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메르이싸락"(Khmer Issarak)은 프랑스에 저항했던 크메르 민족주의자들의 정치적 운동으로, 1945년에 태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형성되었다. 이 운동은 프랑스 식민당국을 캄보디아에서 추방하고, 독립된 크메르민족의 국가를 건설하고자 시도했다. 이 운동은 이념적으로 상당히 넓은 계층을 포괄하여 종국에는 분열하고 마는데, 이 운동 출신의 많은 인사들이 이후의 "캄보디아 내전"(Cambodian Civil War)에 참가했다.
1. 독립운동의 창설
크메르이싸락(독립) 운동은 1940년 방콕에서 뽓 쿤(Poc Khun)이 창립했다. 이 시기는 프랑스를 몰아내기 위해 손 웟 탄(Son Ngoc Thanh)이 일본 정부에 지원을 요청했던 때와 유사한 시기이다. 비록 태국의 야심은 캄보디아 내에 자국 영토를 지지해줄 배후지를 만드는 것이었지만, 손 웟 탄과 마찬가지로 우선은 캄보디아 내에서 프랑스의 약점을 파고들고자 했다. 4개월 후인 1940년 11월, 태국은 일본의 묵인 하에 밧덤벙(Battambang) 도와 시엠립(Siem Reap) 도를 병합했다. 그리고 새로 창립된 "크메르이싸락"을 이 전리품을 위한 합법적 도구로 사용하기 위해, 뽓 쿤을 밧덤벙 지역 국회의원으로 당선시켜 태국 국회에 진출시켰다.
2. 이싸락 좌파 계열
이와는 별도로 또 다른 주요한 "이싸락"(독립) 조직이 2명의 전직 승려들에 의해 조직됐는데. 이 두 지도자는 각각 "아짜 미언"(Achar Mean: 미언 법사)과 "아짜 속"(Achar Sok: 속 법사)으로 훗날 손 웟 민(Son Ngoc Minh)과 또우 사모웃(Tou Samouth)이란 이름으로 유명해진 인물들이다. 1942년 7월 20일 발생한 프놈펜의 독립시위 이후, 미언은 북쪽인 껌뽕 츠낭(Kampong Chhnang)으로 달아난 후, 그곳에서 무장투쟁 단체 결성을 결심하게 된다. 프놈펜의 오우날롬 사원의 빨리어(Pali) 교수였던 아짜 속 역시 1942년의 소요에 가담했고, 1945년 그가 머물던 사원이 미 공군의 폭격을 받은 후, 피난을 떠났다가 비엣민(Viet Minh)에 가담하였다. 이 두 사람이 바로 캄보디아 공산주의의 창설자들이다.
1945년 말, 이들 2인은 베트남에 머물며 "인도차이나공산당"(ICP)에서 활동했는데, 당시 비엣민이 일본군 항복 직후의 8월 혁명을 이끌고 있었다. 이곳에서 그들은 베트남 남부 출신의 크메르계 소수민족인 크메르 끄롬(Khmer Krom)을 중심으로 새로운 당원들을 대거 양성했다.
3.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상황
태국이 지원한 뽓 쿤의 조직은 내부불화로 인해 이미 1946년경부터 소멸하기 시작했다. 태국 정부가 지원한 캄보디아 민족주의 운동이란 개념은 이미 프랑스에 의한 착취로 신음하던 민중들에게 그다지 호소력을 갖지 못했다.
1946년 12월, 태국은 밧덤벙 도, 시엠립 도, 스떵 뜨라잉(Stung Treng) 도에서 시행하던 직접통치를 강압적으로 포기당했다. 하지만 태국은 재빨리 또 다른 반군 지도자였던 지역 군벌 덥 추온(Dap Chhuon)과 협정을 맺어, 덥 추온의 반-프랑스 반군을 지원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러한 일이 반군들을 고무시켜 상황을 자신들의 통제권 하로 두고자했던 태국의 바램은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다. 태국은 또한 또 다른 반군 지도자였던 노로돔 짠따라잉서이(Norodom Chantaraingsey) 왕자 및 여타 군소 무장단체들에도 개인적인 원조를 했다. 하지만 1947년 태국의 좌파 정부가 붕괴되자, 태국의 지원을 받던 이싸락들은 급속히 세력이 약화됐다.
1940년대 후반기 동안 좌파 계열의 이싸락 운동이 성장함에 따라, 비엣민 그룹이 지속적으로 캄보디아 북부와 동부로 침투해 들어왔다. 또한 "인도차이나공산당"도 크메르 원주민들에 대한 지원과 교육을 지속했다.
4. 크메르민족해방위원회 : KPLC
1948년 2월 1일, 이싸락 운동 내 분파들이 하나로 모여 "크메르인민해방위원회"(Khmer Peoples Liberation Committee: KPLC)를 결성하고 덥 추온을 그 의장으로 선출했다. 이 위원회 지도자 11인 중 5인은 친-베트남적 성향을 지니고 있었는데, 이는 어떤 면에서는 이싸락(독립) 운동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었다. 비록 덥 추온이 반공자의자이긴 했지만, 이 조직에는 두 사람의 중요한 비엣민 당원들이 참가하고 있었다. 한 사람은 "인도차이나공산당"(ICP)의 북서지부 서기장을 맡고 있던 시우 헹(Sieu Heng)이고, 다른 한 명은 시우 헹의 조카 롱 분루옷(Long Bunruot)으로 훗날 누온 찌어(Nuon Chea)란 이름으로 개명하고 "캄보디아공산당"(CPK)에서 폴 포트(Pol Pot)에 이어 제2인자에까지 오르는 인물이다.
