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장릉[ Jangneung Royal Tomb, Gimpo , 金浦 章陵 ]
요약 :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에 있는 추존왕 원종과 부인
인헌왕후 구씨의 무덤. 1970년 5월 26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이미지 크게보기
김포 장릉 참도
조선 선조(宣祖)의 5번째 아들이자 인조(仁祖)의 아버지로, 1632년(인조 10) 왕으로 추존된 원종(元宗 1580∼1619)과 부인 인헌왕후(仁獻王后) 구씨(1578∼1626)의 무덤이다. 1970년 5월 26일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2009년에는 김포 장릉을 포함한 40기의 조선 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에 위치한다.
김포 장릉의 조성
1619년(광해군 11) 정원군(定遠君, 훗날: 원종)이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인 1620년 양주 곡촌리(현 남양주시 금곡동)에 묘를 조성하였다. 1623년에 인조가 왕위에 오르자 정원군은 대원군으로 추봉되고, 1626년(인조 4) 원종의 원비 인헌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김포 성산에 육경원(毓慶園)을 조성하였다. 이때 정원대원군의 묘의 이름을 흥경원(興慶園)이라 바꾸었다. 이듬해인 1627년에 흥경원을 육경원으로 이장하면서 원의 이름을 흥경원이라 하였다가, 1632년(인조 10)에 정원대원군이 원종으로 추존되면서 능의 이름을 장릉이라 하였다. 이때 능을 왕릉제도에 맞게 새로 조성하였다. *원(園) : 왕세자와 왕세자비 또는 왕의 사친(私親)의 무덤.
형태 및 구조
왕릉과 왕비릉이 나란히 놓인 쌍릉으로, 병풍석이나 난간석은 설치하지 않고 봉분 아래로 얕은 호석(護石)만 둘렀는데 이는 추봉된 다른 왕릉의 전례를 따른 것이다. 각 능 앞에 상석이 놓여 있고, 상석 좌우로 망주석 1쌍이 있다.
봉분 주위로 석양(石羊)·석호(石虎) 각 2쌍을 교대로 배치하였으며, 봉분 뒤쪽으로는 3면의 곡장(曲墻; 나지막한 담)을 둘렀다. 봉분 아랫단에 문인석·석마(石馬) 각 1쌍과 장명등, 그 아랫단에 무인석·석마 각 1쌍이 있고, 능원 밑에 정자각·비각·수복방(守僕房)·홍살문·재실이 있다.
출처:(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문수산 산림욕장[山林浴場]
요약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성동리에 있는 산림욕장.
국가소재지면적명소: 장릉, 애기봉, 김포조각공원, 문수산성, 덕포진, 덕포진 교육박물관, 약암온천
해발고도 376m의 문수산 기슭에 자리잡은 산림욕장으로, 1997년 11월 7일 개장하였고, 김포시 녹지과에서 관리한다. 문수산은 인천 앞바다의 월미도,서울 삼각산,개성 송악산까지 보이는 서부전선의 전방산이다. 산림욕장은 4.6㎞의 등산로, 1,4㎞의 산책로를 조성해 문수산의 울창한 숲과 아름다운 경관을 조망하며 산림욕을 할 수 있다. 산림욕장 안에는 족구장, 급수대, 약수터가 있고, 팔각정, 벤치, 원두막, 평상, 야외탁자, 인조목, 등의자 등 편의시설과 철봉, 평행봉, 오금펴기, 씨름장, 배드민턴장, 배구장, 족구장, 게이트볼장, 산림욕대 등 체력단련시설을 갖추었다. 고리던지기, 윷놀이판, 투호, 널뛰기를 할 수 있는 민속놀이시설 및 야외교실, 수목표찰, 공익기능판, 교육자료판 등 자연학습을 위한 교육시설도 있다. 주변에 장릉, 애기봉, 김포조각공원, 문수산성, 덕포진, 덕포진교육박물관, 대명포구, 약암온천 등 관광지가 있다.
출처:(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2024-12-02 작성자 명사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