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blog.dreamwiz.com%2Fusr%2Fk%2Fd%2Fkds8856%2F1%2Fkds8856_20060709172948_5230631_1.bmp)
비홍재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424_1240154424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4.jpg)
응봉산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425_1240154425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5.jpg)
산촌고개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425_1240154425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6.jpg)
풍산리 산촌(山村)은 조선시대 남원부 견소곡방(見所谷坊)의
‘풍산리(楓山里)’에서 1914년 ‘남원군 대강면 풍산리’로 바뀌었고.
1960년대 법정리가 3개 행정리인 산촌(山村), 곡촌(谷村), 양촌(陽村)으로 나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마을 뒤에는 풍악산(楓岳山) 줄기가 내려오다 우뚝 솟아 있는데,
제일 높은 ‘삼망봉’이 423m이고 다시 그 줄기가 마을을 감싸고 뻗어내려 청룡 백호를 이루고 있다고 한다.
풍수설에 조선시대 8대 명당의 하나인 “홍곡단풍(鴻谷 · 風)”이 있다 하는데,
바로 산촌마을 뒷산에 있는 조선조 명재상 황희의 조부인 황균비(黃均庇)의 묘를 말한다고 한다.
황희의 부친은 나옹대사(懶翁大師)가 잡아준 홍곡단풍(鴻谷 · 風) 명당에 이 묘를 쓴 후
당시의 서울인 개경으로 이사를 하여 황희(黃喜) 정승을 낳았다고 한다.
문덕봉과 책여산이 바라보이는 마을 주변 경치가 좋아 ‘산수몰(마을)’이라 부르다가 ‘산촌’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대산면 풍촌리 감동마을은 유자나무가 많았다하여 감동이라고 부르고 큰 규모의 마을이라서 큰말이라고도 한다.
다시 고개우측에서 장수황씨 묘지위로 오르면 임도가 나오고 1-2분정도 따라 오르다 임도를 보내고
우측으로 돌려 숲을 파고 들어간다. 고도가 높아지기 시작하고 잠시 10여분정도 빡세게 오른다.
423.4m 삼각점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425_1240154425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7.jpg)
수장마을은 주위 산이 담장형국으로 싸여 그 안에 터를 이루고 있어 수장리라 하였고
또 숯다루미형국으로 숯불터라고도 하고 탄촌 또는 숯담장이라 하여 탄장이라고도 불렀다.
수(壽)자는 오복중에서 으뜸간다는 미명을 붙여서 수장리라 하였다 한다.
금풍저수지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425_1240154425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8.jpg)
579m 응봉 정산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426_1240154426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9.jpg)
풍악산(楓岳山:600m)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608_1240154608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0.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608_1240154608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1.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608_1240154608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2.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609_1240154609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3.jpg)
풍악산에서 본 응봉산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609_1240154609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4.jpg)
풍악산에서 본 교룡산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609_1240154609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5.jpg)
노적봉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609_1240154609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6.jpg)
노적봉정상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609_1240154609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7.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609_1240154609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8.jpg)
심곡재임도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756_1240154756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2.jpg)
계동은 본래 마을 이름은 채씨가 시묘살이를 한 골짝의 이름을 따
[제정골] 또는 [대습지] 라고도 불렀다 한다.
그 후 제정골에 마을이 있다하여 [제도이]라 이름지어 부르다가 얼마후
계수나무가 있고 계화낙지의 명당이 있다 하여 [계동(桂洞)]으로 바꾸었다한다.
심곡은 풍악산과 노적봉과의 깊은 산 골짜기에 있어 이름을 지프실 짚으실 이라 하였다한다.
그 후 지명을 한문으로 표기하면서 깊을 심(深)자와 골짝 곡(谷)자를 넣어 심곡리로 바뀌었다고 한다.
화정고개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759_1240154759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7.jpg)
화정리 화정(花亭)마을은 600여년전
청주 한씨(淸州韓氏) 한사람이 이곳은 지나던 중
산세가 빼어나고 화심(꽃봉우리 속의 가장 큰 꽃술)같은 봉우리가
아름답게 동북쪽으로 뻗어 끝이 뭉쳐지고 비단처럼 시냇물이 조용하게 흐르는 이곳을 발견하고
아무리 보아도 화심명당(花心明堂)이라는 생각이 들어
과거를 포기하고 그 자리에 터를 잡아 정착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마을의 유래로 꽃정이라고 불러오다가 1914년 행정개혁으로 화정(花亭)으로 바꾸었다한다.
또 일설에는 옛날 이름있는 대사가 따뜻한 봄날 노적봉을 산책하다가
멀리로 한 정자가 보이는데 정자를 둘러싼 주변의 아름다운 정기가
꽃봉우리처럼 피어나 보인지라 마을 이름을 꽃정이라 지었다고 한다.
