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직 근로자 근골격계질환예방 (VDT취급 근로자 건강보호) ㅁ 산업안전보건법 ㅇ 제24조 제1항 제5호에서 사업주에게 보건상의 조치로 근골격계질환 예방의무를 부과 (’03. 7. 1일 시행)하고 동조 제2항에서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사업주의 구체적인 보건상의 조치사항을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함 근골격계질환 예 방 산업안전보건법 (제24조, 제6조 및 26조)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2조~제152조) 노동부 고시 (제2000-71,72호 제2003-24호) KOSHA Code (H-05-1998 H-30-2003 H-31-2003) 근근골골격격계계질질환환예예방방관관련련법법체체계계 ㅁ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ㅇ 제9장 근골격계 부담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의 예방(제142조~제152조)을 신설하여 근골격계 부담작업에 대한 유해요인의 조사 및 그 결과에 따른 작업환경의 개선, 유해성의 주지, 의학적 관리, 예방관리프로그램의 작성/시행 및 중량물 작업 특별조치 등 사업주의 구체적인 보건상의 조치사항 규정 ㅇ 컴퓨터 단말기(VDT)조작업무에 대한 조치는 보건규칙 제257조에 명시되어 있음 ㅁ 산업안전보건법 제24조 [보건상의 조치] ① 사업주는 사업을 행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다음 각 호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5. 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 ㅁ 산업안전보건법 제6조 [근로자의 의무] 근로자는 이 법과 이 법에 의한 명령에서 정하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기준을 준수하여야 하며, 사업주 기타 관련 단체에서 실시하는 산업재해의 방지에 관한 조치를 따라야 한다. 근근골골격격계계질질환환예예방방관관련련법법규규 ㅁ 산업안전보건법 제26조 [근로자의 준수사항] 근로자는 제23조 및 제24조의 규정에 의하여 사업주가 행한 조치로서 노동부령이 정하는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ㅁ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9장 근골격계부담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의 예방은 제1절[통칙], 제2절[유해요인조사 및 개선 등], 제3절[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작업에 관한 특별조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말기 조작업무 등의 조치기준은 제257조[컴퓨터 단말기 조작업무에 대한 조치]에 명시됨. ㅁ 노동부 고시 ㅇ 제2003-24호[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위] : 컴퓨터작업, 반복작업, 부적절한 작업자세 등 근골격계 부담작업에 해당되는 11개 작업 기준 명시 ㅇ 제2000-71호[영상표시단말기(VDT)취급 근로자 작업관리지침] : 영상표시단말기 취급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업주 또는 근로자가 지켜야 하는 법 제27조의 규정에 의한 권고지침 ㅇ 제2000-72호[단순반복작업근로자 작업관리지침] : 단순반복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권고지침 전체보기 : 노동부 홈페이지(http://www.molab.go.kr) 법령정보실 전체보기 : 공단 홈페이지(http://www.kosha.or.kr) 정보마당>법령정보 ㅁ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57조 [컴퓨터 단말기 조작업무에 대한 조치] 사업주는 컴퓨터 단말기의 조작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부적절한 작업자세로 인한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과 의자 및 적정한 휴식시간을 제공해야 함. 컴컴퓨퓨터터단단말말기기조조작작업업무무에에대대한한조조치치(보(보건건규규칙칙제제225577조조)) 컴퓨터단말기 조작업무의 바람직한 책상구조 1. 책상은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 서류받침대, 기타 작업에 필요한 기구를 적절 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충분한 넓이를 갖출 것 2. 책상은 가운데 서랍이 없는 것을 사용하도록 하며, 근로자가 작업중에 다리를 편안하게 놓을 수 있도록 다리 주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할 것 3. 책상은 바닥 면에서 책상 표면까지의 높이가 65cm전후에서 작업자의 체형에 알맞도록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일 것 컴퓨터단말기 조작업무의 바람직한 의자구조 1. 