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대 예종실록]
1. 정희왕후의 수렴청정과 예조의 짧은 재위
(1450-1469, 재위 기간 1468년 9월-1469년 11월, 1년 2개월)
세조의 아들들은 몸이 유약해서 그리 오래 살지 못했다. 이를 두고 당시 사람들은 어린
조카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한 세조가 그 죄가를 받은 것이라고도 했다.
세조의 맏아들은 의경세자였다. 그는 세조가 즉위하자 18세의 나이로 즉시 세자에
책봉되어 왕위 계승 수업에 들어갔다. 하지만 2년 뒤에 이유 없이 시름시름 앓다가 죽고
말았다. 일설에는 그가 낮잠을 자다가 가위눌림으로 죽었다는 말도 있는데, 당시 사람들은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의 살을 맞았다고 믿었다. 그래서 두 번째 세자에 책봉된 사람이
예종이었다. 하지만 예종 역시 수명이 길지 못했다.
예종은 1450년 태생으로 이름은 황, 자는 명조였다. 세조와 정희왕후 윤씨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난 그는 처음에 해양대군에 봉해졌다가 1457년 형 의경세자가 횡사하자
여덟 살의 나이로 세자에 책봉되었다. 그리고 1468년 9월 7일 세조로부터 왕위를 이어받아
수강궁에서 즉위하였다. 이 때 나이 19세였다.
예종은 즉위하긴 했으나 왕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할 수 없는 처지였다. 아직 성년이 되지
않은데다가 건강마저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섭정과 원상제도라는 두 가지 형태의
지원을 받으며 왕권을 행사해야 했다.
섭정은 모후 정희왕후의 수렴청정으로 이뤄졌는데, 이는 조선왕조에서 행한 최초의
수렴청정이었다. 정희왕후는 성격이 대담하고 결단력이 강한 여자였기에 예종의 유약한
성품을 잘 떠받쳐주었다. 또 예종도 세자 시절에 왕의 서무에 참여한 일이 있었기 때문에
국사 처리가 전혀 생소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예종 시대의 조정은 그다지 흔들림이
없었다. 하지만 왕권은 미약했다.
또한 왕의 업무 결재 능력의 미숙함을 보조하기 위해 원상제도가 마련되어 있었다. 이
원상제도는 세조가 죽기 전에 예종의 원만한 정사 운영을 위해 마련한 것으로 신하들에
의한 섭정 제도였다. 왕이 지명한 원로 중신들이 승정원에 상시 출근해 모든 국정을
상의해서 서무를 의결하고, 왕은 형식적인 결재만 하는 제도였기 때문이다. 세조가
원상으로 지목한 세 중신의 한명회, 신숙주, 구치관 등 측근 세력들이었다.
이러한 두 가지 형태의 정치 보조를 바탕으로 예종의 1년 2개월 동안의 짧은 치세가
이루어졌다. 1468년에 유자광의 계략으로 '남이의 역모 사건'이 발생하자 남이를 비롯하여
강순, 조경치, 변영수, 문효량, 고복로, 오치권, 박자하 등을 처형시켰으며, 이듬해에는
삼포에서 왜와의 개별 무역을 금지하였다. 또한 그 해 6해에는 각 도에 있는 군전(병영에
예속된 전답)을 일반 농민이 경작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9월에 최항 등이 '경국대전'을
찬진했으나 반포하지 못하고 2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떴다.
이처럼 예종은 14개월이라는 짧은 치세에다 정희왕후의 수렴청정과 원상들의 대리
서무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왕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한 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이
시기에도 세조 때와 마찬가지로 언관들에 대한 왕의 태도는 강경했다. 언관들에게
강경했다는 것은 왕권이 안정됐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것은 곧 정희왕후의 수렴청정의
결과이기도 했는데, 다시 말해 왕권은 미약했지만 정희왕후의 힘은 강력했다는 뜻이다.
예종의 정비는 영의정 한명회의 딸 장순왕후였다. 하지만 그녀가 17세에 요절하자 계비로
우의정 한백륜의 딸 안순왕후를 맞이했다. 예종의 능호는 창릉으로 현재 경기도 고양시
용두동 서오릉 묘역에 있다.
2.예종의 가족들
예종은 정비 장순왕후와 계비 안순왕후 두 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이들에게 2남 1녀를
얻었다. 세자빈 시절에 죽은 정비 장순왕후 한씨 소생으로는 인성대군이 있었고, 계비
안순왕후 한씨 소생으로는 제안대군과 현숙공주가 있었다. 하지만 정희왕후의 뜻에 따라
덕종의 둘째아들 자을산군이 세자에 책봉되었기에 예종의 아들은 아무도 세자가 되지
못했다.
