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대 연보(年譜)(1)
1922.2 : 15일 예천청년회(醴泉靑年會) 주최, 예천유도회(醴泉儒道會) 후원 하에 사설 대창학원 설립, 벽천 김석희(碧泉金碩熙, 1885-1950) 선생께서 원장에 취임
1922.3 : 25일 보통과 제1학년 갑을조(甲乙組), 제2학년 갑을조로 4개 학급 편성하고, 예천향교의 명륜당(明倫堂)과 풍영루(諷詠樓)를 교실로 사용
1922.4 : 1일 고등과(보통학교 졸업자 및 타 사설 강습소 출신) 병설 1학급으로 풍영루를 교실로 사용
1924.2 : 15일 학원 제1회 졸업
1925.3 : 25일 제2회 졸업
1926.3 : 25일 제3회 초등과 제1부 및 중등과 1부 2부 졸업
1927.3 : 2일 객사(客舍) 이전 공사, 1동 110평 준공, ᄋ 25일 제4회 초등과 제2부 졸업
1928.3 : 25일 제5회 초등과 제1, 2부 졸업
1929.3 : 18일 제6회 1부 졸업
1930.3 : 14일 제7회 초등과 1부 졸업, ᄋ 20일 제7회 초등과 2학년 졸업
1931.3 : 20일 제8회 중등과 1부 졸업
1932.3 : 25일 제9회 제1.2.3.4학년 졸업
1933. : 제10회 졸업
1945.3 : 19일 제22회 졸업,
1945.8 : 15일 일제로부터 해방, 학원 재정비
1946.2 : 15일 학원 창설 기념일을 기하여, 학원장 김석희 선생을 중심으로 해방 조국의 내일을 위한 학원 설립 운동 전개,
1946.7 : 20일 학원 제23회(해방 1회) 졸업
1946.11 : 5일 모교 재건을 목적으로 한 대창동우회(大昌同友會) 결성
1947.2 : 15일 중학교 설립을 전제로 대창공민학교(大昌公民學校)로 교명을 개정하고, 중학교 교육과정 수업을 실시함
1947.7 : 5일 학교장 김석희 선생께서 재단 설립을 위하여 전재산 희사 표명, ᄋ 20일 제24회 졸업, 대창공민학교(초급 중학) 졸업
1947.11 : 1일 예천군수 특인하에 대창공민중학교(大昌公民中學校)로 승격
1948.7 : 20일 대창학원 제25회 대창공민중학교(3년 과정) 졸업으로써 대창학원의 졸업생 총수 남자 2,214명, 여자 148명, 계 2,362명에 이름. ᄋ 26일 대창공민중학교를 대창중학원(大昌中學院)으로 교명을 변경함
1949.1 : 17일 재단법인 대창학원 설립 인가(이사장에 朴哲九씨 취임), 대창초급중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교명을 개정하고, 대창중학원(大昌中學院) 학생을 대창초급중학교(大昌初級中學校)로 편입함. 초대 교장에 김석희 선생 취임함.
1949.2 : 15일 관민 다수 참석하에 대창초급중학교(3년제) 개교식 거행
1949.4 : 1일 대창초급중학교 학도호국단 창립
1949.7 : 26일 예천향교 명륜당을 교사로 사용하고, 향교 부지 일부를 교사 증축지로 사용 결정
1949.8 : 30일 풍영루 이전 개축(목조 2층, 연 40평)
1950.5 : 27일 대창초급중학교 제1회 졸업식 거행
1950.6 : 1일 학제 변경에 따라 3년제에서 4년제로 되고, 교명을 대창중학교(大昌中學校)로 개칭
1950.7 : 12일 한국전쟁으로 임시 휴교
1950.8 : 23일 김석희 교장 선생, 교사 증축을 위한 자재 구입차 상경하였다가 돌아오던 길에 예천읍 백전동에서 순직
1950.10 : 20일 9.28 수복의 뒤를 이어 다시 개교하고, 이 날 제2대 교장에 김교용(金敎容) 선생 취임
1950.11 : <대창동우회원 명부(大昌同友會員名簿)> 간행
1951.3 : 현석호(후 내무 국방장관), 모교 방문
1951.5 : 30일 6.25 전쟁으로 파손된 교사 수리 완료
1951.7 : 1일 학제 변경에 의하여 대창중학교 4년제에서 다시 3년제로 변경, ᄋ 2일 대창중학교 제1회 졸업식(93명, 제3학년, 제4학년)을 거행하고, 이 날부터 고등학교 설립을 위한 운동 전개,
