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해남 땅끝탑까지 62일.
남해안 길 24(대방진굴항-삼천포대교-실안-송포 농공단지-대포항)
◈ 일시 : 2022. 06. 01 (수).남해 섬.해안 14차(남해 3차 남해안 8차) 5박 6일 중 셋째 날.
지방선거일. 17~26도.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1.2 km. 5시간 51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남해.창선도 해안길을 05월 2일~06월 1일까지 14일간 청선대교부터 시작해 창선도와 남해도 해안길을
한바퀴 돌고 오늘은 그 마지막날로 창선도 당항리에서 시작해 2시간 만에 삼천포대교에서
남해. 창선도 해안길을 끝내고 남해안길을 이어 간다.
08 : 50. 창선대교-늑도대교-초양대교-삼천포대교를 다 건너왔다.
남해안길을 이어가기 위해 우측 대방진굴항으로 간다.
08 ; 54. 대방마을회관. 동서동 제3투표소. 오늘이 전국 동시 지방선거일이다. 우리는 사전투표를 하고 왔다.
08 : 58/09 : 31. 대방진굴항. 남파랑길 34코스 이정표. 왜구의 침략을 막기 위해 인공으로 축조한 병영지.
掘港을 한 바퀴 돌아 쉼터에서 창선도와 신수도 삼천포대교를 보며 쉬어간다.
09 ; 49. 삼천포대교 아래를 지난다. 소공원과 쉼터. 삼천포 코끼리 길 이정표.
09 ; 54. 대교공원. 위로는 늑도에서 각산을 오르내리는 사천 바다 케이블카가 지나고 우측에 하부정류장.
10 : 00. 해상데크길을 가며 삼천포대교와 창선도. 바다 위에 떠있는 바다펜션과
마도와 저도 뒤로 하동의 금오산을 바라본다.
10 ; 24. 선창 포구. 이순신 바닷길 4코스 실안 노을길 이정표. 포구와 마도 사이엔 죽방렴.
낙조로 유명한 실안해안도로를 간다.
10 ; 32. 사천 세계문화 컨센트 상설공연장. 서커스 공연장인데 문을 닫았다. 대인 15000원. 1일 4회.
10 ; 45/11 ; 39. 아르떼 리조트 앞 쉼터에서 금오산과 마도 저도를 보며 점심.
11 : 43. 산분령 항. 도로 끝에서 마을 골목길 따라 1003 지방도로 올라가 따라간다.
11 ; 56. 산분령 소공원. 이순신 바닷길 4코스 실안노을길 이정표.
12 ; 01. 사천시 누리원(화장장) 입구. 산모퉁이를 돌아간다.
12 ; 03. 와룡 지맥. 좌측으로 조금 나가면 지맥 끝 지점이다. 비가 올 때 여기를 지나갔었는데..
12 ; 07. 영복원 정류소. 좌측 아래 마을 뒤로 사천대교가 멀리 보인다.
12 ; 12. 동서동 영복마을 입구 표지석. 실안노을길 이정표. 욱어진 벚꽃나무숲길을 간다.
12 ; 25. 광포항 앞 광포 정류소. 삼천포 마리나. 요트들이 많다. 광포항과 사천만 바다가 예쁘다.
12 ; 38. 모충 교차로. 우측은 진주. 사천시청, 창선 삼천포대교. 직진은 와룡산 모충공원.
12 : 41. 좌측에 모충공원. 실안노을길 이정표.
12 ; 45. 국도 다리 아래를 지난다.-다시 좌측으로 국도 밑을 지나 공장지대로
12 ; 50. (주)길보가 있는 공장지대를 지난다.
12 ; 55/13 : 45. 송천마을 쉼터. 신벗고 푹 쉬고 하천길 따라 내려서다 우측 마을길로 간다.
13 ; 54. 해양바이오(주)공사장이 있는 송포 농공단지를 지난다.
13 : 58. 장산 환경(주)앞 2차로를 따라가며 우측으로 천왕산-와룡산을 바라본다.
14 : 02. 금오산-연대봉을 보며 선전 해안교를 건너가면 모자랑포 이정표. 난중일기 "모자랑포"이야기.
14 ; 16. 미룡마을. 미룡 포구. 대포마을 1.5km. 모자랑포 0.4km.
14 ; 22. 금오산과 사천대교가 가깝게 보이고 멀리 이명산과 지리산 삼신봉도 어림된다.
와룡산과 대포항, 사천대를 바라보며 무지개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14 ; 32. 사명대사의 스승 부용 영관 대선사 출생지 안내판. 심포마을 표지석.
14 ; 36. 대포항. 이순신 바닷길 2코스 최초 거북선 길. 대포마을 이정표. 사랑의 불시착 촬영지
14 ; 38. 대포항 우측의 대포마을 정류소.
14 : 40. 대포항에서 72번 버스 타고(\1900*2) 삼천포 중앙시장 하차(15 : 13).
