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의류는 고기능성 소재, 특히 수입 소재를 많이 사용하여 일반 의류에 비해 가격이 다소 높을 수 밖에 없다.
모처럼 수 십 만원씩 하는 고기능성 방풍자켓, 혹은 여름 티셔츠로는 일반 의류에 비하면 월등히 비싼 쿨 맥스나 필드센서 티셔츠를 구입하고서 잘못된 세탁으로 비싸게 싼 제품을 버리는 경우가 있다. 제조업체의 사용법 안내서와 라벨의 세탁법을 잘 읽고 그대로 하는 것이 좋다.
거의 모든 등산의류는 세탁기에 넣기보다는 부드러운 손세탁이 적합하다. 특히 필름이 들어있는 고어텍스나 윈드스토퍼는 더욱 그렇다.
표백성 염소계 세제는 절대 금물이며, 울샴프로 가볍게 비벼 빠는것이 좋다. 뜨거운 온수는 금물이며, 체온과 비슷한 약간 따스한 물이 좋다. (30~35C) 다른 의류와 같이 세탁시 물이 들 수 있다.
특히 폴라텍,플리스, 쿨맥스 나 고어,하이포라 등 화학섬유 원단을 사용한 제품은 소재의 특성상 오래 사용한 후에도 약간의 물이 빠질 수 있다. 땀을 흘렸을 경우에는 바로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 물에 오래 담가 두지 말아야 한다. 탈수기를 사용하는 것은 무방하나 부드러운 의류는 손빨래 후 가볍게 손으로 짜서 말리는 편이 좋다. (탈수기 사용시 보풀이 잘 생긴다)
옷걸이에 걸어 말리거나 건조대 위에 잘 펴서 말린다. 다림질이 필요한 경우 스프레이를 하면서 약한 온도로 형태를 잡아가며 다린다. 정전기가 많이 나는 폴라텍 계열 의류는 정전기 방지제를 넣어 세탁한다. (무정전기성 소재도 있으나 가격이 더 높다)
나프탈린과 같은 방충제가 섬유에 직접 닿으면 옷이 상한다. 또한 , 고어텍스나 하이포라 등 발수, 투습, 방수 원단의 고기능성 의류는 자주 빨면 그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며, 씸실링 처리된 부분의 봉합이 파괴 될 수 있다.
고기능성 원단으로 된 제품이 구멍이 나거나 찢어진 경우 장비점이나 메어커에 의뢰하면 수선 할 수 있다 오래되어 방수 기능이 떨어진 제품은 소재에 맞는 방수 스프레이를 뿌려준다.
-우모제품의 세탁 역시 고어텍스 의류와 동일하며 세지가 남지 않도록 잘 헹구어 넓게 펴서 말린다. 마른 후에는 30cm 자를 이용하여 가볍게 두드려 주면 우모가 부풀어 오른다.
우모제품은 제품의 특성상 구겨지거나 접혀있으면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평상시 보간상태에서는 파커류는 옷걸이에 걸던지, 넓은 곳에 펼쳐 놓아야 하며 침낭류는 넓게 펼쳐 놓는것이 좋으며, 산행시에 패킹을 위하여만 압축하여아 한다. 이 때 부직포에 넣은 방습제를 같이 넣어 두면 좋다. (나프탈렌 금지)
-고어텍스 등산화 고어텍스 등산화는 신발 내부에 불소수지 처리가 되어있으므로 신발내부를 물에 담가 세탁하는 것은 삼가 해야하고, 외부표면은 발한 작용의 원활함을 위하여 일체의 왁스처리를 하지 않아야 한다.
(발한 기능을 살리면서 가죽보호와 방수기능을 살려주는 고어텍스 전용 스프레이가 있으니 장비점에서 고어텍스 전용 스프레이를 구입한다.) 외부표면은 미지근한 물에 스펀지 등의 부드러운 도구로 가볍게 닦아주고 내부는 깔창을 들어낸 후 젖은 타월을 이용하여 닦아주면 된다.
냉장고용 냄새 제거제를 넣어두면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며 원두커피 찌꺼기나 녹차 찌꺼기, 숯 등을 넣어 놓는 것도 냄새제거에 도움이 된다. 오랫동안 보관할 때는 신문지를 구겨서 앞부리부터 채워 놓으면 다음에 신을 때까지 원형을 유지할수 있다.
-가죽등산화 고어텍스 등산화가 대중화된 오늘날에도 가죽등산화(중등산화)는 그 효용성과 경제성이 뛰어나서 산악인들의 사랑과 신뢰가 변치 않는다.
가죽등산화는 필히 왁스(방수용)처리를 해야 하는데 중창부분의 바느질 솔기는 물이 스며드는 치약부분이므로 헌 칫솔 등을 이용하여 꼼꼼하게 흙을 털어 낸 다음 세밀하게 칠해야 한다. 대부분의 가죽등산화는 구두약(구두약도 왁스의 일종)만으로도 훌륭한 방수효과가 있다. 겨울철 당일 산행 정도라면 갈색 혹은 투명 구두약만 잘 칠해도 거뜬하게 다녀올 수 있다.
그러나 며칠씩 적설기 심설 산행을 해야 한다면 별도의 왁스처리를 해야 한다. 우선 등산화를 구두약을 묻히지 않은 깨끗한 솔로 흙이나 오물 등을 말끔히 털어 낸다. 왁스(방수용 또는 듀빙왁스)를 등산화의 외부표면에 고르게 바른후 헤어드라이어의 뜨거운 바람 혹은 라이터를 이용하여 왁스를 녹여준다.
왁스가 가죽표면에 스며들도록 하여야 하며 이때 라이터의 불꽃이 가죽표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약 3회 정도 실시하며 왁스처리가 끝나면 그늘지고 서늘한 곳에서 말리낟. 신발 내부는 절대로 물 세척을 하면 안된다.
신발내부는 땀 등으로 충분히 젖어 있으므로 에틸알콜(소독용)을 헝겊에 묻혀 닦아내는 것이 냄새제거에도 좋고 위생상으로도 바람직하며 휘발성이 좋아 가죽손상을 막아준다. 창갈이가 필요하면 제조회사나 등산화 전문 제작점에 의뢰하면 된다(유료) 창갈이를 서울의 한 등산화 전문 제작점에 문의하니 금년의 경우 국산 창 25000원/ 수입창(비브람) 50000원에 교체가 가능하다고 한다.
-릿지화 고어필름이 삽입되지 않은 일반 등산화(릿지화)의 경우 내부의 깔창을 들어내고 미지근한 물에 담구었다가 부드러운 솔로 깔창과 겉 표면을 부드럽게 털듯이 닦아낸다.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말리되 , 어느정도 물기가 빠지면 신문지를 앞에서 부터 채워 넣어 자주 갈아준다. 고어텍스 등산화용 방수 스프레이를 일반 등산화에 뿌리면 오히려 좋지 않다. 장비점에 가면 일반 등산화의 가죽보호와 방수에 좋은 방수액이 있다. (5000원 정도)
출처 : 산악인다이어리 2002 SPRING/SUMMER 인터넷 산악인 클럽 www.san114.co.kr 홈페이지에 게재된 정보를 바탕으로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