1952.3 : 27일 제1차 교사 증축 공사 준공(학생 근로 작업에 의한 흙벽돌 강당 건축, 70평으로 경북도내 최초), ᄋ 28일 대창중학교 제2회 졸업(77명)
1952.9 : 10일 제2차 교사 증축 공사 준공, 토조(土造) 1동 50평(현 음악실 위치 후면)
1952.12 : 9일 재단 증자와 함께 대창고등학교 설립 인가
1953.3 : 21일 중학교 제3회 졸업(120명)
1953.4 : 1일 고등학교 초대 교장에 김교용 선생 취임(중고 겸임), ᄋ 15일 대창고등학교 개교식 및 제1회 입학식 거행, 교모(校帽) 제정(1922년부터 모자에 백선(白線)이 있었고, 1947년 대창중학교 개교 이후에는 꾸밈없는 모자를 씀), 교표 제정
1953.9 : 15일 제3차 교사 증축 공사 준공, 토조 1동 50평(현 음악실 위치)
1954.3 : 3일 중학교 제4회 졸업(154명)
1954.4 : 1일 대창중고등학교 사무 분리 집무, 재단 증자 및 학칙 변경에 따라 대창중고등학교 각각 6학급씩 인가
1954.9 : 30일 제4차 교사 증축 공사, 목조 1동, 50평 준공
1954.10 : 1일 교가 제정, 김교용 작자, 김성태 작곡
1955.3 : 3일 중학교 제5회 졸업(128명)
1955.8 : 23일 제5차 교사 증축 공사, 토조 2층, 연 120평 준공
1955.10 : 23일 운동장 증설 공사 준공(제1차 1,255평)
1956.2 : 25일 고등학교 제1회(56명) 졸업식 거행, 중학교 제6회(114명) 졸업
1956.12 : 20일 제6차 교사 증축 공사 기공, 군원자재에 의한 벽돌 2층, 연 200평
1959.10 : 21일 제1회 반공예술제(베니스 상인과 반공극)를 문화회관에서 개최
1960.4 : 15일 교훈(正心, 自立, 協同) 제정, ᄋ 22일 4.19 의거에 호응하여 전교생 시위에 참가
1960.5 : 27일 4.19 의거로 학도호국단 해산하고, 대창중고등학교 송대학생회로 발족
1960.10 : 26일 제2회 반공예술제(리어왕과 반공극), 문화회관에서 개최
1961.2 : 20일 대창중학교 주최 제1회 군내 국민학교 학력 경시대회 개최
1961.8 : 10일 1교 1부락 지도, 자매 부락으로 예천읍 우계동 어린촌을 선정하여 지도
1961.11 : 15일 5.16 군사 혁명으로 송대학생회가 대창중.고등학교 재건학생회로 개편
1963.6 : 1일 제6차 교사 증축 공사 낙성식 및 교내 예술제 거행
1964.2 : 8일 졸업식(중학교 14회(126명), 고등학교 9회(68명)), ᄋ 15일 재단법인 대창학원을 학교법인 대창학원으로 조직 변경
1966.11 : 3일 제7차 교사 증축 공사 낙성(2층 6교실, 연 175평, 현 중학교 동편)하고 자축의 기념 행사 거행
1967.1 : 20일 졸업식(중학교 17회(159명), 고등학교 12회(115명))
1967.2 : 15일 개교 45주년 기념 예술제(원술랑 외)를 예천극장에서 거행하고, 10년 이상 근속 교사 표창함
1967.9 : 30일 구관을 교무실로 개수 준공하고, 중.고등학교 교무실로 통합함. 수도 공사 자체 양수 시설 330m를 준공하여 식수난을 완전히 해결하고 학교 주변의 식수원으로도 제공
1967.10 : 25일 재단 증자에 따라 중학교 1학급 증설 인가받음
1968.4 : 15일 교내 구기대회 개최(고교 개교 기념)
1968.4 : 18일 안동지구 학도 체육대회 참가
1968.5 : 23일 교내 영어암송대회 개최
1968.6 : 1일 송충 구제 작업 실시, ᄋ 22일 소년단 결단식, ᄋ 27일 교내 반공웅변대회 및 작품전시회 개최
1968.9 : 1일 제8차 교사 증축 공사 기공(2층 6교실, 연 220평), ᄋ 19일
도서관 콘테스트 실시
1968.10 : 11일 군민 체육대회 참가, 중 2위, 고 1위, ᄋ 18일 교내 음악 및 미술 실기 대회
1969.1 : 27일 중 19회(172명), 고 14회(119명) 졸업식
1969.2 : 21일 재단 증자에 따라 중학교 1학급 증설(15학급) 인가 받음