중앙시장에서 떡 2팩(\10000)과 두부(\2000) 사고 톱 마트에서 장보고(\6950)
모텔로 돌아와서 쉬다 저녁을 먹으로 동네 한 바퀴 돌아보나 마땅찮아
모텔 앞 깍두기 집으로 냉면을 먹으러 갔다가 헛탕치고 숙소로 돌아와서 떡으로 저녁.
남해.창선도 해안길을 05월 2일~06월 1일까지 14일차로 창선도 당항리에서 시작해
2시간 만에 남해. 창선도 해안길을 끝내고 남해안길을 이어 가기위해 우측 대방진굴항으로 간다.
08 : 50. 창선대교-늑도대교-초양대교-삼천포대교를 다 건너왔다.
남해안길을 이어가기 위해 우측 대방진굴항으로 간다.
삼천포대교.
08 ; 54. 대방마을회관. 동서동 제3투표소. 오늘이 전국 동시 지방선거일이다. 우리는 사전투표를 하고 왔다.
08 : 58/09 : 31. 대방진굴항. 남파랑길 34코스 이정표. 왜구의 침략을 막기 위해 인공으로 축조한 병영지.
掘港을 한 바퀴 돌아 쉼터에서 창선도와 신수도 삼천포대교를 보며 쉬어간다.
남파랑길 34코스 이정표. 사천바다케이블카 0.8km. 종점 0.4km. tlwja 9.6ㅏㅡ.
왜구의 침략을 막기 위해 인공으로 축조한 병영지.
掘港을 우에서 좌로 한 바퀴 돌아 나가 앞 둔덕위에서 쉬어간다.
돌아나가서
언덕위로 올라가 쉼터에서 쉬어간다.
삼천포대교와 창선도.
신수도와 뒤로 창선도 동쪽의 여봉산. 국사봉쪽.
09 ; 49. 삼천포대교 아래를 지난다. 소공원과 쉼터. 삼천포 코끼리 길 이정표.
삼천포 대교와 초양대교.
당겨본 초양대교와 초양섬의 사천해양게이블카.
09 ; 54. 대교공원. 위로는 늑도에서 각산을 오르내리는 사천 바다 케이블카가 지나고 우측에 하부정류장.
해상무대.
해상무대.
우측에 사천 바다 케이블카 하부정류장.
고기가 잡히는지 강태공들이 몇 명 있다.
10 : 00. 해상데크길을 가며 삼천포대교와 창선도. 바다 위에 떠있는 바다펜션과
마도와 저도 뒤로 하동의 금오산을 바라본다.
삼천포대교-모개섬-초양대교-초양도의 케이블카와 바다펜션들.
馬島.
두응도-마도-금오산-딱섬저도.
초양대교-초양도 케이블카와 그 우측으로 늑도 마을뒤로 빨간색 창선대교와 연대봉이 보인다.
늑도-연대봉-신도-두응도-마도.
마도(좌)-금오산-딱섬 저도.
10 ; 24. 선창 포구. 이순신 바닷길 4코스 실안 노을길 이정표. 포구와 마도 사이엔 죽방렴.
낙조로 유명한 실안해안도로를 간다.
선창 포구.
낙조로 유명한 실안해안도로를 가며 멀리 아르떼 리조트와 산분령항이 보이고.
10 ; 32. 사천 세계문화 컨센트 상설공연장. 서커스 공연장인데 문을 닫았다. 대인 15000원. 1일 4회.
이길이 실안낙조로 유명한곳인듯.
하동 금오산.
10 ; 45/11 ; 39. 아르떼 리조트 앞 쉼터에서 금오산과 마도 저도를 보며 점심.
아르떼 리조트. 바다가 보이는 영화관. 카페. 편의점등이 있다.
초등학교 1~2학년쯤된 꼬마가 심심한지 혼자서 해안을 왔다갔다 하길래 어디서 왔느냐고 물으니 장유에서 왔단다 .
날이 더워 점심먹고 1시간 가까이 쉬고간다. 저앞이 산붕령항.
11 : 43. 산분령 항. 도로 끝에서 마을 골목길 따라 1003 지방도로 올라가 따라간다.
산분령 항.
뒤돌아 보고
도로 끝에서 마을 골목길 따라 1003 지방도로 올라간다.
언덕을 오르며 뒤돌아 보고
산분령학과 딱섬과 마도뒤로 창선도 연대봉쪽과 우측 뒤로 남해.
1003 지방도로.
11 ; 56. 산분령 소공원. 이순신 바닷길 4코스 실안노을길 이정표.
12 ; 01. 사천시 누리원(화장장) 입구. 산모퉁이를 돌아간다.
앞산모퉁이가 와룡지맥 끝자락.
12 ; 03. 와룡 지맥. 좌측으로 조금 나가면 지맥 끝 지점이다. 비가 올 때 여기를 지나갔었는데..
