라당 임두성 의원은 “2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우리는 기준을 만들지 않고 있다”며 “이러한 미온적 대처는 커피업계의 눈치 보기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임 의원은 “기준 설정 이전까지라도 당국은 관련 업체와의 협조 하에 커피의 안전성과 관련된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정확히 알리고 과도한 커피 음용 자제 권고 등 국민건강 위해요소를 사전에 차단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원두커피 오크라톡신 검출 현황(2008년 8월 조사)
| ||||||||||||||||||||||||||||||||||
|
첫댓글 쌩유... 유통기한 지난 원두 커피는 싸게싸게 버려야쓰것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