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자료는 월 일 ( )부터 취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제 목 : 자산유동화증권(ABS)의 발행현황('99년)
주요내용
□ 발행개황
ㅇ 98년말 자산유동화제도(ABS제도)가 도입된 이후 사실상 시행초기인 99년도에 총 6조7,709억원(20개사 32건)의 ABS증권이 발행됨
- 이중 공모로 발행된 ABS규모는 4조4,447억원으로 99년중 일반회사채 발행총액(26조2,667억원) 대비 16.9%에 해당할 정도로 급성장함
< ABS증권 발행의 활성화 요인 > - IMF이후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정리 및 자기자본비율 충실화, 기업의 부채비율 감축등 재무구조개선, 부동산시장의 침체등으로 보유자산의 유동화 필요성 증대
- IMF이후 회사채 발행이 어려워지고 대규모 중장기차입 곤란등으로 새로운 금융기법에 의한 자금조달수단의 필요
□ 주요특징
ㅇ ABS발행의 기초가 되는 유동화자산은 자동차할부채권, 리스채권, 화의․정리채권등의 債權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부동산․유가증권 등 그 대상자산이 다양함
- 채권(債權) : 5조6,892억(84.0%) - 부동산 : 5,500억( 8.1%) - 유가증권(주식․채권) : 5,317억( 7.9%)
|
자료생산처 : 금융감독원 기업공시국 특수공시팀 (전화 3786-8443~7)
금융감독원 공보실 : 전화 3771 - 5788~5791
※ 금융감독위원회/금융감독원 보도자료는 인터넷(http://www.fsc.go.kr)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ㅇ 발행증권 종류별로는 채권형태(ABS사채)가 5조9,651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88.1%)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출자증권, 수익증권 순으로 나타남
ㅇ 발행주체별로는 한국자산관리공사등 정부투자기관의 발행물량이 12건 33,891억(50.1%)으로 가장 많았으나, 발행건수로는 금융기관이 19건 31,540억(46.6%)으로 가장 많음
ㅇ 공모로 발행된 ABS증권의 신용평가등급은 대부분 우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후순위채 발행, 은행신용공여(credit line 설정) 등 적절한 신용보강을 하여 발행한 결과로 풀이됨
* 신용평가등급 AA이상 발행채권비중 : 89%
ㅇ 공모 ABS증권의 만기구조는 3년만기가 발행금액대비 33%로 가장 많지만, 1년부터 7년까지 그 만기구조가 다양함
□ ABS증권 발행의 효과
ㅇ 금융기관의 부실채권(債權) 등의 매각으로 재무구조 개선 및 자산건전성 제고
ㅇ 한국자산관리공사등이 금융기관으로부터 인수한 부실채권의 조기 현금화로 금융기관의 구조조정 지원을 확대
ㅇ 유동성이 낮은 자산을 유동화함으로써 자금회전율을 높혀 경영의 효율성을 제고
ㅇ 신용등급이 우량하고 다양한 형태의 ABS증권의 공급으로 채권시장의 활성화에 기여
□ 금년도 발행전망
ㅇ 발행수요증가등으로 발행규모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금년중 기발행총액(2000. 2. 8현재) : 총 10건 6조2,572억 - 총 발행금액누계(’99~2000. 2. 8현재) : 총 42건 13조 281억
(참고자료) 자산유동화증권(ABS)의 발행현황
|
(참고자료)
자산유동화증권(ABS)의 발행현황
Ⅰ. ’99년도 발행현황
1. 발행개황 : 국내 ABS시장 급성장
□ 99년부터 새로 도입된 ABS 발행총액은 99년말 현재 총 6조7,709억(20개사, 32건)에 달하였으며 이중 65.6%에 해당하는 4조4,447억이 공모로 발행
ㅇ 발행증권 종류별로는 채권형태가 5조9,651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88.1%)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출자증권, 수익증권 순으로 나타남
[ABS증권 종류별․발행방식별 발행현황]
(단위 : 억원)
구 분 (발행회사) | 선순위증권 | 후순위증권 | 계 | ||||||
