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빌2;5
'케노시스'는 비움을 뜻합니다. 하나님과 동등한 자신을 스스로 비우고 인류를 위한 제물이 되신 어린 양 예수 그리스도의 마음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사도 바울은 "이 마음을 품으라"고 하며 자신도 전제로 부어지기를 원합니다. 다 드리고도 더 부어드리고 싶은 마음일까. 공주야! 존 번역의 "천로 역정"이란 책을 아니? 천로 역정은 평신도였던 번연이 베드포드 감옥에 수감되어 12년 동안 쓴 옥중 서신이다. 아빠는 개인적으로 어떻게 이런 책이 불후의 명작으로 오랜 세월 자리매김을 하였는지 의문이다.
Kenosys means emptiness. It expresses the heart of Jesus Christ, the lamb who emptied himself, who is equal to God, and became an sacrifice for mankind. Paul the Apostle says, "Hold this heart," and wants to be poured into the premise of himself. Do you want to give it all and pour it more? Princess! Do you know the book "The Rebellion of Heaven" by John? The Rebellion of Heaven is a prison letter written by a layman who was imprisoned in Bedford Prison for 12 years. Personally, it is questionable how such a book has become an immortal masterpiece.
-
그럼에도 불구하고 350여년 동안의 평가는 '천로역정'(1678)이 그리스도인의 ‘성화의 과정’에 대해서 잘 교훈하고 있다고 보는 것 같구나. 빌립보 교회는 로마 제국을 앞세워 교회를 공격하는 유대주의자들과 부딪히고 있었다. 유대주의자들은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와 주"로 고백하는 것에 극렬히 반대하여 교회를 핍박하였다(행17;1-5). 이것은 로마 황제에게 붙이는 주와 신의 아들로 숭상하는 것과 배치된다고 여겼기 때문이란다. 이에 바울은 우회하지 않고 복음으로 해법을 제시한다.
Nevertheless, the 350 year evaluation seems to believe that the 'Chunro Rebellion' (1678) teaches well about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of Christians. The Philippine Church was confronted by Jews attacking the church with the Roman Empire. The Jews fiercely opposed the confession of Jesus as "Christ and the Lord, the Son of God" and persecuted the church (Acts 17;1-5). This is because he thought it was contrary to the worship of the Lord and the Son of God attached to the Roman Emperor. Accordingly, Paul does not detour and presents a solution through the gospel.
-
특별히 복음의 중심인 예수 그리스도와 그 분의 삶 자체가 해답이다. 교만한 아담과 달리(창3:6), 예수님은 하나님과 동등 됨의 권리를 버리고 종의 형체를 입고 사람이 되셨다. 인류구원을 위하여 십자가를 지신 것을 낮추신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이것이 복음의 내용이다. 복음은 그리스도를 통해서 우리가 구원받는 것뿐 아니라 우리를 주님 같은 사람으로 새 창조 해주신다는 약속이란다. 그러니 그리스도를 본받는 것이 대안이다. 대부분의 갈등과 반목은 나를 비우지 못해 생겨난다.
In particular, Jesus Christ, the center of the gospel, and his life itself are the answers. Unlike the arrogant Adam (Genesis 3:6), Jesus abandoned his right to be equal to God and became a man in the form of a servant. You can understand that you have lowered the cross for the salvation of mankind. This is the content of the gospel. The gospel is the promise that we are not only saved through Christ, but also that he will create us as people like the Lord. So the alternative is to imitate Christ. Most conflicts and antagonisms arise because they cannot empty me.
-
내가 더 갖기 위해 타인이 들어설 공간을 차단하고 서로 더 많이 갖겠다고 도토리 일곱 개를 가지고 싸우는 것이 아니겠냐? 그래서 바울은 "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면서 비움의 모범 이신 주님을 sample로 제시하고 있다. 비운 것도 부족하여 자신을 낮추신 울 주님을 "이러므로 하나님이 그를 지극히 높여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사(9) 하늘에 있는 자들과 땅에 있는 자들과 땅 아래 있는 자들로 모든 무릎을 예수의 이름에 꿇게 하시고(10),
Isn't it that I am fighting with seven acorns to block the space for others to have more and to have more of each other? So Paul presents the Lord, the model of emptiness, as a sample, saying, "Hold this heart in you." The Lord, who has lowered himself due to lack of emptiness, said, "This is why God has raised him to the extreme and made him kneel in the name of Jesus with all his names, those in heaven, those in the earth, and those under the earth (10),
-
모든 입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셨느니라(11)" 내 말로 바꾸면 더 비울 것이 없고 더 버릴 것이 없고 더 낮아질 곳이 없을 만큼 철저히 순종하신 독생자 예수님을 더 올라갈 곳이 없을 만큼 높은 곳에 이르게 하셨다. 존재하는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사 그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는 통치권을 주신 것이다. 공주야! 신앙은 여정이고 구원은 과정이다. 그러니 어제의 신앙이 오늘의 구원을 보장하지 못하고, 과거의 큰 은혜가 내일도 반드시 따 놓은 당상이 아니다.