뒤돌아 본 노적봉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760_1240154760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8.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905_1240154905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0.jpg)
대율리 대율(大栗)마을은 병풍처럼 둘러싸인 마을의 뒷산에 밤혈(栗穴) 명당이 있고,
마을 서편의 서촌마을 그 밑의 골짜기 마을을 모굴, 남원을 가는 길목에 있는 쌍거리(삼거리),
박석치 등을 통칭하여 한밤(큰밤), 한배미(栗峙) 등으로 불리어오다가
1860년경 큰대(大) 밤율(栗)을 따서 '대율'이라 고쳐 불렀다고 한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905_1240154905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1.jpg)
구 17번 국도상 뒷밤재에 있는 팔각정과 휴게소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905_1240154905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2.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905_1240154905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3.jpg)
★혼불문학관
<혼불>은 최명희(1947∼1998)가
지난 80년 4월부터 96년 12월까지 17년 동안 혼신을 바친 대하소설이다.
20세기 말 한국문학의 새 지평을 연 기념비적 작품으로 유명하다.
<혼불>은 일제 강점기인 1930∼40년대 전북 남원시 사매면의 유서깊은
‘매안 이씨’ 문중의 무너져가는 종가를 지키는 종부(宗婦)3대와
이씨 문중의 땅을 부치며 살아가는 상민마을 <거멍굴>사람들의 삶을 그린 소설이다.
근대사의 격랑속에서도 전통적 삶의 방식을 지켜 나가는
양반사회의 기품, 평민과 천민의 고단한 삶과 애환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특히 우리 선조들의 세시풍속, 관혼상제, 음식, 노래 등
민속학적, 인류학적 기록들을 철저한 고증을 통해 아름다운 모국어로 생생하게 복원해냈다.
대하소설 「혼불」은 작가 최명희가 만 17년 동안 집필한 작품으로
우리 역사에 있어서 가장 암울하고 불행했던 시기인 1930년대를 배경으로
국권을 잃고 일제의 탄압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청암부인'이라는 주인공의 주체적인 의지 속에 승화시킨 작품이다.
「혼불」의 무대인 남원시 사매면 대신리 상신마을과 서도리 노봉마을은
작가 최명희의 고향이자 소설 속에 등장하는 청암부인의 생가가 있는 곳이다.
노봉마을 입구에는 '꽃심을 지닌 땅', '아소님하'를 새긴
한 쌍의 장승이 나란히 세워져 있으며 마을 안에는
양반집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종가집을 복원하였으며,
혼불문학관이 개관되어 소설 속의 느낌과 정서를 그대로 느낄 수 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905_1240154905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4.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906_1240154906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5.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906_1240154906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6.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906_1240154906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7.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906_1240154906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8.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984_1240154984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0.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984_1240154984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1.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984_1240154984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2.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3.okmountain.com%2Fokcafe%2Ftravel%2Fuser_img%2F2009_04%2F1240154985_1240154985_8eec15c68d39a99acf2b6329aa888931_3.jpg)
산행길잡이
○제1코스 : 혼불문학관~(1km)~호성암~닭벼슬봉~(3km)~노적봉~신재~(2.8km)~풍악산~(2km)~
매봉(응봉)~(2.5km)~423.4m봉(십자봉)~(3.2km)~비홍치 <14.6km, 7시간30분 소요>
○제2코스 : 신계리~(2.5km)~풍악산~(2.8km)~노적봉~(3km)~호성암~(1km)~혼불문학관 <9.3km, 4시간 소요>
○제3코스 : 신계리 오동 마을~임도~서릉~북릉~풍악산~서릉~임도~마애불상~임도~신촌 마을 <6km, 3시간20분 소요>
○제4코스 : 신계리 오동 마을~임도~서릉~동능~풍악산~서릉~동계면 내령 마을 <4.9km, 2시간40분 소요>
교통
드라이브코스 : 호남고속도로 전주 나들목~전주(17번 국도)~사매~서도역~혼불문학관 /
17번 국도~남원~24번 국도로 대산면 신계리~오동 /
남원~대산면소재지~24번 국도~비홍치~동계면 내령리 /
88고속도로 남원 나들목~17번 국도~사매면~서도~혼불문학관 /
남원~24번 국도~대산면~분저울~오동 / 전주~17번 국도~오수~719번 지방도~동계~내령
전주~남원 직행버스 수시 운행.
남원→노봉리 시내버스 1일 4회 운행(8:35, 11:40, 15:50, 17:00). *남원택시 이용(12,000원, 011-682-7353).
남원~대산면 시내버스 1일 16회 운행.
남원~비홍치 시내버스 1일 23회 운행(동계 10회, 대강면 13회).
전주~오수(직행 수시 운행)~동계(직행 5회, 군내버스 20회)~내령 1일 4회 운행.
남원시내버스 전화 633-1001, 동계 정류소 652-4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