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사예절
선조를 추모(追慕)하고 효도하는 도리로써 행하는 예절이니 사람은 그 근본(根本)을 중히 하여야 하며 한 뿌리의 자손이 한자리에서 제사를 올릴 때 혈육의 정과 우애가 학인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① 제사(祭祀)와 차례(茶禮)로 구별하는데 축(祝)을 읽고 삼헌(三獻)을 올리면 제사요, 축(祝)이 없이 단잔만 올리면 차례이다.
② 제사(祭祀)에는 기제(忌祭)와 묘제(墓祭)가 있고, 차례에는 설, 한식, 단오, 추석 등이 있으나 현재는 설과 추석만 행사한다.
(1) 기제사(忌祭祀)선조의 돌아가신 기일(忌日)을 당하여 년년 올리는 제사로 高祖까지 四大를 봉사하며 해당하신 한분만 모시는 것이 정례(正禮)이나 정의상 고, 비(考, 妣) 양위를 합사(合祀)함은 정례(情禮)라 할 수 있다.
(2) 지방 쓰는 법
제 | 처 | 남편 | 형 | 고 | 비 | 조고 | 조비 | 증조 | 증조비 | 고조고 | 고조비 |
亡 弟 學 生 이 름 神 位 | 故 室 孺 人 ○ ○ 韓 氏 位 | 顯 辟 學 生 府 君 | 顯 兄 學 生 府 君 神 位 | 顯 考 學 生 府 君 神 位 | 顯 妣 孺 人 ○ ○ 尹 氏 神 位 | 顯 祖 考 學 生 府 君 位 | 顯 祖 妣 孺 人 ○ ○ 朴 神 位 | 顯 曾 祖 考 學 生 府 君 神 位 | 顯 曾 祖 妣 孺 人 ○ ○ 金 氏 神 位 | 顯 高 祖 考 學 生 府 君 神 位 | 顯 高 祖 妣 孺 人 ○ ○ 李 氏 神 位 |
① 정례(正禮)는 정결한 밤나무를 깍아 神主를 사당에 모시는 법이나 현대는 약식으로 지방(紙榜)을 써서 대용한다.
② 흰백지 가로 三寸, 세로 七寸의 길이로 마련하여 붓으로 정자로 정결하게 내려 쓴다.
③ 고인이 관직이 있으면 학생(學生)대신 관직을 쓴다.
(3) 祝文式(각종 축문식)
1. 상례고축(喪禮告祝)
(가) 山神祝(산신축, 개토시)
維 유 年號幾年 歲次 干支 幾月 干支朔 幾日 干支 幼學 ○○敢昭告于 년호기년 세차 간지 기월 간지삭 기일 간지 유학 감소고우 土地之神 今爲 某貫某(姓)公(女子는 某貫某氏) 營建宅兆 토지지신 금위 모관성명 영건택조 神其保佑 俾無後艱 謹以 淸酌脯果 祗薦于神 尙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 청작포과 지천우신 상 饗 향 |
※ 토지의 신에게 감히 고하나이다. 이제 모의 묘를 마련하니 신께서
도우셔서 뒤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여 주시기 바라옵고 맑은 술로 포와 과일을 올리오니 흠향하소서.
※ 祝 文쓰는 요령
축문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종서로 쓰는 것이 원칙이다.
① 첫줄은 비우고 維(이제)자는 위에서 세자내려 축의 기준으로 하고
② 연호인 단군 첫 자는 맨 윗줄에 쓰고
③ 顯(土)자는 檀자보다 1자 낮게 쓰며
④ 饗자는 顯자와 같은 높이로 쓴다. ※ 7)항 참조
(다) 返魂祝(반혼축, 평토 후, 題主尊祝)
維 유 年號幾年 歲次 干支 幾月 干支朔 幾日 干支 孤子 ○○敢昭告于 년호기년 세차 간지 기월 간지삭 기일 간지 고자 감소고우 顯考學生府君 形歸窀穸 神返室堂 神主未成 현고학생부군 형귀둔석 신반실당 신주미성 魂魄仍存 伏惟尊靈 是憑是依 혼백잉존 복유존영 시빙시의 |
※ 형체는 땅속에 묻혔사오니 혼령은 집으로 돌아가 주옵소서. 혼백상자를 그대로 모시오니 여기에 의존 하십시오.