공 모 | 사 모 | 소 계 | 공 모 | 사 모 | 소 계 | 공 모 | 사 모 | 계(비율) | |
채 권 (26건) | 42,790 | 6,446 | 49,236 | 1,657 | 8,758 | 10,415 | 44,447 | 15,204 | 59,651 (88.1%) |
출자증권 (4건) | - | 6,012 | 6,012 | - | 604 | 604 | - | 6,616 | 6,616 (9.8%) |
수익증권 (2건) | - | 1,100 | 1,100 | - | 342 | 342 | - | 1,442 | 1,442 (2.1%) |
계 (32건) | 42,790 | 13,558 | 56,348 | 1,657 | 9,704 | 11,361 | 44,447 | 23,262 | 67,709 (100%) |
□ 유동화자산별로는 화의․정리채권, 분양대금채권, 자동차할부채권등 채권(債權)을 기초로 한 발행이 5조6,892억원(84.0%)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부동산(8.1%), 기발행 유가증권(7.9%)순임
(단위 : 억원)
유동화자산 | 금액(비율) |
채권(債權) | 56,892 (84.0%) |
부동산(토지) | 5,500 (8.1%) |
유가증권(기발행채권 및 주식) | 5,317 (7.9%) |
총 계 | 67,709 (100%) |
□ 발행기관 성격별로는 한국자산관리공사(구 성업공사)등 정부투자기관 발행이 전체의 50.1%에 해당하는 3조3,891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금융기관(46.6%), 일반기업(3.3%) 순으로 나타났음
발행주체 (건수) | 금 액(비율) |
금융기관 (19건) | 31,540 (46.6%) |
정부투자기관 (12건) | 33,891 (50.1%) |
일반기업 (1건) | 2,278 (3.3%) |
총 계 (32건) | 67,709 (100%) |
(단위: 억원)
2. ABS발행의 주요 특징
□ ABS시장의 급속한 성장
ㅇ ’99년말 현재 사모를 제외한 공모기준 ABS 발행총액은 4조4,447억원으로 제도 도입 1년만에 일반회사채 발행총액(26조2,667억원)의 16.9%에 해당할 정도로 급격히 성장
(단위 : 억원)
일반회사채*(A) | ABS증권(B) | 비율(B/A) |
262,667 | 44,447 | 16.9% |
* 국내에서 공모로 발행된 99. 12월말 현재 기준임
□ 주로 유동화전문회사(SPC)를 이용하여 발행
ㅇ 유동화전문회사를 설립하는 방식(SPC방식)을 이용한 발행이 30건에 6조 6,267억원으로 전체의 97.9%를 차지
□ 유동화자산의 종류 다양화
ㅇ 초기에는 자동차할부채권등(17.4%)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화의․정리채권(24.0%), 분양대금채권(18.2%), 대출채권(24.4%), 보유부동산(8.1%), 기발행유가증권(7.9%)등 다양한 형태로 확대됨
(단위 : 억원)
유동화자산 | 금액(비율) |
자동차할부채권․리스채권 | 11,790 (17.4%) |
화의․정리채권 | 16,284 (24.0%) |
분양대금채권 | 12,323 (18.2%) |
대출채권(부동산담보 포함) | 16,495 (24.4%) |
보유부동산 | 5,500 (8.1%) |
기발행유가증권 | 5,317 (7.9%) |
총 계 | 67,709 (100%) |
□ 자산보유자(ABS발행 가능법인)의 다양화
ㅇ 초기에는 주로 한국자산관리공사(8건), 캐피탈(7건)등이 발행을 주도하였으나 점차 은행(5건), 증권(1건), 금고(3건)등 금융기관 및 일반기업(1건)으로까지 확대
(단위 : 억원)
발행주체(건수) | 금 액 |
은행(5건) | 7,122 |
증권(1건) | 2,100 |
보험(1건) | 3,217 |
캐피탈(7건) | 14,093 |
종금(1건) | 2,460 |
금고(3건) | 1,317 |
한국자산관리공사(8건) | 18,296 |
한국토지공사(3건) | 11,177 |
대한주택공사(1건) | 4,418 |
일반기업 (1건) | 2,278 |
총 계(32건) | 67,709 |
□ 높은 신용평가등급 획득 및 만기구조 다양화
ㅇ 공모로 발행된 ABS증권중 신용등급 AA이상 등급을 받은 우량한 ABS증권이 89%를 차지
⇒ 유동화자산 및 만기구조 다양화와 후순위채 발행등 신용보강에 기인
ㅇ 만기별로는 3년만기 ABS가 전체의 33%로 가장 비중이 높으며,
만기 1년(24%)부터 7년(5%)까지 다양화
(단위: 억원)