He admitted to give Jesus Christ with every mouth and gave glory to the Father of God (11)" In other words, Jesus, a poisonous creature, who was thoroughly obedient enough to have nothing to empty, nothing to throw away, and nothing to lower, has reached such a high place that there is nowhere to climb. He gave him the right to rule all things by injecting outstanding names on top of all that existed. Princess! Faith is a journey and salvation is a process. So yesterday's faith does not guarantee today's salvation, and the great grace of the pas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omorrow is the party.
-
매일 매일이 경주고, 전투고, 씨름이란다. 해서, 피차 두렵고 떨림으로 각자의 구원을 이룰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나의 사랑하는 자들아 너희가 나 있을 때 뿐 아니라 더욱 지금 나 없을 때에도 항상 복종하여 두렵고 떨림으로 너희 구원을 이루라(12)" 누가 아무나에게 이런 말을 하겠냐? 말이란 듣는 사람의 수준을 보고 하게 되어 있다. 빌립보 교회 성도들은 바울과 생활할 때 말씀에 잘 순종하는 신실한 자들이었다. 그래서 바울은 그 모습을 간직하고 지키라는 말을 한다.
Every day is a day of worship, fighting, and wrestling. Therefore, we have no choice but to achieve our salvation by being afraid and trembling. "So my loved ones, always obey not only when you are me, but also when you are not now, and achieve your salvation by being afraid and trembling (12)." Who would say this to anyone? The word is supposed to be based on the level of the listener. The members of the Philippine Church were faithful people who obeyed the word well when they lived with Paul. So Paul says to keep and keep the image.
-
그 근거는 "너희 안에서 행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자기의 기쁘신 뜻을 위하여 너희로 소원을 두고 행하게 하시기" 때문이란다. 주님께서 먼저 시작하신 일이니 그 구원을 다 이루시는 그날까지 도와주실 것이고, 구원의 여정이 기쁨이 되게 하실 것이야. 성도인 우리로 하여 구원의 완성을 열망하게 하실 것이고 ‘내 열심‘ 아닌 ‘주의 열심’으로 모든 일을 "원망과 시비가 없이" 바르게 행하게 될 때 우리는 "흠이 없고 순전하여 어그러지고 거슬리는 세대 가운데서 하나님의 흠 없는 자녀로 세상 에서 그들 가운데 빛들로 나타날(14)" 것이다.
The reason is that "He who does in you is God, so he makes you do it with a wish for his pleasure." The Lord has started first, so he will help you until the day you complete your salvation, and he will make the journey of salvation a joy. When we, who are saints, will make us aspire to the completion of salvation, and if we do everything right with our "careful" instead of "my zeal," we will "appear as God's flawless children in the world (14), in a generation that is flawless, pure, broken, and intrusive.
-
그 모습을 보는 지도자는 얼마나 기쁘겠니? 그래서 사도는 "생명의 말씀을 밝혀 나의 달음질도 헛되지 아니하고 수고도 헛되지
아니함으로 그리스도의 날에 나로 자랑할 것이 있게 하려 함이라(16)"고 고백하는 것이다. 바울은 성도가 바르게 살도록 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건 사람이다. "만일 너희 믿음의 제물과 봉사 위에 내가 나를 관제로 드릴지라도 나는 기뻐하고 너희 무리와 함께 기뻐하리니(17) 이와 같이 너희도 기뻐하고 나와 함께 기뻐하라(18)" 아, 나는 어떤가? 두렵고 떨림으로 구원의 여정을 걸어가고 있는가? 분열을 극복하고 하나 됨을 위해 가져야 할 마음가짐은 무엇인가?
How happy would a leader be to see it? That is why the apostle confesses, "To make the word of life clear, so that I have something to brag about on Christ's Day, so that my sweetness is not in vain, and my labor is not in vain (16). Paul is a man who risked his life to make the Saints live properly. "Even though I will be in control of the sacrifice and service of your faith, I will be glad and glad with your flock (17)," Oh, how about me? Are you walking on the journey of salvation with fear and tremors? What is the mindset you should have to overcome division and become one?