※ 부상(父喪)에는 고자(孤子), 모상(母喪)에는 애자(哀子), 부모구몰(父母俱歿)에는 고애자(孤哀子)라 쓴다.
※ 사진인 경우에는 혼백잉존(魂魄仍尊)을 권봉존영(權奉尊影)으로 쓴다.
(라) 初虞祝(초우측)
維 유 年號幾年 歲次 干支 幾月 干支朔 幾日 干支 孤子 ○○敢昭告于 년호기년 세차 간지 기월 간지삭 기일 간지 고자 감소고우 顯考學生府君 日月不居 奄及初虞 夙興夜處 현고학생부군 일월불거 엄급초우 숙흥야처 哀慕不寧 謹以 淸酌庶羞 哀薦祫事 尙 애모불령 근이 청작서수 애천협사 상 饗 향 |
※ 謹以를 妻나 弟에게는 玆以로 쓰고 哀薦을 妻나 弟에게는 陳比라 쓴다(바) 小祥祝(소상축) 孝子
※ 이 축문은 아버지 소상 축문이므로 어머니 소상축문은 현고학생 부군을
顯妣孺人某封某氏로 고쳐 쓰고 大祥에는 大祥으로 쓴다.
維 유 年號幾年 歲次 干支 幾月 干支朔 幾日 干支 孤子 ○○敢昭告于 년호기년 세차 간지 기월 간지삭 기일 간지 고자 감소고우 顯考學生府君 日月不居 奄及百日 夙興夜處 哀慕不寧 三年奉祥 현고학생부군 일월불거 엄급백일 숙흥야처 애모불령 삼년봉상 於禮至當 事勢不逮 今日脫喪 魂歸墳墓 永世是安 謹以 어예지당 사세불체 금일탈상 혼귀분묘 영세시안 근이 淸酌庶羞 哀薦祥事 尙 청작서수 애천상사 상 饗 향 |
(사) 百日脫喪祝(백일탈상축)
※ 아버님 돌아가신 백일이 되었습니다.
사모하는 마음 이기지 못하여 3년을 모셔야 하나 시속에 따라 오늘 탈상하오니
영혼은 분묘로 돌아가셔서 오랜 세월동안 편히 계시오 이제 맑은 술과 음식으로
공손히 잔을 드리오니 흠향하옵소서.
※ 一年脫喪은 百日을 朞祥(기상)이라 쓴다.
(2) 茶禮告祝(忌祭祝文)
용지는 백지의 길이 36㎝, 폭 24절로 하여 가는 붓으로 정자로 서한다.(16절도 가함)
(가) 父母忌祭祝文(부모기제축문)
維 유 檀君紀元 四三四二年 歲次 己丑 四月 丙子朔 十日 乙酉 단군기원 4 3 4 2 년 세차 기축 사월 병자삭 십일 을유 孝子 ○○敢昭告于 효자 감소고우 顯 考 某 官(學生) 府 君 현 고 모 관(학생) 부 군 顯 妣 孺 人 本封 某氏 歲序遷易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현 비 유 인 본봉 모씨 세서천역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 饗 향 |
예: 기축년4월10일인 경우
※ 曾祖는 顯曾祖考ㆍ顯曾祖妣, 高祖는 顯高祖考ㆍ顯高祖妣라 쓴다.
※ 부모는 昊天罔極, 祖父母 이상은 不勝感慕라 쓴다.
維 유 檀君紀元 四三四二年 歲次 己丑 1月 丙午朔 一日 丙午 단군기원 4 3 4 2 년 세차 기축 일월 병오삭 일일 병오 孝子 ○○敢昭告于 효자 감소고우 顯考某官府君 (妣某封某氏合葬則列書)之墓 氣序流易 현고모관부군 (비모봉모씨합장즉열서)지묘 기서유역 歲律旣更 瞻掃封塋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세율기경 첨소봉영 호천망극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饗 향 |
(나) 節日墓祭祝(명절차례축) 예
※ 父母는 孝子, 祖,曾祖,高祖는 孝孫, 5代祖부터는 幾代孫이라한다.
※ 歲律旣更은 설날에 쓰는 것이므로 한식에는 우로기유(雨露旣濡), 단오에는 시물창무(時物暢茂), 한가위는 백로기강(白露旣降)이라 쓴다.
※ 瞻掃와 封塋은 묘지의 봉분을 쳐다보라는 듯이므로 묘지에서 지낼 때 쓰고 집에서 위패를 모실 때는 追遠感時라 쓴다.
