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전력회사에서 보내온 전기를 빌딩 안으로 받아들이는 설비를 수전설비라 한다. 또, 받아들인 전기의
전압을 수전전압이라고 하고, 이것을 빌딩 안에서 필요한 전압으로 바꾸는 설비를 변전설비라고 한
다. 일반적으로 수전설비와 변전설비는 같은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 곳을 변전실 또는 수변전실
이라고 한다. 또한 변전실에서 전기를 넣었다 끊었다 하는 장치를 차단기라 하고, 이것을 조작하는
방법으로 차단기를 직접조작하는 경우와 별실에서 원격조작하는 경우가 있다.
수전전압은 빌딩의 규모난 입지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22.9KV, 22KV, 6.6KV,
3.3KV를 수전한다.
2. 수변전 설비 기기
2.1. 수변전 기기
2.1.1 A.L.T.S (Auto Load Transfer Switch)
자동 부하절체 스위치로 정전시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수용가(전산센터, 군사시설,
정수장,취수장,등)에 이중전원을 확보하도록 하여 주전원 이상시 예비전원으로 자동
전환시켜 수용가가 안정된 전원을 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해 주는 전기기기 이다.
보통 SF6가스내에서 진공튜브가 부하전류를 개폐 시키도록 하여 우수한 아크소호
능력외에도 SF6가스에 2중의 절연 보호기능을 가지도록 하고 있다.
2.1.2. G.C.B ( Gas Circuit Breaker)
가스차단기로 선로개폐시 발생되는 아크를 가스(육플루오르황하가스)내에서 소호하는
차단기로 주로 22,900[V]의 특별고압선로의 개폐를 행한다.
2.1.3. V.C.B (Vacumm Circuit Breaker)
진공 차단기로 선로개폐시 발생되는 아크를 높은 진공내에서 소호하는 차단기로 고압
3,300[V]선로, 22,900[V]의 특별고압선로의 개폐를 행한다.
2.1.4. A.C.B (Air Circuit Breaker)
기중차단기로 선로개폐시 발생되는 아크를 데기중에서 소호하는 차단기로 저압 400[V],
380[V],220[V]의 간선의 개폐를 행한다.
2.1.5. L.B.S (Load Breaker Switch)
부하개폐기로 ALTS의 다음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아크소호실이 마련되어 있어 직접적으로
부하상태의 선로를 개폐하며, 단독으로 설치되어 사용되지 않고 보통 전력용 퓨즈와
결합되어 사용된다.
2.1.6. M.O.F (Metring Out Fit)
계기용 변압변류기로 계기용 변압기와 계기용 변류기를 한곳에 내장하고 있고 한전계량기
를 위한 설비이다.
2.1.7. P.T (Potential Transformer)
계기용 변압기로 1차측 또는 2차측 고압의 높은 전압을 190/√[V], 110/√[V]로 강압시켜
선로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설비이다.
2..1.8. C.T (Current Transformer)
계기용 변류기로 고압 또는 저압의 대전류가 흐르는 전로에서 저전류5[A]로 변성시켜
선로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설비이다.
2.1.9 V.C.S ( Vacumn Contact Switch)
진공 전자 접척기로 개폐빈도가 많은 고압부하의 개폐를 행하여, 주로 전력용 퓨즈와
결합하여 사용한다.
2.1.10. V.S.S ( Vacumn Select Switch)
진공 절체스위치로 정전시 한전측에서 발전전원으로 절체를 시켜준다.
2.1.11. AS (Amper Selector)
전류계용 절환개폐기로 1개의 전류계가 부착된 판넬에 설치되어 있으며, 판넬 CT의 2차
전류를 선택하여 전류계로 연결 시켜 선로 및 부하전류를 측정 할 수 있게 한다.
2.1.12. VS (Voltage Selector)
전압계용 절환개폐기로 1개의 전압계가 부착된 판넬에 설치되어 있으며, 판넬 PT의 2차
전압을 선택하여 전압계로 연결 시켜 선로 및 부하전압을 측정 할 수 있게 한다.
2.1.13. LA
피뢰기로 외부의 이상전압(낙뢰등) 침입시 전기기기 및 선로의 보호를 위하여 내부로
침입하는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전시켜 기기 및 선로를 보호하며 주보호 대상은 전력용
변압기이다.
2.1.14. SA
서어지 옵서버로 내부에서 발생되는 이상전압(부하의 개폐 및 급격한 변동등에 의해 발생
하는 정상치를 벗어나는 전압)을 대지로 방전하여 기기 및 선로를 보호하며, 특히, VCB로
몰드변압기를 개폐하는 경우는 VCB의 특성성 개폐시 이상전압이 발생하는 관계로 BIS(기준
충격 절연강도)가 낮은 몰드변압기는 서지 옵서버를 부착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2.1.15. ATS( Auto Transfer Switch)
자동 부하절체스위치로 저압회로의 중요 부하에 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 정전시
발전기의 전원이 공급이 되면 자동적으로 한전측에서 발전측으로 절환이 되어 각종 부하에
비상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2.1.16. ZCT
영상변류기로 선로 또는 기기의 영상전류를 감지하며, 전기 화재 1급 수신기와 결합되어
누전을 감시하고, 비접지 섢로에서는 영상전류를 검출하여 고압반의 SGR을 동작시켜 VCB
를 개방하게 한다.
2.1.17 변압기
① 몰드 변압기 : 건식 변압기의 일종으로 난연성을 구비한 에폭시 몰딩부와 공기층의
복합절연으로 되어 있고, 우수한 절연성능, 견고성, 높은 신뢰도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② 유입변압기 :
③ 아몰퍼스변압기 :
2.2 보호계전기
2.2.1. O.C.R (Over Current Relay)
과전류 계전기로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정상치를 넘어섰을 경우 차단기를 차단하여
부하나 선로를 보호한다.
2.2.2. O.V.R (Over Voltage Relay)
과전압 계전기로 선로에 가해지는 전압이 정상치를 넘어섰을 경우 차단기를 개방시켜
부하나 선로를 보호한다.
2.2.3. U.V.R ( Under Voltage Relay)
부족전압 계전기로 선로에 가해지는 전압이 정상치보다 낮을 경우 차단기를 개방하여
부하나 선로를 보호한다.
2.2.4. O.C.G.R (Over Current Ground Relay)
지락 과전류 계전기로 선로나 부하의 지락 발생시 발생되는 지락전류를 검출하여
차단기를 개방시켜 선로를 차단하다.
2.2.5. O.V.G.R (Over Voltage Ground Relay)
지락 과전압 계전기로 선로나 부하의 지락 발생시 발생되는 영상 전압을 검출하여
차단기를 개방시켜 선로를 차단한다.
2.2.6. D.G.R (Direct Ground Relay)
방향 지락 계전기로 OVGR과 비슷한 동작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