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호
- 후빙기 해면 상승에 기인한 하구 지역의 침수 이후 연안류에 의한 파랑 작용으로 퇴적된 사주가 만의 전면 입구를 막아 형성된 호수를 말한다.
- 이와 같은 호수는 후에 잡초 등이 생겨서 소택지가 되고 하천에 의한 토사 퇴적으로 규모가 작아지고 있으며 마침내는 해안 평야의 일부로 바뀌어 간다.
-
-
- 경호. 거울처럼 맑다하여 경호라 부른다. 해안가에 연안류와 파랑에 의해 발달한 사주가 보인다. 이런 사주의 발달로 복잡한 해안선이 단조로와지고, 사진에서 보면 석호 아랫쪽은 평야 지역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부분은 원래 호수의 일부분이었으나 하천에서 유입된 토사에 오랫동안 퇴적되어 매립되면서 형성되었고 해안 평야로 이용된고 있다.
-
- 형성 과정 및 분포
- 동해안은 해수면 상승으로 골짜기마다 바닷물이 들어와서 좁은 만을 형성하여 해안선이 톱니처럼 되었다. 그후 하천의 퇴적물 공급으로 사빈을 이루며 만입지를 메워간다. 파랑의 작용으로 해안을 따라 이동하는 모래는 사주를 형성하고, 사주가 만입지의 입구를 막으면 석호가 형성된다. 사주로 인해 토사의 바다 유출이 어려워 점차 충적지로 변하고, 해안선의 굴곡은 단순해진다.
-
- 우리 나라에는 동해안과 서해안 모두 석호가 발달하였으나 서해안의 경우 발달이 미약한 편이고 주로 동해안에 많이 분포한다. 동해안에 잘 알려진 호수들인 경포호, 청초호, 영랑호 등이 그 좋은 예가 된다.
-
후빙기 해수면 상승 → 하구 연안의 침수 → 파랑 작용에 의한 퇴적 작용으로 사주 발달 → 만입구 봉쇄 → 석호 발달 |

석호의 형성 석호의 단면도
-
- 석호 초기. 해수면은 육지로부터 약 130m정도 후퇴하여 있다.
-
-
- 석호 중기. 간빙기 해수면의 상승으로 해안의 골짜기로 바닷물이 들어와 만이 형성된다.
-
-
- 석호 말기. 파랑의 작용으로 인하여 해안선을 따라 모래가 이동하여 사주가 형성되고, 사주가 만의 입구를 막으면서 석호가 형성된다.
-
-
- ◀ 석호 동영상 그림 ▶
- 지형도 살펴보기 (강원 속초 1:50.000)
1. 석호의 형성
A 의 영랑호와 그 아래에 위치한 청초호는 모두 석호이다. 초기 동해안의 상승으로 골짜기에 해당되는 지역에 바닷물이 들어옴으로써 짧은 만이 형성되어 해안선이 톱니처럼 되었으나, 그 후 속초천으로부터 공급되는 퇴적물에 의하여 사빈을 이루면서 만이 메워 졌다. 한편, 파랑의 작용으로 해안을 따라 이동하는 모래가 사주를 형성하고, 사주가 만의 입구를 막으면서 석호가 형성된 것이다.
2. 사주의 발달
B 는 청초호의 앞에 형성된 사주를 말하는 것으로, 현재 청초호가 속초의 내항으로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방파제 구실을 하고 있는 셈이 된다.
최근 관광지로 개발되고 있는 영랑호(강원 속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