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율 브리너, Taidje Khan
생일: 1915. 7. 11
사망 : 1985. 10,10
출생 : 러시아 연방 블라디보스토크


깨끗이 면도된 대머리와 이국적인 용모로 유명한 대배우.
아버지 쥴리어스 이바노비치 브리너는 대한제국 말기에 당시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대규모의 수출입상사를 하고 있다가, 한국의 약 2백만에이커의 광활한 목재벌채권을 얻어낸 사람이라고 한다. 스위스 성인 브리너는 몽고인계의 피가 섞인 사람으로 러시아에 귀화해 살았던 것이다. 그후 거부를 상속받은 브리너의 아버지는 집시 여인과 결혼하였으니 율 브리너는 유럽인의 피, 몽고인의 피, 집시의 피가 혼혈, 그야말로 개성있는 용모는 당연할 수 밖에 없다.
일제때 만주 하얼삔에서 살았던 율 브리너 일가는 2차대전 후 블라디보스토크인근에서 반년동안 억류 생활을 했다. 호주방송협회의 선전부에서 일하고 있는 누이 캐더린 브리너의 회고록에 의하면 할아버지가 압록강 목재벌채권을 미하이로비치 대공에게 팔아 거부를 챙겼기에 종전때까지만 해도 막대한 재산을 가지고 있었고, 또 그의 어머니가 모스크바예술극장의 일류 여배우였다는 두가지 이유 때문에 스위스로 빠져나가려는 출국 비자를 거부받았으며, 이에 비자없이 탈출하려다가 잡힌 바람에 억류 생활을 하게됐다고.
그후 스위스 정부의 노력으로 석방되어 이미 10대에 파리에 유학, 배우로 활약하고 있던 율 브리너와 합류하게 된다. 명성을 얻기까지는 유복했던 상속재산의 뒷받침이 컸다고 한다.
1920년 블라디보스톡에서 태어난 브린너는 생전에 자신의 프로필에 관한 한 자세한 언급을 피했었지만, 1989년 그의 아들이 출간한 자서전에 의해 비로소 모든 과거가 알려졌다. 브린너 스스로는 인터뷰를 통해 자신이 반은 스위스, 반은 일본인이며 본명은 테제 칸이라고 주장했었지만 거짓이었음이 확인된 것이다. 어머니와 함께 중국, 파리 등 세계 곳곳을 떠돌아 다닌 탓에 정상적인 학업을 하지 못한 브린너는 자퇴 후 러시아인 집시들과 어울려 다니며 나이트 클럽에서 공연을 하곤 했다. 서커스 공중 그네 곡예사 등 각종 직업을 떠돌던 중 미국에 여행을 간 것이 계기가 되어 뉴욕에 눌러 앉아 브로드웨이 무대, TV 시리즈 등에서 활발한 활동을 시작했다.
몇 년 후, 브린너는 브로드웨이에서 알게 된 배우 메리 마틴의 추천으로 해머슈타인의 뮤지컬에 출연하게 되었다. 그에게 일생일대의 부와 영광을 안겨 준 이 작품이 바로 <왕과 나>(1956)이다. 서양인 가정교사와 사랑에 빠지는 태국의 황제를 연기한 브린너는 곧 세계적인 센세이션을 일으켰고, 영화화된 동명의 작품으로 오스카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이 후 <십계>(1956), <대장 블리바>(1962), <나레르바 전투>(1969) 등에서 특유한 매력을 선보인 율 브리너는 세계적인 스타가 된 이후에도 자신의 연기 영역을 넓히는 노력을 계속하였다.
이집트 파라오에서부터 서부 총잡이까지 섭렵하였고, 사망할 때까지 대머리와 특이한 발음을 고수했다. 1970년대에 들어서는 <왕과 나>의 세계 순회공연에 열중하였고, 폐암으로 쇠약해져 가는 중에도 금연 캠페인에 열정적으로 참여하였다.
배우인 버지니아 길모어, 도리스 클라이너, 재클린 드 크로셋의 전남편이었으며, 사망 당시의 부인은 캐시 리였다.










1920년 7월 구소련에서 출생해 1985년 10월 미국에서 사망했다.
소르본느 대락에서 철학학위를 취득했으며 연기공부를 한 후 집시 악단의 가수와 서커스 곡예사 등 다양한 직업을 거쳐 배우가 되었다. [왕과 나] 초연 당시 오디션을 통해 왕으로 선발되어 생애 최고로 인물의 성격을 가장 잘 표현한 보기 드문 스타이다. 중국 대륙과 파리에서 성장하여 1941년 극단원으로서 도미하여 영화와 연극배우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독특한 풍모로 일약 스타로 떠오르면서 1956년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1985년 폐암으로 사망한 배우 율 브린너는 깨끗이 면도된 대머리와 이국적인 용모로 유명한 대배우였다.
