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이야기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말에 얽힌 이야기입니다.
조선 말기에 박상길이라는 나이 지긋한 백정이 장터에 푸줏간을 냈습니다.
어느 날 인근에 사는 양반 두 사람이 고기를 사러 왔습니다.
그 중 한 사람이 먼저 고기를 주문했습니다.
“얘, 상길아, 쇠고기 한 근 다오.”
박상길은 솜씨 좋게 칼로 고기를 베어 주었습니다.
함께 온 다른 양반은 상대가 비록 천한 신분이긴 하지만,
나이 든 사람에게 말을 함부로 하기가 거북하였습니다.
그래서,
“박 서방, 나도 쇠고기 한 근 주시게.”
하였습니다. 박상길이 선뜻 고기를 잘라 주는데,
먼저 산 양반이 보니 자기가 받은 것보다 갑절은 많아 보였습니다.
“이놈아, 똑같이 한 근씩 샀는데 어째서 이 사람 것은 많고 내 것은 적으냐?”
“손님 고기는 상길이가 자른 것이고, 이 어른 고기는 박 서방이 자른 것입니다.”
우리는 언어를 통하여 남과의 관계를 맺으며 살아갑니다.
말은 무엇인가를 만들어 내는 힘이 있습니다.
따라서 순화된 말을 사용하여야 하며 상대방에게 격려와 힘이 되는
말을 하여야 합니다.
불교에서는 업을 이숙업이라고 합니다.
같은 행위일지라도 결과가 달리 나타난다고 한 것입니다.
한 마디 말로 천 냥 빚을 갚는가 하면,
다른 사람의 마음에 큰 상처를 줄 수도 있습니다.
우리 불자님들은 신구의 삼업을 잘 다스려 업에서 자유로와야 할 것입니다.
첫댓글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