※ 昊天罔極은 부모에게만 쓰고 조부모 이상에게는 不勝感慕, 아내에게는 不勝悲念이라쓴다.
※ 祗薦歲事는 웃어른에게만 쓰고 아랫사람에게는 伸此歲事라쓴다.
(가) 墓祭祝(묘제축)예 : 단군년호 4342년 10월10일 인 경우
維 유 檀君紀元 四三四二年 歲次 己丑 十月 丙寅朔 十日 乙亥 단군기원 4 3 4 2 년 세차 기축 시월 병인삭 십일 을해 ○○代孫 ○○敢昭告于 대손 감소고우 顯○代祖考某官府君(妣某封某氏合葬則列書)之墓 氣序流易 현○대조고모관부군(비모봉모씨합장즉열서)지묘 기서유역 霜露旣降 瞻掃封塋 不勝感慕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상로기강 첨소봉영 불승감모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饗 향 |
※ 비오는 날 방안에서 지낼때는첨소봉영( 瞻掃封塋) 불승감모(不勝感慕)를 빼고
적치우천(適値雨天) 미능상묘(未能上墓) 행사우가(行事雨家) 혹은 雨來登土龍 謹行齋舍라 쓴다.
※ 세시(歲時)에는 세율기경(歲律旣更), 한식에는 우로기유(雨露旣濡), 단오에는 시물창무(時物暢茂),
추석에는 백로기강(白露旣降), 십월에는 상로기강(霜露旣降)이라 씀.
節氣 봄 立春 2.4 雨水 2.19 驚蟄 3.6 春分 3.21 淸明 4.5 穀雨 4.20
여름 立夏 5.6 小滿 5.21 芒種 6.6 夏至 6.22 小暑 7.7 大暑 7.23
가을 立秋 8.8 處暑 8.23 白露 9.8 秋分 9.23 寒露10.9 霜降10.24
겨울 立冬11.8 小雪11.23 大雪12.7 冬至12.22 小寒 1.6 大寒 1.20
(나) 歲享祝(세향축, 陰十月歲一墓祭祝)
維 유 年號幾年 歲次 干支幾月 干支朔 幾日干支 幾代孫 ○敢昭告于 년호기년 세차 간지기월 간지삭 기일간지 기대손 감소고우 顯○代祖考某官府君 현○대조고모관부군 顯○代祖妣某封某氏之墓 今以 草木歸根之時 追惟報本 禮不 현○대조비모봉모씨지묘 금이 초목귀근지시 추유보본 예불 感忘 瞻掃封塋 不勝感慕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감망 첨소봉영 불승감모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饗 향 |
※ 집에서 위패를 모시고 지낼 때는 첨소봉영을 추원감시(追遠感時)라 쓴다.
維 유 年號幾年 歲次 干支 幾月 干支朔 幾日干支 幼學姓名 敢昭告于 년호기년 세차 간지 기월 간지삭 기일 간지 유학성명 감소고우 土地之神 今爲 某恭修歲事于 ○代祖考某官府君之墓 토지지신 금위 모공수세사우 ○대조고모관부군지묘 維時保佑 神賴神休 敢以 酒饌 敬伸奠獻神 尙 유시보우 신뢰신휴 감이 주찬 경신전헌신 상 饗 향 |
(다) 山神祝(산신축,墓祭時祝土地祝)
※ 酒饌敬伸奠獻神을 酒果祗薦干神으로 써도 된다.
