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활주설♥
-Actin 섬유가 Myosin 섬유 사이로 미끄러져 들어가 근육수축이 이루어짐
-근세사의 길이가 변하지 않고 근 수축이 일어 남
♥근원 섬유의 구조♥
- I대(명대): Actin만으로 구성된 부분
- A대(암대): Myosin이 배열된 부분
- H대: Myosin과 Actin으로 구성된 부분
- Z막: I대의 중앙 경계선

근세포의 구조
근육은 근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더 작은 기능적 단위인 근원섬유(myofibrils)속에 actin과 myosin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된 더 작은 단위인 근세사(myofilament)로 구성되어 있다.
근 수축은 myosin이 actin을 잡아 당김으로서 근육이 수축한다.
수축시 근절의 길이는 변화하지만 근세사의 길이는 변화하지 않는다.
♥근수축과정♥
- 운동 신경이 말단에서 아세틸콜린 분비
- 근섬유막이 탈분극되어 활동전류 발생
- 근소포체에 있던 Ca+가 방출
- actin 섬유와 Myosin 섬유 밀착 : Actin-Myosin 형성
- Myosin에 있던 ATPase가 활성화, ATP를 분해시킴으로써 에너지 생성
- Myosin 섬유가 Actin 섬유를 끌어당겨 근절 짧아짐
- 근육 수축
♥근활주의 과정 ♥
-안정 → 자극, 결합 → 수축 → 재충전 → 이완
♥안정 단계♥
-장전되지 않은 ATP 십자형교가 확장한다
Myosin 필라멘트와 Actin 필라멘트가 결합하지
칼슘이 근형질세망에 저장된다
♥자극-결합 단계♥
- 신경자극이 발생하면 근형질 세망에서 칼슘이 방출되어 Actin 필라멘트 위의 트로포닌을 포화
- 트로포마이신의 위치를 변화시켜 결합부위 열리고 Actin과 Myosin이 결합, actomyosin 형성
♥수축 단계♥
- actomyosin은 Myosin ATP효소를 활성화 시켜 ATP를 ADP+Pi로 분해
ATP와 ATPasde의 작용으로 ADP+PI로 분해되면서 에너지가 발생한다.
에너지가 십자형교를 회전하게 한다.
actin이 myosin으로 미끌어져 들어가고 근육이 짧아지며 힘이 발생한다.
근수축시 actin과 myosin의 길이는 변화하지 않지만 근절의 길이는 짧아진다
재충전
ATP가 재합성 된다.
actomyosin이 actin과 myosin으로 다시 분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