1969.4 : 22일 영주지구 학도체육대회 참가
1969.6 : 14일 제8차 교사 증축 공사 완공(2층 6교실, 연 175평, 현 중학교 서편), ᄋ 28일 송충 구제 작업 실시
1969.9 : 12일 도서관 콘테스트 실시
1969.10 : 3일 대창 미전 개최, ᄋ 23일 군민 체육대회 참가
1969.11 : 20일 영어 암송대회
1970.1 : 15일 중학교 20회(173명), 고등학교 15회(120명) 졸업식 거행
1970.4 : 22일 영주지구 학도체육대회 참가, 종합 우승, ᄋ 27일 학교 협동조합 개설, ᄋ 30일 전국 미술 실기대회 참가, 특선 1명, 입선 2명
1970.5 : 15일 교내 웅변대회, ᄋ 27일 도민체전 참가(씨름, 배구 우승), ᄋ 30일 송충 구제 작업 실시
1970.6 : 25일 교내 교련 실기대회 실시
1970.9 : 6일 제9차 교사 증축 공사 착공(3층 9교실), ᄋ 22일 고등학교 군사 사열 실시
1970.11 : 17일 학교 공개
1971.1 : 14일 중 21회(237명), 고 16회(111명) 졸업식
1971.3 : 5일 중학교 평준화에 따른 제1차 무시험 진학자 입학식(중 24회, 고 19회), ᄋ 6일 반공 웅변대회 참가(중 1등, 고 2등)
1971.4 : 19일 영주 지구 학도 체육대회 참가(중.고 우승)
1971.6 : 12일 송충잡이 실시, ᄋ 28일 전교생 원농 작업 실시, ᄋ 29일 교내 웅변대회 실시
1971.9 : 27일 교련 지도 사열
1971.10 : 1일 제9차 교사 증축 공사 준공(3층 9교실, 현 고등학교 동편), ᄋ 5일 예천 군민체전 참가(중.고 우승), ᄋ 13일 교내 한글 백일장 실시, ᄋ 14일 영어 암송대회 실시
1971.11 : 15일 대창미전 개최, ᄋ 22일 경북도내 남자고교 배구 선수권대회에서 우승,
1971.12 : 24일 토끼 잡이
1972.1 : 10일 중학교 22회(284명), 고등학교 17회(119명) 졸업식 거행
1972.2 : 15일 동창회, <대창동창회원 명부>를 간행함.
1972.3 : 15일 교내 글짓기대회 개최, ᄋ 16일 교내 웅변대회
1972.4 : 24일 중, 제1회 예천군소년스포츠대회 참가, 종합 우승
1972.5 : 28일 개교 50주년 기념 예천군내 국민학교 대항 백일장, 본교에서 개최, ᄋ 30일 교우지 <송대> 창간호 발행(대창 반세기 특집), 인쇄는 예천문화인쇄소로 개교 이후 최초의 활판 인쇄를 함.
1972.6 : 2일 개교 50주년 기념 전야제, 본교 강당에서 개최, ᄋ 3일 개교 50주년 기념식 및 위안의 밤, 예천극장에서 개최, ᄋ 4일 개교 50주년 기념 가장행렬 및 운동회, 예천읍 시가지 일원과 예천읍 공설운동장에서 개최, ᄋ 5일 개교 50주년 기념 과학 전시회, 본교 과학실에서 염. ᄋ 5-7일 제8회 미술전시회, 예천군농공훈련소에서 개최, ᄋ 10일 송충 구제 작업, ᄋ 13일 보리베기 노력 동원, ᄋ 22일 원농 작업(모심기)
1972.7 : 17일 고2, 야영훈련 실시(용문사)
1972.9 : 23일 어머니 교실 개최
1972.10 : 2일 군민체육대회 참가, 중.고 모두 우승, ᄋ 19일 학생회를 화랑학생회(중), 학도호국단(고)으로 발전적 개편, ᄋ 25일 공작품 전시회 개최
1972.11 : 25일 고등학교 교련 검열, ᄋ 28일 소년스포츠대회 참가
1973.1 : 10일 중학교 23회(281명), 고등학교 18회(104명) 졸업식 거행
1973.2 : 20일 화랑교실을 단독 교실로 마련
1973.3 : 2일 송대 장학생 선발, ᄋ 3일 중 26회, 고 21회 입학식 거행
1973.4 : 1일 아침 자습 실시(일일고사), ᄋ 7일 교내 체육대회 개최, ᄋ 10일 화랑소년단 결단식 거행, ᄋ 11일 중, 제2회 예천군소년스포츠대회 참가, 종합우승, ᄋ 28일 충무공 탄일 맞이 추모 행군(고교)과 소풍(중학교)
