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경로 E:\Kali리눅스모의해킹\프로그램
VMware-player-full-16.2.1-18811642.exe
CentOS-8.2.2004-x86_64-dvd1.iso
kali_edu.OVA
------------------------------------------
1. 실습 S/W 확인
- VMware
- Kali linux
- CentOS linux
- Wireshark
------------------------------------------
2. 실습환경 구성
- Vmware : 공식 홈페이지 다운로드 및 설치
- Kali linux : 배포된 ova 파일로 설치
- CentOS linux : 배포된 iso 파일로 설치
------------------------------------------
실행
------------------------------------------
1.VMware Workstation 16 Player 실행
1-1.
Installer disk image file(iso): 선택 후 Browse
d:\study\iso SentOS 8 64-bit 선택
test, test, 1234, 1234
D:\cent 폴더 생성후 선택
Maximum disk size(GB) '20'
Customize Hardware... 클릭
Memory 4Gb, Processors '2' cores 선택
finish
...(약 20분)
CentOS test 화면에서 Not listed? 클릭> root, 1234
x 닫기
우측 상단 파워에서 로그인 로그아웃 가능
우측 상단 삼각형누름단추-설정
Power> Power Saving, Blank screen:'Never'선택
좌측 상단 - Activites 선택 후 Terminal 셋팅
1-2.실습환경 구성 : CentOS
setenforce 0 selinux 비활성화
sestatus selinux 상태 확인
yum install httpd 아파치 웹서버 설치
service httpd start 아파치 웹서버 기동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80/tcp --permanent 설치 후 방화벽 port open
ssh root 접속 허용 : /etc/ssh/sshd_config 파일 내 PermitRootLogin yes로 수정 후 service sshd restart
yum install telnet-server telnet 서버 설치
systemctl start telnet.socket telnet 서버 기동
yum install vsftpd ftp 서버 설치
service vsftpd start ftp 서버 기동
yum install wireshark wireshark 설치
좌측 상단 - Activites 선택 후 Terminal 에서 실습
------------------------------------------
2.칼리 리눅스 설치(kali.org에서 다운로드 가능)
kali_edu.ova 실행
kali,
Browse 누르고 새폴더 Kali
Import 클릭
...(5분)
root, 1234로 셋팅
환경설정
디바이스 < 뒤로
Power , Never
좌측 상단 - Activites 선택 후 Terminal 에서 실습
------------------------------------------
------------------------------------------
실습시 주의 사항
참조교재. 칼리리눅스로 배우는 해킹과 보안
리눅스 기초 명령어
cat : 텍스트 파일 내용을 출력한다
cat [옵션] [파일] ···
-A, --show-all : -vET 옵션과 같다.
-b, --number-nonblank : 각 문장 앞에 번호를 표시해 준다. 공백 줄은 번호를 표시하지 않는다.
-e : -vE와 같다.
-E, --show-ends : 개행 문자를 $로 표시한다. 줄 바꿈 표시이다.
-n, --number : 각 문장 앞에 번호를 표시해 준다. 공백 줄도 번호를 표시한다.
-s, --squeeze-blank : 공백이 여러 줄인 경우, 한 줄만 공백으로 보여주고 나머지 줄은 무시한다.
-t : -vT 옵션과 같다.
-T, --show-tabs : 탭 문자를 ^I로 출력한다.
-v, --show-nonprinting : ^와 M 표시법으로 출력한다. 줄 바꿈 문자와 탭 문자는 표시하지 않는다.
--help : 사용법을 출력한다.
--version : 버전 정보를 출력한다.
cd : 디렉터리를 이동한다.
cd [디렉터리 경로]
cd . 현재 디렉터리
cd ..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cd / 가장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cd ~사용자 계정 지정된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ifconfig : 이더넷 카드와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명령어.
kill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ls 디렉터리 목록을 출력한다.
ls [옵션] [파일]
-a, --all : .을 포함하여 경로 안의 모든 내용을 출력한다.
mkdir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nslookup 인터넷 네임 서버를 대화형으로 질의한다.
nslookup[-옵션···] [host_to_find | -서버]
ping ICMP_ECHO_REQUEST 메시지를 네트워크 호스트로 보낸다.
ping [옵션] host
-b : 브로드 캐스트 주소로 핑을 보낸다.
-c count : 지정한 숫자(count)만큼 패킷을 보낸다.
-f : 핑 플로딩(ping Flooding) 패킷을 보낸다. 초기 유닉스 시스템의 도스 핑 공격으로 이용되었다.
-i wait : 지정한 간격(wait)으로 패킷을 보낸다.
-l interface_address : 발신지 주소의 인터페이스 주소를 지정한다.
-l preload : 핑을 보내기 전 미리 지정한 수(preload)만큼 패킷을 보낸다.
-n : 반환되어 되돌아오는 패킷의 호스트명을 IP 주소 형태로 출력한다.
-p pattern : 송신할 패킷을 채우기 위해 16바이트까지 지정한다. 이는 네트워크의 데이터 문제를 진단하는 데 유용하다.
-q : 패킷의 응답 정보는 출력하지 않고 통계 정보만 출력한다.
-r :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연결된 호스트에 패킷을 보낸다.
-s packetsize : 보낼 패킷 크기(packetsize)를 지정한다. 기본값은 56이며, 최대값은 65,507이다.
-v : 에코 응답(ECHO_RESPONSE)과 함께 ICMP 패킷의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V : 버전 정보를 출력한다.
ping 명령어는 네트워크에 ICMP 패킷을 보내 호스트의 연결성을 분석한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임의의 호스트에서 대상 호스트로 ICMP 패킷을 보내면, 패킷은 대상 호스트에 도착한 후에 시간을 저장하고 패킷을 다시 발신지 호스트로 되돌아온다.
pmap 프로세스의 메모리 맵을 출력한다.
ps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를 출력한다.
pwd 작업 디렉터리명을 출력한다.
shutdown 시스템을 종료한다.
ssh Open SSH 원격 로그인 클라이언트.
ssh [옵션] [주소]
yum rpm 기반의 시스템에서 업데이터 기능을 제공한다.
yum [옵션] [명령] [패키지 ···]
네이버지식백과 리눅스 명령어 참조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59321&categoryId=59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