이 무렵 비엣민은 이싸락 내에 반-식민주의자들을 양성하는 데 협력하면서, 이 세력을 공산주의 세력을 지원하는 데 사용코자 했는데, 특히 베트남 공산주의에 대한 지원세력을 만들고자 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캄보디아 동부의 시골에서 두드러져, 이 지역에서는 게릴라 세포(말단 조직)들이 베트남인의 지휘를 받기도 했고, 크메르인 당원들이 "인도차이나공산당"(ICP)의 정치학교로 가서 교육을 받기도 했다. ICP의 정치학교에서는 맑스-레닌주의 뿐만 아니라 베트남과의 협력이 갖는 의미를 교육하기도 했다.
(사진) 크메르이싸락이 채택했던 깃발. 이 깃발은 훗날 베트남 침공에 힘입어 "캄푸치아 인민공화국"을 수립하는 핵심조직인 "캄푸치아 구국민족 통일전선"(KNUFNS: 의장-헹 삼린)이 다시금 자신들의 조직 깃발로 채택한다.(주1)
한편 캄보디아의 또 다른 지역에서는 손 웟 민이 태국에서 비교적 충분한 장비로 무장한 제법 큰 규모의 부대를 이끌고 돌아와, 1947년에 "남부-서부 캄푸치아 해방위원회"(Liberation Committee of South-West Kampuchea)라는 조직을 결성했다. 남부와 서부 지역에 대해서는 약간의 설명이 필요한데, 이 지역들은 1970-1975년 사이의 "캄보디아 내전" 기간에 캄보디아 내에서 가장 강력하고도 잘 조직화된 공산군대가 주둔한 곳으로, 폴 포트의 핵심 지원군 역할을 했다. 또한 1979년 베트남 침공으로 인해 크메르루즈 정권이 붕괴된 뒤, 이 크메르루즈 반군들이 1990년대 후반까지 근거지로 사용한 곳이기도 하다. 1949년 후반 무렵에는 캄보디아의 많은 지역을 이싸락 조직들이 장악하고 있었다.
하지만 1949년에 이러한 형태의 이싸락 운동은 종언을 고하게 된다. 이때부터 프랑스 당국이 일부 이싸락 지도자들을 식민당국의 고위직으로 끌어들였고, 여타 지도자들은 보다 급진적인 조직들에 합류했다. 덥 추온을 의장으로 하던 "크메르인민해방위원회"(KPLC)는 시우 헹 및 대부분의 좌파들을 축출하고, "크메르민족해방위원회"(Khmer National Liberation Committee: KNLC)라는 명칭으로 개칭했다. 또한 노로돔 짠따라잉서이 왕자를 군 총사령관에 임명했다. 이에 대해 또우 사모웃을 비롯한 이싸락 내 좌파들은 "이싸락통일전선"(United Issarak Front: UIF)을 결성했는데, 이 조직은 베트남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었다. 얼마 안 있어 덥 추온이 프랑스 당국에 영합하자, 결국 "크메르민족해방위원회"(KNLC)에는 노로돔 짠따라잉서이 왕자만이 남게 되었다. 이후 KNLC는 우파 진영과 왕정반대 크메르 민족주의자들, 그리고 손 웟 탄의 지휘 하에 있던 "크메르세레이"(Khmer Serai) 반군과 연합했다.
(주1) Margaret Slocomb, The People's Republic of Kampuchea, 1979-1989: The revolution after Pol Pot ISBN-13: 9789749575345. |
5. 이싸락 운동의 유산
1940년대와 1950년대의 이싸락 반군들은 비록 단일한 조직은 아니었지만, 캄보디아 민족주의와 공산주의 모두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그것은 이들이 후에 노로돔 시하누크(Norodom Sihanouk)의 "성꿈 리어스 니욤"(Sangkum Reastr Niyum: 대중사회주의공동체)나 공산당 운동에 가담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그들의 목표와 원칙들, 그들이 사용했던 때로는 극단적으로 폭력적이었던 게릴라 전술 등이 많은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크메르의 세계 추가사진) 항복기념식에서 덥 추온이 시하누크 공에게 무기를 반납하는 모습. 시하누크 정부는 이 행사를 이싸락 분파 병합의 홍보용으로 사용했다.
크메르이싸락의 많은 분파들 -- 특히 우파 진영 -- 은 독립 후에 노로돔 시하누크 정부에 참여했다. 그 중 선두주자였던 덥 추온의 경우 시엠립 도지사 겸 국왕대리인이라는 요직을 제수받았다. 하지만 그는 1959년에 쿱테타 모의(☞방콕모의)가 발각되어 처형되었다.(주2) 시하누크 정부에 참여하지 않은 유일한 분파는 손 웟 탄의 "크메르세레이" 반군 뿐으로, 끝까지 왕정반대주의자로 남았다.
이싸락의 군사조직과 게릴라 전술은 "캄보디아 내전" 기간 중에 공산반군이 모방했을뿐만 아니라, 후대의 여러 공산주의자들이 이싸락 활동에 가담하면서 처음으로 맑스-레닌주의 이론을 접하기도 했다. 캄보디아 동부지역의 경우, 비엣민의 영향을 받은 반군지도자들이 심지어는 1975년 "민주 캄푸치아" 정부 수립 이후에도 남아 있었다. 폴 포트가 이들을 숙청하는 1976년까지 이들의 군대는 폴 포트 충성파와 군복 모양도 달랐고, 민간인들을 다루는 방식도 달랐으며, 일정 정도는 시하누크에 대한 충성심도 갖고 있었다.(주3)
참고문헌
- Kiernan, Ben. How Pol Pot Came to Power. London: Verso,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