1920년 블라디보스톡에서 태어난 브린너는 생전에 자신의 프로필에 관한 한 자세한 언급을 피했었지만 1989년 그의 아들이 출간한 자서전에 의해 비로소 모든 과거가 알려졌다. 브린너 스스로는 인터뷰를 통해 자신이 반은 스위스, 반은 일본인이며 본명은 테제 칸이라고 주장했었지만 거짓이었음이 확인된 것이다.
어머니와 함께 중국, 파리 등 세계 곳곳을 떠돌아 다닌 탓에 정상적인 학업을 하지 못한 브린너는 자퇴 후 러시아인 집시들과 어울려 다니며 나이트 클럽에서 공연을 하곤 했다.
서커스 공중 그네 곡예사 등 각종 직업을 떠돌던 중 미국에 여행을 간 것이 계기가 되어 뉴욕에 눌러 앉아 브로드웨이 무대, TV 시리즈 등에서 활발한 활동을 시작했다.
몇 년 후, 브린너는 브로드웨이에서 알게 된 배우 메리 마틴의 추천으로 해머슈타인의 뮤지컬에 출연하게 되었다. 그에게 일생일대의 부와 영광을 안겨 준 이 작품이 바로 <왕과 나: The King and I>(1956)이다. 서양인 가정교사와 사랑에 빠지는 태국의 황제를 연기한 브린너는 곧 세계적인 센세이션을 일으켰고, 영화화된 동명의 작품으로 오스카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이 후 <십계>(1956), <대장 블리바>(1962), <나레르바 전투>(1969) 등에서 특유한 매력을 선보인 율 브리너는 세계적인 스타가 된 이후에도 자신의 연기 영역을 넓히는 노력을 계속하였다.
이집트 파라오에서부터 서부 총잡이까지 섭렵하였고, 사망할 때까지 대머리와 특이한 발음을 고수했다. 1970년대에 들어서는 <왕과 나>의 세계 순회공연에 열중하였고, 폐암으로 쇠약해져 가는 중에도 금연 캠페인에 열정적으로 참여하였다.
배우인 버지니아 길모어, 도리스 클라이너, 재클린 드 크로셋의 전남편이었으며, 사망 당시의 부인은 캐시 리였다.
출연
1 이색지대(Westworld) 1976년 미국
비디오 출시명 : <율 브린너의 이색 지대>
2 최후의 용사(The Ultimate Warrior) 1975년 미국
TV방영명 : <최후의 전사> KBS2 특선영화
3 모스크바의 야간 탈출(Le Serpent / Night Flight From Moscow) 1972년 서독(구),프랑스,이탈리아
별칭 : , <Die Schlange>(서독 제목), <Il Serpente>(이탈리아 제목)
4 캣로우(Catlow) 1971년 미국
5 아디오스 사바타(Adios, Sabata) 1971년 스페인,이탈리아
별칭 : , , , ,
6 등대의 혈투(The Light At The Edge Of The World) 1971년 스위스,미국,스페인
별칭 :
비디오 출시명 : <적도의 사투>
TV방영명 : <등대의 사투> KBS1 특선영화
7 매직 크리스찬(The Magic Christian) 1970년 국가불명
8 네레트바 전투(Bitka Na Neretvi / The Battle Of Neretva) 1970년 유고,서독(구),영국,이탈리아
별칭 : <Battle of the River Neretva>(호주 비디오 출시명), <Die Schlacht an der Neretva>(서독 제목), <La Battaglia della Neretva>(이탈리아 제목)
9 파리의 백작 부인(The Madwoman Of Chaillot) 1969년 미국
10 빌라 라이즈(Villa Rides) 1968년 미국
11 더블 맨(The Double Man) 1967년 영국
12 팔레스타의 영웅(Cast A Giant Shadow) 1966년 미국
13 헤로인 커넥션(Poppies Are Also Flowers) 1966년 미국
별칭 : , , <Danger Grows Wild>(영국 제목)
14 플라이트 프럼 이사야(Flight From Ashiya) 1964년 미국,일본
별칭 : <Ashiya kara no hiko>(일본 제목 영어식 표기)
15 대장 부리바(Taras Bulba) 1962년 미국
16 돌아와요, 내 사랑(Once More, With Feeling) 1960년 미국
17 오르페의 유언(Le Testamanet D'Orphee / The Testa) 1960년 프랑스
18 황야의 7인(The Magnificent Seven) 1960년 미국
19 소리와 분노(The Sound And The Fury) 1959년 미국
20 솔로몬과 시바의 여왕(Solomon And Sheba) 1959년 미국
비디오 출시명 : <MGM 그레이트: 솔로몬과 시바의 여왕>
21 여로(The Journey) 1959년 미국
22 카라마조브 형제들(The Brothers Karamazov) 1958년 미국
별칭 :
23 아나스타샤(Anastasia) 1956년 미국
별칭 : <아나스타시아 공주>
비디오 출시명 : <프린세스 아나스타샤>, <아나스타시아>
24 왕과 나(The King And I) 1956년 미국
25 십계(The Ten Commandments) 1956년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