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枕 베개
不待充飢積滿膓
굶주림 채우길 기다리지 않고 배불리 채워서
寐興無媿彼天蒼
잠자는 기쁨 저 하늘에도 부끄럽지가 않다네.
頭虛兩角圓常塞
머리 없이 양모서리가 둥글게 항상 막혔으니
體垢纏衾換却粧
몸때가 이불을 더럽히면 곧 바꾸어서 꾸미네.
鴦鳳添文娘刺繡
원앙과 봉황 무늬 장식은 아가씨의 자수이고 1)
乙丙賜號帝垂裳
두세째 이름과 의복 임금이 내려 태평하다네. 2)
一宵不可無君處
하룻밤도 그대가 없이는 아니 되는 것이라서
魂夢依依到黑鄕
꿈속에서는 아득히 꿈나라로 이끌어주는구나. 3)
_____
1) 낭자수(娘刺繡): 처녀 또는 아가씨의 자수(刺繡)
2) 을병사호(乙丙賜號), 수상(垂裳): 을병(乙丙)은 고갑자(古甲子)의 둘째와 셋째 천간(天干)이라 둘째와 셋째라는 말이 되고, 사호(賜號)는 임금이 내려준 이름이나 별명(別名)이다. 수상(垂裳)은 주역(周易 系辞下)에 나오는 말로 전설상의 황제(皇帝), 요순(堯舜)의 수상이치(垂裳而治)라 하여 그 정치를 칭송하는 말인데 치마 상(裳)자는 여기서 의복이란 말이고 제왕이 의복을 내려준다는 수상(垂裳)은 곧 순리로 잘 다스려진다는 의미다.
3) 흑향(黑鄕): 꿈나라(slumberland). 몽향(夢鄕), 흑첨(黑甛) 또는 흑첨향(黑甛鄕)이라고도 한다.
https://youtu.be/5VA3O9KzdF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