구 분 | 1년 | 2년 | 3년 | 5년 | 7년 | 계 (비율) |
AAA | 5,200 | 2,700 | 3,720 | 2,900 | 550 | 15,070 (34%) |
AA | 4,800 | 3,950 | 8,530 | 5,450 | 1,850 | 24,580 (55%) |
A | 690 | 1,520 | 690 | - | - | 2,900 (7%) |
BBB | - | - | - | - | - | - (0%) |
BB이하 | - | 240 | 1,657 | - | - | 1,897 (4%) |
총 계 (비율) | 10,690 (24%) | 8,410 (19%) | 14,597 (33%) | 8,350 (19%) | 2,400 (5%) | 44,447 (100%) |
3. ABS시장의 급성장 요인 및 기대효과
가. 활성화 요인
□ 보유자산의 유동화 필요성 증대
ㅇ IMF이후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정리 및 자기자본비율 충실화, 기업의 부채비율 감축등 재무구조개선, 부동산시장의 침체등 급격한 국내 금융환경의 변화로 보유자산의 유동화 필요성 증대
□ 새로운 중장기 자금조달수단 필요
ㅇ IMF이후 일반회사채 발행시장이 위축된데다 금융기관의 구조개혁등으로 기존 금융시장으로부터의 대규모 중장기차입이 곤란해짐에 따라 새로운 금융기법에 의한 중장기 자금조달수단 필요
나. 효과 : 새로운 자금조달수단으로 정착
□ 금융기관등의 재무구조 개선 및 자산건전성 제고
ㅇ 금융기관등이 위험자산을 매각함으로써 자기자본비율개선 및 자산건전성을 제고
□ 부실채권의 조기 현금화 및 금융기관 구조조정 지원
ㅇ 한국자산관리공사가 금융기관으로부터 인수한 다량의 부실채권과 담보부동산 등의 자산을 조기에 현금화하여 금융기관등의 구조조정 지원을 확대
□ 자산보유자의 유동성 제고
ㅇ 유동성이 매우 낮은 자산을 보유한 자산보유자들이 ABS증권 발행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고 자산의 회전율을 제고
□ 우량채권 공급으로 채권시장 활성화에 기여
ㅇ IMF이후 일반회사채 발행이 위축된 상황하에서 신용등급이 우량하고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ABS증권의 대량 공급은 침체된 채권시장의 활성화에 기여
Ⅱ 금년도 발행전망
□ 발행수요증가등으로 발행규모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ㅇ 발행확대 요인
․신탁자산등을 기초로 한 CBO발행, 주택저당채권을 기초로 한 MBS발행, 중소기업 발행 채권을 기초로 한 ABS발행등 새로운 형태의 유동화증권의 발행
※ 한국주택저당채권유동화(주)가 국민주택기금의 주택저당채권을 유동화하여 1차로 3월중 5천억원 규모의 MBS발행을 추진중임
․지방자치단체․예금보험공사등의 신규참여
․금융기관 및 일반기업의 참여확대등
ㅇ 금년중 기발행규모(2000. 2. 8현재) : 총 10건 6조2,572억원
․3개 투신사 CBO : 5조 3,698억원
․한국자산관리공사(2건) : 3,449억원
․대한주택공사 : 2,100억원
․중소기업진흥공단 : 720억원
․한빛은행등 금융기관 3사 : 2,605억원
※ 총 발행금액누계(’99~2000. 2. 8현재) : 총 42건 13조281억 |
(참 고) 자산유동화에관한법률(ABS법)에 따른 자산유동화제도
③자산양도의 등록
⑥사후 감독(자료제출요구, 업무․재산 조사권,
①유동화계획의 등록 업무개선명령권등 조치권)
(사채, 수익증권, 출자증권 등)
②자산의 양도 ④유동화증권발행
⑤대금지급 ⑤대금지급
사전준비 및 협의
(유동화자산 pool 구성, 자산관리계약 업무위탁계약
Tranche구조, 신용평가 등)
외부평가기관(자산실사등) ․유동화자산의 ․유동화전문회사의 업무중 유동화자산의 관리․
-회계법인,증권회사,신용평가회사 관리․운용 및 운용․처분이외의 업무
․외부신용공여기관(은행 등) 처분업무 등 -채권서류등의 관리 및 장부작성․보고
․법률자문(법무법인 등) -채권의 추심 -여유자금의 운용 등
-채무자현황파악 -유동화증권의 발행 및 원리금 상환업무
-자산의분별관리 -유동화계획 수행에 필요한 계약체결관련 업무
...................................................................................................................................................................................