1973.5 : 5일 교내 백일장(어린이 날 기념), ᄋ 19일 도민 체전, 고등부 참가(5관, 4관, 3관, 2관을 차지하고, 탁구 우승), ᄋ 21일 어머니교실 개강
1973.6 : 1일 고3, 육군 제8220부대에 일일 입대, ᄋ 12일 영어 암송 대회, ᄋ 18일 군내 중학교 대항 과학 경연대회 종합 우승(개인 1.2.3.4.5등 석권), ᄋ 21일 중학교, 교육청 주관 학력 경시대회 종합 우승(수,과,영 등 과목 1등)
1973.7 : 14일 경북지구 탁구대회, 고등부 우승, ᄋ 20일 예술관(음악,미술실) 기공(제11차 교사 증축 공사), ᄋ 21일 경북지구축구대회(중등부, 고등부 우승), ᄋ 26일 문화방송(MBC)에서 우리 학교 소개, ᄋ 27일 하계봉사단 조직 결단식
1973.9 : 1일 <송대> 제2집 간행, ᄋ 15일 교내 자유교양경시대회 실시, ᄋ 18일 생활의 과학화 주제로 교내 웅변대회 개최
1973.10 : 6일 국민교육헌장 이념 구현 교내 글짓기대회, ᄋ 10일 군민체육대회 참가(중 우승), ᄋ 제54회 전국체전에 육상부 출전, ᄋ 15일 가을 소풍과 수학여행, ᄋ 27일 교직원 친선 배구 대회, 교내 미술 실기대회 개최
1973.11 : 2일 교내 반공웅변대회 개최, ᄋ 5일 공작품 교내 전시회, ᄋ 9일 화랑학생회장단 선거(고교 회장 김종우, 부회장 오홍열, 중학 회장 김도현), ᄋ 27일 군내 중학교 학력 경시대회 종합 우승
1973.12 : 6일 졸업 시험, ᄋ 30일 예술관(미술,음악실) 2층 104평 준공
1974.1 : 10일 졸업식(중 24회 295명, 고 19회 127명)
1974.2 : 11-14일 학년말 고사
1974.3 : 2일 74학년도 입학식(중28회, 고23회), ᄋ 30일 중학교, 제3회 소년스포츠대회에서 종합 우승
1974.4 : 18일 불우 학생 돕기 운동, ᄋ 20일 화랑정신 선양 웅변대회, ᄋ 29일 이 충무공 추모 도보 행군 대회(선몽대로 제8220부대의 지원 아래 실시)
1974.5 : 16일 표준화 검사 실시, ᄋ 18일 제12회 도민체전(포항)에서 고등부 석권, ᄋ 27일 군내 반공웅변대회 참가(중.고 모두 우승), ᄋ 30일 모내기 시한 작전 원농대회
1974.6 : 20일 제12차 교사 증축 공사(3층 15개 교실 완성) 기공(1974.10.1 준공), ᄋ 24일 6.25 기념 강화, ᄋ 27일 예천군 반공궐기대회 참가, ᄋ 30일 중학교, 탁구평가전에 참가
1974.7 : 5일 군내 중학교 학력경시대회 수위, 학도체전(경북대학교 운동장)에 참가, ᄋ 11일 1학기말 고사 실시, ᄋ 24-8월 21일 여름 방학
1974.8 : 26일 대통령 저격사건 일본 각성촉구 규탄 대회
1974.10 : 1일 제12차 교사 증축 공사(3층 15개 교실, 현 고등학교 교사), ᄋ 12일 자유 교양 도내 경시대회에 안동 지구 39개 고등학교 대표로 6명이 참석(고3 이상현 도내 1위)
1974.11 : 7일 제13차 증축 공사로 변소 기공(1975.1.20 완공), ᄋ 8일 화랑학생회 75 회장단 선거(고 회장 정용조, 중 회장 윤진현), ᄋ 28일 중, 군내 중학교 학력 경시대회 1위, ᄋ 28일 졸업고사
1974.12 : 1일 교우지 <송대> 제3집 간행, ᄋ 1일 제12차 교사 증축공사 준공
1975.1 : 10일 중학교 25회(252명), 고등학교 20회(169명) 졸업식, ᄋ 20일 제13차 증축 공사, 수세식 변소 완공
1975.3 : 3일 75학년도 입학식, ᄋ 4일 고등학교 화랑대원 임명, ᄋ 4일 예천로타리클럽, 고1 신종훈 군에게 장학증서 전달, ᄋ 5일 학급회 조직, ᄋ 30일 전교생, 용문면 선동 학교림에 식수 6만 본
1975.4 : 9일 중학교 전교생, 소년 체육대회 참가, ᄋ 10일 4월 월례고사, ᄋ 12일 중.고 1학년 지능검사 실시, ᄋ 15일 고등학교 개교기념 문학의 밤 개최, ᄋ 17일 교내 웅변대회, ᄋ 21일 화랑의 날 교내 글짓기대회, ᄋ 28일 전교생 봄소풍