維 유 年號幾年 歲次 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幼學姓名○敢昭告于 년호기년 세차 간지 기월간지삭 기일간지 유학성명 감소고우 土地之神 玆有學生 某公(主人自告則稱某貫學生府君合葬則列 토지지신자유학생모공 書某親封孺人某貫某氏稱號隨改) 卜宅此地 恐有他患 將窆他所 謹以 酒果 祗薦于神 복택차지 공유타환 장폄타소 근이 주과 지천우신 神其佑之 尙 신기우지 상 饗 향 |
(라) 莎草時 山神祝(산신축, 사초할 때 축)
維 유 年號幾年 歲次 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幼學姓名○敢昭告于 년호기년 세차 간지 기월간지삭 기일간지 유학성명 감소고우 土地之神 今爲 顯考學生府君(合葬列書)之墓 塚宅崩頹 토지지신 금위 현고학생부군 지묘 총택붕퇴 將加修治 神其保佑 俾無後艱 謹以 酒果祗薦于神 尙 장가수치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 주과지천우신 상 響 향 |
※ 유택이 붕괴되었으므로 장차 수축을 하려하오니 신이시여 보호하사 후환이 없도록 하여 주시옵소서.(바) 具石物告辭(구석물고사)
維 유 年號幾年歲次 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孝子○○敢昭告于 년호기년세차 간지 기월간지삭 기일간지 효자 감소고우 顯考學生府君(合葬列書)之墓 今以 吉辰謹具石物 현고학생부군 지묘 금이 길신근구석물 排設如儀(床石碑石望柱石一時井立則云)用衛墓道(但建立 表石 배설여의 용위묘도 則衛字改以表)謹以 酒果用伸虔告 謹告 근이 주과용신건고 근고 |
※ 비석만할 경우에는 石物을 碑石이라 고쳐쓰고 用衛를 用表라 씀
※ 祝文(축문) 쓰는 要領(요령)
維 年號幾年 歲次 干支 幾月 干支朔 幾日 干支 孝子 ○○敢昭告于
(1) 유 년호기년(維 年號幾年)은 단군기원(檀君紀元) ○○년을 쓰고
(2) 歲次 干支는 그해의 간지(干支)를 쓴다.
(3) 幾月은 그 달 숫자를 쓴다.
(4) 干支朔은 그 달 초하루 일진(日辰)을 쓴다.
(5) 幾日 干支는 그날의 숫자와 일진(日辰)을 쓴다.
(6) 제주(祭主)의 촌칭(寸稱)
① 부(父)이면 효자(孝子), 조(祖)면 효손(孝孫), 증조(曾祖)면 효증손(孝曾孫), 고조(古祖)면
효현손(孝玄孫)이라 쓴다.
② 시제(時祭)등 고조(高祖)이상 선대(先代)면 오대손(五代孫), 육대손(六代孫) 대의수 대로 쓴다.
③ 子면 부(父), 제(弟)면 兄, 처(妻)면 부(夫)등 속칭하여 쓴다.
(7) 봉사자(奉祀者)
① 제주(祭主)의 名을 쓴다.
② 제, 자(弟, 子) 이하는 이름을 쓰지 않는다.
(8) 감소고우(敢昭告于)
① 제, 자(弟, 子) 이하는 감소(敢昭)를 빼고 고우(告于)만 쓴다.
② 처(妻)는 감(敢)를 빼고 소고우(昭告于)라 쓴다.
(9) 신위칭(神位稱)
① 지방(紙榜)쓰는 서식(書式)에 따라 쓴다.
② 父는 현고(顯考), 母는 현비(顯妣)라 쓰고 그 以下 代에 따라 현조고, 현조비. 현증조고(顯曾祖考),
현증조비(顯曾祖妣), 현고조고(顯高祖考), 현고조비(顯高祖妣)라 쓴다.
③ 子는 망자(亡子),弟는 망제(亡弟), 妻는 망실(亡室)등으로 쓴다. 남편은 현벽(顯辟)이라 쓴다.
(10) 관직(官職)
① 관직이 있으면 관직명(官職名)을 쓴다.
② 관직이 없으면 남자(男子)는 학생(學生), 여자(女子)는 유인(孺人)이라 쓴다.
(11) 부군(府君), 모씨(某氏)
① 남자(男子)는 학생부군(學生府君)이라 쓰고 자제(子弟) 이하는 부군(府君)을 쓰지 않는다.
② 여자는 모봉모씨(某封某氏) 쓴다.
(12) 휘일부임(諱日復臨)
① 처제(妻弟)이하는 망일부지(亡日復至)라 쓴다.
(13) 추원감시(追遠感時) 호천망극(昊天罔極)
① 조부모(祖父母)이상은 추원감시(追遠感時) 불승영모(不勝永慕)
② 처(妻)는 비도산고(悲悼酸告) 부자승감(不自勝感)
③ 형(兄)은 비통무기(悲通無己) 지정여하(至精如何)
④ 제(弟)는 비통외지 정하가처(悲痛猥至 情何可處)
⑤ 子는 비념상속 심언여훼(悲念相續 心焉如燬)라 쓴다.
(14) 근이(謹以)
① 처(妻), 제이하(弟以下)는 자이(玆以)라 쓴다.