인성대군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는 것으로 봐서 그는 유년 시절에 죽은 것으로 판단된다.
아래에 장순왕후, 안순왕후, 제안대군 등의 삶을 약술하여 예종의 가족사를 살펴보도록
한다.
장순왕후 한씨(1445-1461)
예종의 정비 장순왕후 한씨는 영의정 한명회와 부인 민씨의 큰딸이다. 성종의 비
공혜왕후의 친언니로 동시에 촌수로는 그녀의 시숙모가 되는 셈이다.
그녀는 1460년에 당시 세자로 책봉되어 있던 예종과 가례하여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 원손 인성대군을 낳고 건강이 악화되어 17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그 후 1472년
(성종 3년)에 장순왕후에 추존되었다. 능은 공릉으로 경기도 파주에 있다.
공릉은 조성 당시 세자빈묘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난간은 없고, 봉분 앞에 장명등과
혼유석만 놓여 있으며, 능 앞 양쪽에 문석과 석마를 세우고 석양과 석호가 추가로 설치되어
능을 호위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안순왕후 한씨(?-1498)
안순왕후 한씨는 청주부원군 한백륜의 딸이며, 1460년 한명회의 딸이었던 세자빈이
병사하자 1462년 예종과 가례를 올려 세자빈에 책봉되었다. 그리고 1468년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 예종이 병사했기 때문에 1471년 인혜대비에 봉해졌다.
그러다가 1497년(연산군 3년)에 다시 명의대비로 개봉되었으며 그 이듬해에 죽었다. 그녀의
소생으로는 제안대군과 현숙공주가 있으며, 제안대군의 효성이 지극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녀의 능은 창릉으로 예종과 함께 경기도 고양시 서오릉 묘역에 합장되어 있다.
제안대군(1466-1525)
제안대군은 예종의 둘째아들이며 안순왕후 한씨 소생이다. 4세 때 부왕인 예종이 죽자
왕위 계승의 첫 번째 후보로 올랐으나 세조의 정비 정희왕후의 반대로 세자에 책봉되지
못했다.
이후 1470년 5세의 나이로 제안대군에 봉해졌으며, 세종의 일곱째 아들인 평원대군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그리고 12세에 사도시정 김수말의 딸과 혼인하였으나 어머니
안순왕후가 그녀를 내쫓았기 때문에 14세에 다시 박중선의 딸과 혼인하였다. 하지만 그는
끝내 쫓겨난 김씨를 잊지 못해 1485년 20세 때 성종의 배려로 그녀와 다시 복합하였다.
1498년 안순왕후가 죽은 후로 홀로 거처하였으며, 평생 여색을 가까이 하지 않았다. 그는
노래를 즐기고 사죽관현 연주에 뛰어났다. 그래서 연산군이 네 차례나 음률을 잘 아는
여자를 궁중으로 맞아들여 그에게 내렸지만 그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패관잡기'에서는 '그는 성품이 어리석었다'고 기록하는 한편 '그것은 몸을 보전하기
위해 어리석음을 가장한 것'이라고 적고 있다. 즉 왕위 계승전에서 밀려난 사람은 언제든지
죽음의 위협에 시달려야 했는데, 이를 모면하기 위해 고의로 어리석은 행동을 했다는
것이다. 이런 보신책 덕분이었는지 그는 1525년까지 천수를 누리다가 6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떴다.
첫댓글 이 글 읽으니 반가움이 앞섭니다 조선왕조 500년사 48권 책을 사서
미친듯이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잊었었는데 다시 기억되게 하시니 정말 좋으네요
이렇듯 정치를 잘하던 못하던 그 수많은 역사를 남기는 조상님들은 누구나 다 가는데..
가는 줄 모르고 권력 세도가를 위하여 욕심 욕망 죽이고 살리고 ...다 헛되고 헛되도다 라는 성경말씀이
불현 떠오르는군요....그러나 이렇게 후손들에게 다 업적이나 역사을 교훈되는 그 무엇이 있으니
새삼 감사함을 느껴 봅니다 감사 합니다 그 서적 다시 읽어보고 싶습니다 세종때가 가장 재미있고 무리없이
정치 잘하는 모습이 떠올라 미소를 지어 봅니다 물론 사건들도 있었지만...감사합니다
네, 역사읽기는 지나간 사실이라서 그런지 행과 불행 모두
재미있고 교훈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