1975.5 : 4일 청송 주왕산으로 전교직원 야유회, ᄋ 7일 고교생 전원, 총력안보 궐기대회 참가, ᄋ 12일 교육청에서 장학지도, ᄋ 20-22일 중간고사, ᄋ 23일 문교부 장학관 및 도.군 장학사 시찰 차 내교, ᄋ 15일 건국대 주최, 전국 교지콘테스트 우수상 수상, ᄋ 29일 6.25기념 글짓기 대회, ᄋ 30일 반공 웅변대회(학급 대항)
1975.6 : 13일 군내 반공 웅변대회 참가, 고1 최병진군 우승, ᄋ 14일 모내기 시한작전 원농작업 실시, ᄋ 16일 중, 과학 실험실습 경연대회 참가 우승, ᄋ 25일 한국전쟁 20주년 기념식을 갖고 멸공 의식을 다짐, ᄋ 28일 송대 학생회 발전적 해체하고, 학도호국단 창설 및 기념 행군
1975.7 : 5일 예천군 바른 국기 및 무궁화 그리기 대회에서 우승, ᄋ 8일 구충제를 복약시킴, ᄋ 14-16일 학기말 고사, ᄋ 24일 하계 방학 시작
1975.8 : 21일 75학년도 후기 시업식, ᄋ 29 반공 궐기대회 참가(종합운동장)
1975.9 : 1일 장학생 발표(우대생 및 특대생), ᄋ 5일 교내 자유교양대회 개최, ᄋ 9일 애국심 앙양 글짓기대회, ᄋ 17일 9월 월례고사, ᄋ 18일 고3 경북도내 학력진단 실시, ᄋ 26일 대창중고등학교 민방위대 발대식 거행
1975.10 : 1일 군민체전에 참가하여 고등학교 우승, 중학교 준우승, ᄋ 4일 중.고 2학년 수학여행 실시, 중학교 경주, 고등학교 남해로 충무공 유적지, ᄋ 18일 교내 미술 실기대회, ᄋ 28일 도 장학위원 서병국 교수 등 내교
1975.11 : 11일 중학교, 영어 암송대회, ᄋ 20일 능력개발사 시행 중1.2년 진단 검사 실시, ᄋ 25일 군 교육청에서 장학 지도, ᄋ 28일 제9회 대창미전을 교육청회의실에서 개최
1975.12 : 4일 중학교, 학력경시대회 군내 1위, ᄋ 11-12일 고등학교 신입생을 처음으로 6학급 360명을 모집하고, 선발고사를 시행함, ᄋ 15일 신입생 합격자 발표, ᄋ 15일 겨울 방학 시작(76년 2월 8일까지)
1976.1 : 10일 중학교 제26회(276명), 고등학교 제21회(171명) 졸업식 거행
1976.3 : 3일 76학년도 입학식과 학급 편성, 76학년도 육성회 결성, ᄋ 24일 경북 교육연구원장 안병태 선생 내교
1976.4 : 2일 교육청 장학지도(결과 우수), ᄋ 7일 표준화 검사(중.고 1학년) 지능 검사, ᄋ 8일 표준화 검사(중.고 1학년) 적성 검사, ᄋ 12일 매일신문사 주최 대구 안동간 역전마라톤대회에서 제3.5.17.19구간 우승하고, 지도상 수상(고), ᄋ 15일 교직원 연수(새마을 교육), ᄋ 16일 학급 새마을 운동 시작, ᄋ 24일 하리 통로 3km에 꽃길 만들기, ᄋ 28일 선몽대까지 왕복 12km 충무정신계승행군, ᄋ 30일 화랑정신 계승 웅변대회
1976.5 : 1일 명상 시간 방송 개시, ᄋ 4일 화랑의 달 글짓기대회 개최, ᄋ 15일 청소년 선도 웅변대회, 군내 우승
1976.6 : 4일 각 학급별 국기 교육, ᄋ 15일 전교생 보리베기 원농 작업, 9시부터 3천평, ᄋ 16일 도교육위원회의 장학 지도, ᄋ 25일 6.25 기념 교내 웅변대회
1976.7 : 6일 고3 학력 진단검사, ᄋ 17일 고 박철구 재단 이사장님의 학교장 엄수, ᄋ 24일 1학기 종업식, ᄋ 26-8월 9일 제1회 독서학교 개교,
1976.8 : 16일 재경 송대학우회, 제2회 축구대회를 염, ᄋ 21일 제2학기 시업식, ᄋ 26일 도로 보수 공사 노력 봉사
1976.9 : 14일 전교생, 체력장 실시, ᄋ 20일 중.고 3년, 진학을 위한 체력장 실시, ᄋ 24일 교련 검열(성적 우수)
1976.10 : 5일 교시탑(校是塔) 기공, ᄋ 7일 수학여행, 중학교는 경주, 고등학교는 남해, ᄋ 12일 중, 학력경시대회 군내 1위, ᄋ 15일 민방위 지정 시범 훈련 실시, ᄋ 23일 제20회군민체전에서 중학교 우승, 고등학교 준우승, ᄋ 25일 문교부 장학관의 장학지도