-
이것을 생각하라(5)
생각할 예수님의 모습(6-8)
a.하나님과 동등하지만 취하지 아니하셨다;6
b.자신을 비우셨다;7
c.자신을 낮추셨다:8
생각할 예수님의 모습 2 (9-11)
a.이러므로 하나님께서 그를 지극히 높이셨다:9
b.예수에게 무릎 꿇고 주라고 고백하도록 하셨다;10-11
복음에 합당한 생활(12-16)
a.1차 권면, 자금도 복종하여 구원을 이루라:12-13
b.2차 권면, 원망과 시비가 없이 잘 행하라:14-16
바울의 기쁨과 교회의 기쁨(17-18)
a.바울의 마음가짐과 기쁨:17
b.너희의 기쁨:18
-
너희 안에(5a)
이 마음을 품으라(5b)
곧 그리스도(5c)
예수의 마음이니(5d)
-
그는(6a)
근본(6b)
하나님의 본체시나(6c)
하나님과(6d)
동등 됨을(6e)
취할 것으로(6f)
여기지 아니하시고(6g)
-
오히려 자기를 비워(7a)
종의 형체를 가져(7b)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7c)
-
사람의 모양으로(8a)
나타나셨으매(8b)
자기를 낮추시고(8c)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8d)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8e)
-
이러므로(9a)
하나님이(9b)
그를 지극히 높여(9c)
모든 이름 위에(9d)
뛰어난 이름을 주사(9e)
-
하늘에 있는 자들과(10a)
땅에 있는 자들과(10b)
땅 아래 있는 자들로(10c)
모든 무릎을(10d)
예수의 이름에(10e)
꿇게 하시고(10f)
-
모든 입으로(11a)
예수 그리스도를(11b)
주라 시인하여(11c)
하나님 아버지께(11d)
영광을 돌리게 하셨느니라(11e)
-
그러므로(12a)
나의 사랑하는 자들아(12b)
너희가 나 있을 때 뿐 아니라(12c)
더욱 지금 나 없을 때에도(12d)
항상 복종하여(12e)
두렵고 떨림으로(12f)
너희 구원을 이루라(12g)
-
너희 안에서(13a)
행하시는 이는(13b)
하나님이시니(13c)
자기의(13d)
기쁘신 뜻을 위하여(13e)
너희로 소원을 두고(13f)
행하게 하시나니(13g)
-
모든 일(14a)
을 원망과(14b)
시비가 없이 하라(14c)
-
이는 너희가(15a)
흠이 없고 순전하여(15b)
어그러지고 거스리는(15c)
세대 가운데서(15d)
하나님의 흠 없는 자녀로(15e)
세상에서 그들 가운데(15f)
빛들로 나타내며(15g)
-
생명의 말씀을 밝혀(16a)
나의 달음질도(16b)
헛되지 아니하고(16c)
수고도 헛되지 아니함으로(16d)
그리스도의 날에(16e)
나로 자랑할 것이(16f)
있게 하려 함이라(16g)
-
만일 너희 믿음의 제물과(17a)
봉사 위에(17b)
내가 나를(17c)
관제로 드릴 찌라도(17d)
나는 기뻐하고(17e)
너희 무리와 함께 기뻐하리니(17f)
이와 같이 너희도(17g)
-
기뻐하고(18a)
나와 함께(18b)
기뻐하라(18c)
-
예수의 마음을 품으라_Embrace the heart of Jesus._
두려움으로 구원을 이루라_Make salvation by fear._
원망과 시비가 없게 하라_Let there be no resentment and no quarrel._
-
진리를 외면하고 거역하는 이 세대만 비판했지 제 삶을 통해서 진리로 돌아오게 하는 빛으로서 삶을 살지 못한 것을 회개 합니다. 그리스도의 마음을 품을 때 구원을 이루는 한마음 공동체가 되는 것을 믿고 성도로서 책망 받을 것이 없는 거룩한 삶을 살게 하옵소서. 하나님이 인정 하실 때 까지 겸손으로 허리를 동이고 그리스도의 주 되심이 저와 세상 가운데 드러날 수 있게 하옵소서.
I only criticized this generation who turned a blind eye to and defied the truth, but I repent that I have not lived a life as a light that brings me back to the truth through my life. Believe in becoming a community of one heart that achieves salvation when you embrace Christ's heart, and let him live a holy life that is free from blame as a saint. Let him bend his waist with humility until God recognizes it and let the Lord of Christ be revealed in me and in the world.
2025.5.26.mon.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