의자는 안정감이 있어야 하며, 이동 회전이 자유로운 것으로 하되 미끄러지지 않는 구조의 것 2. 의자는 바닥면에서 앉는 면까지의 높이는 35~45cm의 범위 내에서 조정이 가 능한 것 3. 의자는 충분한 넓이의 등받이가 있어야 하고 작업자의 체형에 따라 요추부위부 터 어깨부위까지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어야 하며 높이 및 각도의 조절이 가능 한 것 4. 의자는 작업자의 등이 등받이에 닿을 수 있도록 의자 끝부분에서부터 등받이까 지의 깊이가 38~42cm의 범위로써 팔걸이가 있는 것 5. 의자의 앉는 면은 작업자의 엉덩이가 앞으로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과 구조로 되어야 하며 폭은 40~45cm인 것 ‘VDT증후군’ 이란? 〈표〉미국 OSHA에서 정의한 근골격계질환의 징후와 증상(2000) 주) OSHA(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ㅇ VDT 증후군이란? VDT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이라 함은 현대인의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컴퓨터, 계기판 등 각종 영상표시단말기를 취급하는 작업이나 활동으로 인하여 어깨, 목, 허리부위에서 발생되는 경견완증후군 및 기타 근골격계증상, 눈의 피로, 피부증상, 정신신경계 증상 등 영상표시단말기을 말합니다. ㅇ VDT 증후군과 관련된 근골격계질환의 명칭 - 경견완증후군(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규칙 제39조) -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미국) ▷ WMSD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 반복성 긴장장애 (캐나다, 북유럽, 호주 등) ▷ RSI (Repetitive Strain Injuries) - 누적외상성 질환 ▷ CTDs (Cumulative Trauma Disorders) - 반복동작장애 ▷ RMS (Repetitive Motion Disorders) - 과사용증후군 ▷ Overuse Syndromes 감각의 마비, 따끔거림, 통증 화끈거림, 뻣뻣함, 경련 쥐는 힘의 저하, 운동범위 축소, 기능의 손실 근육, 신경, 건, 인대, 관절 연골, 척추디스크 신체부위 근골격계질환의 징후 근골격계질환의 증상 작업자 - 고유특성 - 가구 - 의자 - 부속장치 -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개인작업공간 - 조 명 - 소 음 - 온 도 - 사무실 설계 작업환경 -작업설계 -인력배치 -작업일정 조 직 ㅇ VDT 증후군의 유해위험요인 - 작업조건 : 휴식시간, 작업부하 등 - 작업자세 : 머리와 목의 각도, 상완 외전 및 들어올림, 손목의 구부러짐과 신전, 정적인 작업자세, 혈관과 신경조직의 압박 등 - 작업환경 : 조명, 소음, 온·습도, 환기 등 [손목받침대] [키보드 받침대] [높낮이 조절 의자] [팔 받침대] ㅇ VDT 증후군 예방을 위한 보조도구 ㅇ 거북목 증후군이란? - 과다하고 잘못된 VDT 작업으로 인하여 목이 거북이 목처럼 앞으로 구부러진 자세로 변형되는 증상 ㅇ 증 상 ☞ 평소 어깨가 뻐근하고 통증을 느낀다 ☞ 목과 어깨 부위가 딱딱하다 ☞ 머리가 울리거나 눈이 피로하다 ☞ 뒷부분의 근육과 인대가 늘어난다 ☞ 허리가 아프거나 등에 통증이 있다 ☞ 허리를 뒤로 젖히기 힘들다 ☞ 평소 피로를 자주 느끼고 ☞ 전체적으로 몸이 무겁다 ㅇ 진 단 ☞ 평소 어깨가 뻐근하고 통증을 느낀다 ☞ 목과 어깨 부위가 딱딱하다 ☞ 머리가 울리거나 눈이 피로하다 ☞ 잘못된 작업자세 ☞ 모니터와의 거리가 너무 멀다 ☞ 책상에 모니터와 키보드를 같이 올려놓고 사용한다 ☞ 오랫동안 컴퓨터 작업을 한다 ☞ 바른자세에서 귀 가운데를 수직 선을 긋고 어깨 중간에서 수직선을 그어 그 선이 어깨 앞쪽으로 2.5cm 정도면 거북목 증후군이 진행중이 고 5cm 이상이면 이미 거북목으로 변한 상태라고 볼 수 있음. [작업자의 시선범위] [팔꿈치내각 및 키보드높이] [손목받침대] [서류받침대] ㅇ VDT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작업관리(1) [발 받침대] [무릎 내각] [빛의 반사] ① 의자 등받이 각도 : 자료입력시 90~105°, 기타 100~120° ② 팔꿈치 높이 : 의자높이를 조정하여 자판기의 높이와 같도록 ③ 팔의 각도 : 윗팔과 아래팔이 이루는 각도는 90°이상 ④ 윗팔상태 : ③의 상태에서 윗팔을 옆구리에 자연스럽게 붙인 상태 ⑤ 손목상태 : ④의 상태에서 아래팔과 손목과 손등은 수평 ⑥ 시거리 : 눈과 화면의 중심사이의 거리가 40cm(약 두뼘)이상 ⑦ 화면의 경사각 : 눈이 화면의 중심을 직각으로 볼 수 있도록 조정 ⑧ 의자에 앉은 상태 : 의자 앉는 면과 작업자의 종아리 사이에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틈새 확보 ㅇ VDT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작업관리(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