1976.11 : 6일 전교생 13시부터 교통질서 준수 켐페인 시가 행진, ᄋ 25일 도교위 장학지도, ᄋ 30일 3층 교무실 건물 준공
1976.12 : 13일 겨울 방학, 고교 입학지원자 예비소집, ᄋ 14일 고교 입학고사(공동 출제) 6학급 360명 모집에 480명 응시
1977.1 : 6일 학년말 고사 제1일, ᄋ 7일 고 22회(223명), 중 27회(241명) 졸업식, ᄋ 25일 학년말 고사 제2일
1977.2 : 10일 학년말 고사 제3일, 2월 7일 개학하였으나 혹한으로 인한 문교부 지시로 18일까지 단축 수업, ᄋ 20일 교시탑 건립 및 동산 준공, ᄋ 26일 종업식
1977.3 : 2일 77학년도 학급 편성, ᄋ 3일 77학년도 입학식 거행(중 30회, 고 25회), ᄋ 4일 실훈(室訓) 제정, ᄋ 5일 제14차 증축 공사, 체육선수 합숙소인 흑응정사(黑鷹精舍) 기공, ᄋ 7일 보충수업 시작, ᄋ 22일 표준화 검사(지능, 적성), 중.고 1.2학년 실시, 충효시조 방송 개시 이 날부터 학생조회 형태 개편, ᄋ 28일 시국 강연회(재단 이사 황재홍 국회의원), ᄋ 30일 학교 보건 검진, 고1, X-Ray 촬영
1977.4 : 2일 식목일 행사 일환으로 방과 후 학교 주변 식수, ᄋ 19일 예절 지도를 위한 생활지도관 개관(중1 지도), ᄋ 21일 야간 교실 개방, ᄋ 28일 교련검열(고)
1977.5 : 3일 은사에게 편지 쓰기(교육주간 행사), ᄋ 3일 각 학급 게시판에 충효난을 설치함. ᄋ 4일 전교직원과 전교생, 학교 운동장에서 국제승공연합 예천군단장 황차윤 씨의 반공 강연를 들음. ᄋ 7일 고3, 학교 운동장에서 교련 자체 검열을 받음. ᄋ 9일 학생조회 형태 변경(月 애국, 火 효, 水 시조, 木 명상, 金 국민정신강화, 土 반성조회)함. ᄋ 12일 전교직원, 음악실에서 김교용 교장 선생님의 '국민정신과 충효' 강의를 들음. ᄋ 13일 중학교, 군내 소년체전 참가하여 우승, ᄋ 16-17일 중간고사, ᄋ 19일 소풍(중.고 2학년 수학여행 21일까지), ᄋ 23일 우병진(고2), 예천군문화원에서 열린 반공웅변대회에서 입상함. ᄋ 24일 고3 11명, 성인(20세 이상) 표창을 받음. ᄋ 26일 윤리주임, 전교직원에게 '얼씨앗 주머니' 유인물을 배부함. ᄋ 27일 효행일기장 검사, ᄋ 28일 송충 구제를 함. ᄋ 31일 중학교, 환전학습 종합검사
1977.6 : 1일 장학지도 받음(도교위 서창수, 군교육청 이재봉 장학사), ㅇ 3-5일 가정실습, ᄋ 10일 '독도는 우리 땅이다' 교육, ᄋ 15일 민방위 훈련 점검(군민방위과와 교육청), ᄋ 18일 원농 작업, ᄋ 20일 반공 웅변대회(중), ᄋ 25일 한국전쟁 기념 행군, ᄋ 28일 멸공 작품 전시회(장소:강당)
1977.7 : 10-18일 제1학기말 고사, ᄋ 17일 제14차 증축 공사인 흑응정사(체육선수 합숙소) 37평 준공 낙성, ᄋ 22일 새마을교육 지도를 위해 교위 윤 장학사 내교, ᄋ 23일 제1학기 종업식(8월 21일까지 방학), ᄋ 25일 영주통로 도로 보수 근로 봉사, ᄋ 26일 여름 보충수업 실시(중.고 전학년) 8월 16일까지, 제2회 독서학교 개교(중 34명, 고 45명 참가), ᄋ 27일 새마을 교실 운영(학부형 47명 참가)
1977.8 : 2일 제2회 독서학교 수료, ᄋ 22일 제2학기 시업식, ᄋ 30일 축구부 도대항에서 우승, 개선 환영식
1977.9 : 1일 제15차 증축 공사 도서관(3층) 기공, ᄋ 2일 군내 과학 실험실습 경연대회를 본교에서 개최, ᄋ 14일 9월 월례고사, ᄋ 15일 군내 초.중.고생 국민가요 평가대회를 본교 음악실에서 개최, ᄋ 16일 본교 주최 군내 공개 수업, 중: 과학과(김정길), 고: 수학과(홍충선) 실시, ᄋ 21일 중 3학년의 고교 진학을 위한 체력검사(공설운동장), 대한 적십자사 대구지사에서 실시한 헌혈 운동에 고 2.3년 164명 참가, ᄋ 23일 고 3학년의 대학 입시를 위한 체력검사(공설 운동장), ᄋ 24일 자연 보호 운동 전개(예천교에서 우계동까지), ᄋ 30일 예천군 자연환경보호궐기대회 참가(예천국교 운동장)