(15) 공신전헌(恭伸奠獻)
① 처(妻), 제이하(弟以下)는 신차전의(伸此奠儀)라 쓴다.
(16) 현(顯), 향(饗)
① 다른 글자보다 한자 높여 쓴다.
6. 祭需用語(제수용어)
※ 제사에 올리는 제사음식 명칭이다.
① 조(棗) 대추니 꼭지 쪽에 잣을 박아 쓰기도 한다.
② 율(栗) 밤이니 생율을 예쁘게 깍아 쓴다.
③ 시(柿) 감이니 홍시나 건시(건시)로 쓴다.
④ 이(梨) 배, 아래위를 도려내고 그대로 쓴다.
⑤ 사과(沙果) 사과, 아래위를 도려내고 그대로 쓴다.
⑥ 병(餠) 떡, 모든 떡을 말함
⑦ 편(䭏) 떡, 켜로 된 시루떡
⑧ 반(飯) 메(밥)
⑨ 갱(羹) 국
⑩ 면(麵) 국수, 삶아 건더기만 쓰며 고명을 얹어 쓴다.
⑪ 육적(肉炙) 소, 돼지고기를 익혀 대꼬치에 꿰어 쓴다.
⑫ 어적(魚炙) 조기, 숭어, 민어, 명태 등을 통째로 익혀 쓴다.
⑬ 계적(鷄炙) 꿩대신 닭을 통째로 익혀 쓴다.
⑭ 육탕(肉湯) 고기를 재료로 하여 끓여 담는다.
⑮ 어탕(魚湯) 해물 등을 재료로 하여 끓여 담는다.
⑯ 소탕(蔬湯) 다시마, 두부 등을 재료로 끓여 담는다.
⑰ 육전(肉煎) 육간납, 고기를 다지어 부침
⑱ 어전(漁煎) 어간납, 생선을 부침
⑲ 포(脯) 육포, 문어, 민어, 북어, 상어 등 말린것
⑳ 해(醢) 장조림, 젓 종류 등 육회
혜(醯) 식혜, 건더기 만 쓴다.
청장(淸醬) 간장
초장(醋醬) 식초를 간장에 탄 것 (육회에 쓴다.)
개자장(芥子醬) 계자를 물에 탄 것(어회에 쓴다.)
적염(炙塩) 또는 형염(型塩) 소금, 적을 올릴 때 쓴다.
숙채(熟菜) 미나리, 배추, 고사리, 도라지, 머우
침채(沈菜) 백김치 또는 나박김치
실과(實果) 나무에 열린 과일, 밤, 대추, 감 등
조과(造果) 만든 과일 강정, 다식, 산자 등
제주(祭酒) 제사에 쓰는 술, 약주(소주는 쓰지 않는다.)
현주(玄酒) 정화수(井華水) 병에 담아 놓는다.
다(茶, 차) 숙수, 숭늉
(1) 祭具用語 (제구용어)
① 시접(匙楪) 대접에 숫가락과 젓가락을 놓음
② 잔반(盞盤) 술잔과 잔받침
③ 제병(祭屛) 제사 병풍, 화려함은 피한다.
④ 제상(祭床) 제수음식을 올리는 상
⑤ 향탁(香卓) 향로 향합을 놓는 상
⑥ 향로(香爐) 향을 태우는 그릇
⑦ 향합(香盒) 향을 담는 그릇
⑧ 향(香) 향나무, 만수향
⑨ 촛대(燭臺) 초를 꽂는 기구
⑩ 모속(茅束) 띠 풀을 한줌 붉은 실로 묶어 상하를 잘라 쓴다.