영복마을과 멀리 사천대교.
12 ; 07. 영복원 정류소. 좌측 아래 마을 뒤로 사천대교가 멀리 보인다.
영복마을 좌측으로 와룡지맥끝부분.
12 ; 12. 동서동 영복마을 입구 표지석. 실안노을길 이정표. 욱어진 벚꽃나무숲길을 간다.
광포항과 저앞에 미룡마을.
광포항과 대포항뒤로 사천대교.
사천만 건너편 이명산(?)줄기인듯.
광포의 풍차 카페도 있고
12 ; 25. 광포항 앞 광포 정류소. 삼천포 마리나. 요트들이 많다. 광포항과 사천만 바다가 예쁘다.
광포항. 우측에 정류소.
광포정류소 안에 있는 사천시 시내버스 노선도. 광포 오는 버스는 20번.
광포항과 하동 금오산. 앞으로 몇날 몇일은 금오산 손바닥안에서 논다.
송포1357펜션.
선상카페도 있고
포도밭 뒤로 선상카페와 사천만.
미룡마을.
12 ; 38. 모충 교차로. 우측은 진주. 사천시청, 창선 삼천포대교. 직진은 와룡산 모충공원.
12 : 41. 좌측에 모충공원. 실안노을길 이정표.
12 ; 45. 국도 다리 아래를 지난다.-다시 좌측으로 국도 밑을 지나 공장지대로
12 ; 50. (주)길보가 있는 공장지대를 지난다.
12 ; 55/13 : 45. 송천마을 쉼터. 신벗고 푹 쉬고 하천길 따라 내려서다 우측 마을길로 간다.
여시서 또 50여분 늘어지게 쉬고 간다. 덥다 더워.
왕마늘. 미국마늘 이란다.
13 ; 54. 해양바이오(주)공사장이 있는 송포 농공단지를 지난다.
13 : 58. 장산 환경(주)앞 2차로를 따라가며 우측으로 천왕산-와룡산을 바라본다.
우측으로 천왕산-와룡산.
14 : 02. 금오산-연대봉을 보며 선전 해안교를 건너가면 모자랑포 이정표. 난중일기 "모자랑포"이야기.
선전 해안교.
난중일기 "모자랑포"이야기.
모자랑포에서 연대봉(좌)-금오산(우).
송포농단지를 뒤돌아 보고
뒤돌아 본 광포-영복원과 와룡지맥끝(우)
뒤돌아 본 와룡지맥끝(좌)-남해 금음산(중)
미룡마을.
14 ; 16. 미룡마을. 미룡 포구. 대포마을 1.5km. 모자랑포 0.4km.
미룡포구.
미룡마을.
미룡마을에서 금오산과 그 우측모습.
14 ; 22. 금오산과 사천대교가 가깝게 보이고 멀리 이명산과 지리산 삼신봉도 어림된다.
와룡산과 대포항, 사천대를 바라보며 무지개 도로를 따라간다.
사천대교 뒤로 이명산(?)줄기와 그 우측 멀리 지리산 삼신봉(?).
사천대를 바라보며 무지개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와룡산.
14 ; 32. 사명대사의 스승 부용 영관 대선사 출생지 안내판. 심포마을 표지석.
심포마을 표지석과 저앞에 대포항.
뒤돌아 보고
뒤돌아 보고
창선도 -남해금산-금음산 뒤돌아 보고.
4 ; 36. 대포항. 이순신 바닷길 2코스 최초 거북선 길. 대포마을 이정표. 사랑의 불시착 촬영지
사진 우측끝 택시앞이 대포정류소.
대포항.
대포항.
대포항.
대포항.
14 ; 38. 대포항 우측의 대포마을 정류소.
14 : 40. 대포항에서 72번 버스 타고(\1900*2) 삼천포 중앙시장 하차(15 : 13).
중앙시장에서 떡 2팩(\10000)과 두부(\2000) 사고 톱 마트에서 장보고(\6950)
모텔로 돌아와서 쉬다 저녁을 먹으로 동네 한 바퀴 돌아보나 마땅찮아
모텔 앞 깍두기 집으로 냉면을 먹으러 갔다가 헛탕치고 숙소로 돌아와서 떡으로 저녁.
중앙시장안에
사천 주요 관광지.
1. 삼천포항. 2. 사천바다케이블카. 3. 신수도. 4. 삼천포 중앙시장. 5. 각산, 각산전망대. 6. 청널공원. 7. 창선-삼천포대교.
8. 남일대 해수욕장. 9. 진널 전망대. 10. 코끼리바위.
사천8경.
1. 창선 ㅡ삼천포대교. 2. 실안낙조. 3. 남일대 코끼리바위. 4. 선진리성 벚꽃. 5. 와룡산 철쪽. 6. 봉명산 다솔사
7. 사천읍성 명월. 8. 비토섬 갯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