1977.10 : 11일 제11회 예천군민 체육대회 참가, 중.고 우승, ᄋ 12일 가을 소풍, ᄋ 13일 제1회 예천문화제 참가(예천문화원), 각 부문에서 우승, ᄋ 17일 예천군 교육회 주최 교직원 배구대회 참가, ᄋ 19일 월례 고사, ᄋ 25일 영화 관람, "북한의 실정"(전교직원)
1977.11 : 5일 제1회 육림의 날 행사로 흑응산의 어린 나무에 시비하고, 이어 자연보호운동의 일환으로 흑응산 일대의 빈병, 휴지 줍기 실시, ᄋ 10일 영어암송대회, ᄋ 12-14일 대창미전(문화원), ᄋ 18일 거리질서 정화 궐기대회 참가, ᄋ 21일 수업시간 45분 시작, ᄋ 22일 중 1.2 종합검사, ᄋ 23일 78고입 원서 접수 마감(320명으로 정원 미달), 난로 처음 점화
1977.12 : 6-8일 중간고사 실시 및 졸업고사, ᄋ 10일 보리밟기 노력 동원, ᄋ 19일 78학년도 신입 장학생 선발고사 실시, ᄋ 22일 보리밟기 참가(우계동)하고 겨울방학 시작(2월 9일까지)
1978.1 : 4일 학년말 고사, ᄋ 4일 절대평가를 위한 자가 연수, ᄋ 6일 중 제28회(270명), 고 제23회(232명) 졸업식을 문화극장에서 거행, ᄋ 25일 학년말 고사, ᄋ 27일 본교 주최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협조로 예천군내 초, 중등 교직원 시청각 기교재 활용 및 제작을 위한 연수회 개최
1978.2 : 10일 제2학기 후반기 시업, ᄋ 18일 전자복사기 도입으로 경북지구에서 유일한 인쇄 시설을 갖춤, ᄋ 25일 77학년도 수료식
1978.3 : 18일 자연 보호 캠페인
1978.4 : 5일 교내 동산 식수
1978.5 : 30일 가뭄극복 근로 봉사, ᄋ 31일 교내 반공 웅변대회 개최
1978.6 : 14일 전교생 모심기 근로 봉사, ᄋ 23일 영어 암송대회 실시
1978.10 : 11일 전교생 모의고사 (중, 도내 138개교 중 2위), ᄋ 16일 예천군 소년체전(중, 종합 우승), ᄋ 31일 제22회 예천군민체전(중, 고 종합 우승)
1978.12 : 8일 교련 검열 실시, ᄋ 15일 대창미전 개최(예천문화원)
1979.1 : 5일 중 29회(252명), 고 24회(337명) 졸업식
1979.4 : 19일 송대 도서관 신축 공사 준공 및 개관식 거행(연건평 407평), 지하 1층, 지상 3층
1979.5 : 15일 화랑 정신 계개 운동을 위한 웅변대회 및 백일장 개최, ᄋ 23일 태국 교수단 내교, ᄋ 24일 서울 삼신양행(三新洋行) 대표 이사 변정구, 회의실용 의자 50개 기증, ᄋ 31일 전교생 모심기 근로 봉사
1979.6 : 26일 총력안보 강연회 및 영화 관람, 반공작품전시회
1979.7 : 6일 KBS, 젊은이의 광장 라디오 녹음, ᄋ 16일 예천군 초 중 학생 연합회의 개최
1979.10 : 20일 교련 검열 실시, 우수 성적으로 합격, ᄋ 24일 제23회 군민체전 참가, 우승, ᄋ 26일 중학교 군내 과학 연구 발표회 개최
1979.11 : 7일 대창미전 개최, ᄋ 8일 군내 초 중 고 음악 경연대회 개최
1979.12 : 6일 군내 중학교, 학력검사 실시
1980.1 : 8일 중 30회(244명), 고 25회(304명) 졸업식
1980.5 : 8일 효행 학생 및 장한 어머니 표창, ᄋ 9일 2학년 수학여행 실시, 중 경주 부산, 고 설악산, ᄋ 27일 반공 웅변대회 개최
1980.6 : 5일 모내기 원농 활동, ᄋ 25일 군 부대 위문
1980.7 : 22일 군내 음악 경연대회 참가
1980.8 : 9일 학교 정화위원회 조직, ᄋ 23일 학교 학년 학습 정화위 활동 개시, ᄋ 29일 정화 추진 궐기대회 참가
1980.9 : 26일 군내 영어과 교사, 본교에서 수업 연수, ᄋ 30일 콜레라 예방 접종
1980.10 : 18일 화랑문화제 참가, 종합 우승