⑪ 모사기(茅沙器) 모래를 담고 모속을 세운 그릇
⑫ 강신잔(降神盞) 강신 때 쓰는 잔
⑬ 축판(祝板) 축문을 받치는 판
⑭ 퇴주기(退酒器) 물린 술을 담는 그릇
⑮ 주주기(注酒器) 주전자
⑯ 제기(祭器) 제수를 담는 그릇, 목기, 적접, 편접 등이 굽이 높은 그릇을 사용
(2) 陳設用語(진설용어)
용 어 | 한 글 | 해 석 |
棗栗柿梨 | 조율시이 | 서에서부터 대추, 밤, 감, 배순으로 진설한다. |
紅東白西 | 홍동백서 | 붉은 과일은 동쪽, 흰색과일은 서쪽 순서 |
左脯右醯 | 좌포우혜 |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 |
魚東肉西 | 어동육서 | 물고기종류는 동쪽, 육지고기는 서쪽 |
東頭西尾 | 동두서미 | 고기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
山東野西 | 산동야서 | 산채는 동쪽 야채는 서쪽 |
左爐右盒 | 좌로우합 | 향로는 왼쪽 향합은 오른쪽 |
左西右東 | 좌서우동 | 집사자기준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 |
生東熟西 | 생동숙서 | 생채소류는 동쪽, 익힌 채소류는 서쪽 |
左麵右餠 | 좌면우병 | 국수는 왼쪽, 떡은 오른쪽 |
茅東退西 | 모동퇴서 | 모사는 동쪽, 퇴주그릇은 서쪽 |
(3) 陳設節次(진설절차)
※ 제수를 올리는 순서이니 가문별로 약간의 차이점은 있으나 기준과 이치는 대동소이하다.
① 집사자 앞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5열로 진설한다.
1열은 실과와 조과의 과일류
2열은 포, 혜, 채소의 반찬류
3열은 육탕, 어탕, 소탕의 탕류
4열은 어전, 육전, 어적, 육적, 등 전여와 적류
5열은 잔대, 시접, 반, 갱, 편, 면류
※ 3열과 4열을 바꾸어 진설도 한다.
② 신위를 정면으로 향하여 집사자의 右편을 東으로 左편을 西로 삼는다.(神位之左 生人之右가 東向)
③ 진설에는 합설(合設)과 단설(單設)로 구분한다.
④ 음양(陰陽)의 이치를 따라 천산물(天産物)인 적, 탕은 陽인고로 양수인 1,3,5,7의 홀수로 끄고 지산물(地産物)인 과일, 채소 등은 陰인고로 음수인 2, 4, 6, 8의 짝수로 제수의 가지수를 정한다.
※ 제례종선조(祭禮從先祖) 선조때부터 내려운 예식에 따른다.
(4) 祭需 陳設圖(제수 진설도)
※ 단설과 합설, 조율시이와 홍동백서의 진설법을 예로 한다.
※ 例1 조율시이 법(棗栗柿梨 法)
左 | 父 | 母 | (東) 右 | ||
飯 羹 盞 匙楪 盞 飯 羹 麵 肉煎 肉鷄魚炙 魚煎 蜜 餠 肉湯 蔬湯 魚湯 脯 熟菜 淸醬 醢 沈菜 食醯 棗 栗 柿 梨 造菓 造菓 |
祝板 香爐 香盒 祭酒甁
退酒器 茅沙器
※ 例2 홍동백서 법(紅東白西 法)
(西) 좌 | 부 | 모 | (東) 우 | ||
반 갱 잔 시접 잔 반(밥) 갱(국) 국수 육전 육,계,어적 어전 꿀 병(떡) 육탕 소탕 어탕 대구포 좌반 나물 간장 백김치 식혜 밤 배 조과 조과 감 대추 |
※ 격몽요결은 시저를 좌측에 놓으며, 국조5예의는 따로 놓는다.
(5) 忌祭祀 順序(기제사 순서) * 祭禮 從先祖
(1) 진설(陳設)
① 집사자와 진설자가 제상에 1열과 2열 제수를 먼저 진설 한다.
② 잔대, 시접, 촛대, 향로, 향합, 축판, 모사기, 퇴주기 등을 정한 위치에 배열한다.
(2) 神位奉安(신위봉안)
제주(祭主)가 신주(神主) 또는 지방(紙榜)을 써서 신위를 모신다.
(3) 강신(降神)
제주가 향로에 향을 세 번 사르고 분향재배(焚香再拜)한다.
① 제주가 향로상 앞에서 읍하고 끓어 앉아 右집사는 술병을 左집사는 강신잔(降神盞)을 잡고 제주 양쪽에 앉는다.
② 제주가 左집사로부터 술잔을 받아 右집사로부터 술잔에 술을 가득 따라 받는다.
③ 제주는 강신잔의 술을 모사기에 세 번에 다 따르고 (三除) 左집사에게 잔을 주고 재배한다.
(4) 참신(參神)
① 모든 참사자가 남자는 재배 여자는 사배를 올린다.
② 신주를 모실 때는 강신전에 참배한다.(先參後降)
(5) 진찬(進饌)
① 모든 제주를 적(炙)만 남기고 진설한다.