배우고 또 배우자
일어서는 그날까정
|
천기노인입니다
주식인생 23년동안 급등주매매의 각 구간별로 공식화 하여서 나름 만들어봤습니다
급등주17비칙
급등주17비칙은 기본적매매,기술적매매페턴매매,17비칙매매로 나뉘며
재무제표분석,미국월가의 가치투자비법, 조건식검색으로 인한 낙주매매
작전주잡아내기 기법 등등으로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금관리 기법입니다
그리고 마인드입니다. 이것을 세우가 나야 기술적 매매기준 기법을 세우고 자기만의 원칙을 세우시고 매매하여야만 합니다.
수 많은 주식투자자를 만나명서 참 안타까운것이 저 또한 과거에도 저지른 투자의
오류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원칙무시입니다.
급등주17비칙 중의 지지와 저항의 개념 즉 하한가매매에서 가장 중시하는 것은
하한가 손절매이며 급등주2비칙에서는 20일선을 손절가 잡아야 하고
급등주4비칙에서는 09시7분에 저점을 지지 못한다면 바로 매도하여야 하며
신규주비칙에서는 시가결정 이후 09시3분안에 터닝 못하면 바로 매도 하여야
연속 상한가를 잡을 수 가 있고 등등을 아시어야 합니다.
특히 급등주17비칙 중의 급등주 잡아내기 기법에서와 같이
최근 5년간 단 한번도 등록 이후 급등을 한 이력이 없는 기업과
제3자재정, cb,BW등 자본발행 등의 주식장사를 하지 아니하는 기업
꾸준히 매출액이 상승하며 시장독과점적 구조의 영업을 보이고 있는 기업
에서 챠트 공시 분석을 통하여서 매매방향을 잡아야 합니다.
23년간의 주식인생에서 한때 세력으로 활동한 이력 그리고 수많은 깡통의 경험 등에서
수학공식처럼 정형화 된 페턴의 급등주 공식을 tool화 하여서 만들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아무리 훌륭한 증권책이 왜 시중에 나오면 도움이 아니되는가?
이러한 의문점에서 출발 --
세력의 변칙 등을 정형화 기법도 다양화 하여서 매일 매일 엎데이트화한
화일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이에 만든 것이 바로 천기노인의 급등주17비칙입니다
주식시장에 살아남는 통계학적 기법 등을 정형화 하여서 한글화일 1200페이지 정도 분량과
VOD화일을 만들어 나누어 드렸습니다.
조건검색식으로 시장낙주매매로 데이트레이딩을..
갈매기구간공식으로 중기주 선정으로
연속 상한가의 첫 하한가 진입공식인급등주4비칙을
변곡점장세에서 잘 통하는 60선기법
그리고 신규주비칙. 명운순리비칙,그네타점,꽈베기패턴
등등 수학공식처럼 정형화된 tool을 만들어서 그때 증시상황 등에 맟추어서 비칙 변칙 등을
엎데이트하고 있습니다.
주식투자 알고 매매 하여야 합니다
기법은 70%
심법은 20%
운법은 10% 의 구조로 초보에게는 기법과 원칙준수가 가장 중요하며
중수에게는 마인드컨트롤과 자금관리입니다
고수에게는 심리조절 즉 심법과 운법으로 꾸준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세력에게 더 이상 이용 안 당하는 개인투자가가 되었으면 합니다
그러한 분들에게 "급등주17비칙" 이 아주 적은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하는
작은 바램을 적어봅니다. 감사합니다
다음검색창에서 천기노인을 치시고 들어오시면 무료로 핸드폰문자를 발송하고 있습니다
일부 카페처럼 먹튀추천이나 또는 수익난것만 가지고 과대광고함은 절대 없고 양심적으로
리딩함을 알려드립니다
문자등록신청하여주시면 무료로 문자를 장중 급등락주 핵심구간에 정보를 발송합니다
DAUM 검색창에 천기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