1980.11 : 1일 양호실 및 숙직실 개축 기공, ᄋ 5일 성적표, 학부모께 우송하기 시작
1981.2 : 13일 중 31회(255명), 고 26회(299명) 졸업식, ᄋ 28일 양호실 및 숙직실 개축 완공
1981.3 : 5일 본교 시청각실에서 예천읍내 전교직원에게 슬라드 상영 관람(군교육청 주관), ᄋ 7일 고2 전원, 예천읍 남산공원에서 자연보호운동 참가, ᄋ 10일 전교직원, '한국의 경제' 슬라이드 상영 관람(군 교육청 주관)
1981.4 : 21일 과학의 날 작품 시상, ᄋ 29일 교련검열 및 장학지도
1981.5 : 8일 효행학생 및 장한 어머니 표창, ᄋ 21일 2학년 수학여행, (중) 경주, 부산, (고) 남해안 및 호남
1981.6 : 3일 군내 영어과 교사 세미나 및 공개 수업(중 이성근 교사), ᄋ 4일 가뭄극복 한천굴착작업 근로 봉사, ᄋ 10일 청탁배격 다짐대회, ᄋ 23일 교내 반공웅변대회 개최
1981.7 : 16일 정신여고 합창단 내교 공연
1981.9 : 27일 교내 영어 암송대회 개최
1981.10 : 15일 예천문화제에 "지짐이놀이"로 참가, ᄋ 17일 예천문화제 및 군민체전 중 고 종합 우승
1981.11 : 21일 시군 대항 역전 마라톤대회, 종합 준우승
1981.12 : 20일 VTR 시설 설치
1982.2 : 16일 중 32회(255명), 고 27회(306명) 졸업식
1982.3 : 13일 교육방송 시설(VTR) 완공, 시험 방송 실시, ᄋ 19일 VTR 활용 시작
1982.5 : 1일 개교 60주년 기념식, 본교 강당에서 염. ᄋ 1-5일 대창미전, 예천읍단위농협 2층 회의실에서 염. ᄋ 3일 개교 60주년 기념 체육대회, 종합운동장에서 염. ᄋ 31일 교내 평화통일글짓기대회 개최
1982.6 : 10일 고등학교 교련 검열 실시, ᄋ 25일 6.25 전쟁 상기 반공웅변대회, ᄋ 26일 가훈 및 좌우명 전시회, ᄋ 28일 가믐 극복 근로 작업
1982.7 : 16일 국민정신교육 강연회(강사 : 안호상 박사, 이일청 교수)
1982.9 : 11일 교내 마라톤대회 개최, ᄋ 28일 교내 영어 암송대회 개최
1982.10 : 탐구 학습을 통한 과학과 학력향상 방안 공개수업(중 김정길 교사), ᄋ 12일 예천문화제 참가(중.고 종합 우승), ᄋ 20일 제1회 교내 수학경시대회 개최, ᄋ 22일 예천군민체육대회 참가(중,고 종합 우승)
1982.11 : 30일 고2, 도교육청 주최 학력고사
1982.12 : 5일 김교용 교장, 경상북도 교육대상 받음
1983.1 : 24일 학교 신문 <대창춘추> 창간
1983.2 : 11일 중 33회(222명), 고 28회(302명) 졸업식
1983.3 : 3일 이 날부터 교복 자율화 실시(중 36회, 고 31회 입학식)
1983.4 : 12일 어학실(64석, 컴퓨터 시스템) 완공, ᄋ 23일 교내 단축 마라톤 대회 개최
1983.5 : 4일 주부 과학교실 개최, ᄋ 25일 경북교위 지정 시범학교 지리과 공개
1983.6 : 10일 교내 백일장 실시, ᄋ 24일 교내 반공 웅변대회, ᄋ 25일 반공 궐기대회 참가
1983.7 : 5일 중3, 고3 영어듣기 능력 및 음악 감상 능력 평가 실시, ᄋ 7일 안동 MBC 영스테이지 공개 방송, ᄋ 13일 제2회 수학 경시대회
1983. 8 : 20일 정구장 완공(243평)
1983. 9 : 6일 교내 영어 암송대회, ᄋ 23일 군내 제도 실기대회 참가
1983.10 : 12일 벼베기 노력 동원, ᄋ 14일 교내 모형 항공기 대회 개최, ᄋ 20일 예천문화제(원놀음) 군민체육대회 참가, 종합 우승
1983.11 : 28일 한일여고 중창단 내교 공연
1984.2 : 11일 중 34회(233명), 고 29회(335명) 졸업식
1984.3 : 10일 자연보호 캠페인, ᄋ 21일 지능 및 적성검사 실시, ᄋ 22일 컴퓨터실 완공(31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