※ 가문에 따라 적도 진설하기도 하나 이는 상중제사(소상, 대상)에 하는 것이다.
(6) 초헌(初獻)
① 제주가 향로상 앞에서 신위에 읍하고 신위전 잔반을 잡아 제상 앞에 동향하여 선다.
② 右집사가 술을 따라주면 제주는 신위전(고위전)에 잔을 올리고 향로 앞에 앉는다.
※ 가문별로 제주가 제상앞에 앉으면 左집사는 신위전 잔반을 제주에 주고 右집사로부터 술을 따라 받아 다시 左집사에 주면 집사가 고위전에 잔을 올리기도 한다.
③ 다음 비위 잔반을 받들어 똑같이 한다.
④ 左집사는 신위전에 올린 잔반을 받들어 제주에 주면 제주는 술을 세 번을 조금씩 모사기에 따르고 반이상 남겨 左 집사는 잔반을 신위전에 올린다.(고위, 비위순으로 한다.)
⑤ 집사는 육적을 올린다.
⑥ 정시저(正匙著)하고 메, 탕, 면 뚜껑을 연다.
※ 정시저는 시접에 수저와 젓가락을 바르게 놓는 것인데 이때 삽시(揷匙)(메에 수저를 꼽는 것)를 하기도 한다.
(7) 독축(讀祝)
① 축관이 제주 좌편에서 우향하여 앉고 모든 참사자가 꿇어앉는다.
② 축을 읽고 잠시 부복한 후 모두 일어난다.
③ 제주(초헌자)는 재배한다.
④ 집사자는 신위전 잔을 퇴주한다.
(8) 아헌(亞獻)
① 종부(종부)가 아헌을 올리는 예이나 형편대로 아헌자를 정한다.
② 초헌때와 같은 절차대로 행한다.
③ 적을 올린다.(삼적중 어적을 먼저 올리기도 하고 계적을 먼저 올리기도 한다.)
④ 아헌자는 재배한다.
⑤ 신위전 잔을 퇴주한다.(술잔의 잔을 퇴주기에 따르는것)
(9) 종헌(終獻)
① 근친자 또는 친빈자(親賓者)로 종헌자를 정한다.
② 아헌때와 같이 절차대로 행한다.
③ 적을 올린다.(계적 또는 어적)
④ 종헌자는 재배한다.
(10) 유식(侑食)
① 제주는 신위전 잔에 술을 첨작하고 수저를 메에 꽂고 젓가락을 정저한다.
② 제주는 재배한다.
(11) 합문(闔門)
① 모든 참사자가 문을 닫고 나온다.
② 문밖에서 조용히 일식구반지경(一食九飯之頃)이라 하여 四~五분가량 기다린다.
(12) 계문(啓門)
① 축관이 희흠(噫歆)기침을 세 번 고하고 모든 참석자가 입실한다.
(13) 헌다(獻茶)
① 갱(국)을 물리고 숙수를 올린 후(삼초반 三抄飯)
② 잠시 공수하고 서 있는다.(국궁소경 鞠躬少頃)
③ 下匙筯(하시저:시접에 수저와 젓가락을 거두어 놓음)하고 闔飯蓋(합반개:메, 면, 탕 뚜껑을 덮음)한다.
※ 하시저시에 메를 숙수에 세 번 떠 넣기도 하고(삼초반 三抄飯) 숙수위에 수저를 놓기도 한다.
(14)사신(辭神)
① 참사자 일동이 남자는 재배 여자는 사배를 한다.
②신주이면 사당에 봉안하고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15) 철상(撤床)
① 모든 제수를 물린다.
② 진설의 반대 순서로 한다.
(16) 음복(음복)
① 선조께서 내리신 복 받는 음식이라 하여 모두 나누어 먹고 음덕을 추모한다.
② 음복끝 까지 예이므로 제복을 벗지 않는다.
(6) 家庭儀禮準則(가정의례준칙)의 제례
(1) 제례의 구분
기제(忌祭), 절사(節祀), 연시제(年始祭)
(2) 봉사(奉祀)의 대상
① 제주로부터 二대조까지 지낸다.
② 절사(추석), 연시제(1월1일)는 직계 조상만 지낸다.
(3) 제사의 때와 장소
① 사망한 전날 음식을 차리고 밤12시 지나면 지낸다.
② 저녁에 지내려면 사망한 날 지내야 마땅하다.
※ 알기 쉬운 생활예절 권상호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