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맥-춘천 貊(今 春川)
貊(今 春川)
彭吳는 擅君 時에 交通을 맡은 신하인데 이제 漢書에 如左히 記録함은 알 수 없는 말이다.
漢書에 武帝彭吳로 하여금 濊貊朝鮮을 통하였다 하고 後漢書에 遼東守祭彤이 北方을 威襲하니 声이 海表에 行하였다.
이에 濊와 貊과 倭가 万里에 와서 朝献하였다 하고 또 말하되 高勾麗 王宮이 濊貊으로부터 玄棄를 쳐서 華麗城을 얻었다 하고 文献備考에 貊国은 今에 春川府 北十三坦 昭陽江北에 在하다 하였다.
昭陽江水接滄津
通道碑殘沒棘榛
東史未窮班掾志
堯時君命漢時臣
昭陽江水가 搶津에 接하였으니
通道碑가 쇠잔하야 棘榛에 没하였도다.
東史가 班掾의 志를 알지 못하여
堯時의 君이 漢時의 臣을 命하였도다.
昭陽江은 舆地勝覧에 春川府 北六里에 在하니 源이 麟蹄郡 瑞和県에 出하여 府의 基麟県水로 더불어 合流하여 楊口県에 至하여 艸沙里灘이 되고 또 府東北에 至하여 青淵과 舟淵과 狄岩灘이 되고 또 다시 昭陽江이 되었다. 滄津은 搶海의 津이다.
通道碑는 牛首州에 在하니 牛首는 今 春川이라 東史에 말하되 擅君이 彭吳를 命하여 國内 山川을 治하여서 民居를 奠하였다 하고 本紀通覽에 牛首州에 彭吳碑가 有하다 하고 文献備考에 彭吳는 漢의 人이오 擅君의 臣이 아니라 하고 또 金時習 詩에 말하되 通道自彭吳라 하니 대체로 通道는 濊貊과 支那가 서로 通하였다 하니 堯時인지 漢時인지 未詳하니 이제 彭吳는 両時代에 同名入이 有한 줄 推知하겠다.
堯時에도 彭吳라 하는 人이 有하고 漢時에도 彭吳라 하는 人이 有하였는데 通道는 漢時에 된 일로 推定하니 通覧과 文献備考에 처하여 더욱 明白하였다. 棘揍은 荒茂의 뜻이니 地面이 荒茂하여 棘揍이 雜生하니 碑가 残敗하여 棘揍 中에 没하였다.
班像은 分別의 意니 彭吳가 堯時人인지 漢時人인지 分别이 없다 하였다. 堯時 君命은 康堯時에 彭吳를 命하여 山川을 治함이니 堯時의 彭吳는 擅君이 命하신 신하 彭吳이다.
漢時臣은 漢時에도 彭吳가 通道하였다 함이라.
- 한글
붕오는 단군 시대에 교통을 맡은 신하인데 지금 한서에 아래와 같이 기록한 것은 알 수 없는 말이다.
한서에 무제가 붕오로 하여금 예맥과 여숭한을 통했다고 하고, 후한서에 요동수재돈이 북방을 위협하니 그 소리가 해표까지 미쳤다고 한다. 이에 예와 맥과 왜가 만리에서 와서 조현했다고 하며, 또 말하기를 고구려 왕궁에서 예맥을로터 현기를 쳐서 화려성을 얻었다고 했다. 문헌비고에 맥국은 지금 춘천부 북쪽 13단 소양강 북쪽에 있었다고 하였다.
소양강물이 창진에 이어졌으니
통도비가 퇴락하여 가시나무 숲에 묻혔구나.
동사가 반료의 뜻을 알지 못해
요임금이 한대 신하를 명했도다.
소양강은 여지승람에 춘천부 북쪽 6리에 있으며, 그 근원은 인제군 수화현에서 나와 춘천부의 기린현수와 합류하여 양구현에 이르러 초사리탄이 되고, 또 부의 동북쪽에 이르러 청연과 주연과 적암탄이 되고, 다시 소양강이 되었다고 한다. 창진은 섭해의 나루이다.
통도비는 우수주에 있으니 우수는 지금의 춘천이다. 동사에 단군이 붕오를 명해 국내 산천을 다스리고 민가를 세웠다고 하며, 본기통람에 우수주에 붕오비가 있다고 했다. 문헌비고에는 붕오가 한나라 사람이지 단군의 신하가 아니라고 했고, 또 김시습의 시에 "통도는 붕오에서 비롯되었다"라고 했으니, 대체로 통도는 예맥과 중국이 서로 통했다는 뜻인데 요임금 때인지 한대인지 미상하다. 이제 붕오에 두 시대에 같은 이름의 인물이 있었음을 알겠다.
요임금 때에도 붕오라는 사람이 있었고 한대에도 붕오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통도는 한대에 있었던 일로 추정된다. 본기통람과 문헌비고를 보면 더욱 명백해진다. 가시나무는 황무지의 뜻이니, 지면이 황무지가 되어 가시나무가 나있어 비석이 퇴락하여 그 가시나무 숲에 묻혔다는 말이다.
반상은 분별의 뜻이니, 붕오가 요임금 때 사람인지 한대 사람인지 구분이 없다는 말이다. 요임금 명령은 요임금 때 붕오를 명해 산천을 다스리게 했다는 뜻으로, 요대의 붕오는 단군이 명했던 신하 붕오를 말한다.
한대신은 한대에도 붕오가 통도했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