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변무대 / Flexible Stage
작품의 요구에 따라 무대와 객석의 배치를 재조정함으로써 시각선을 변화시켜 무대양식을 변형시킬 수 있는 무대
가설무대 / Construction Stage
고정무대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서 임시로 설치된 무대
경사덧마루 / Ramp
경사진 덧마루로서 높고 낮은 무대간의 연결을 게단으로 할 수도 잇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덧마루를 이용하여 연결하기도 한다
까치발 / Stage Brace
무대장치를 세우기 위하여 장치 뒤에 붙이는 지주
끌막 / Draw Curtain
좌우로 끌어 당겨 여닫는 막 (본막의 일종)
누름쇠
무대장치를 세우기 위해서 이용한 까치발 등을 누르기 위해 사용하는 쇳덩이
덧마루 / Plaform
무대의 높낮이를 주어 게단등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마루
덧마루다리
덧마루를 높이는데 사용하는 작은 통(사각박스)
돌출무대 / Thrust Stage
무대가 앞으로 튀어나와 3면이 객석으로 둘러싸여 액자무대보다 더 넓은 시각선을 형성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연기자를 가깝게 느끼게 하는 무대형식
뒷무대 / Back Stage
관객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본무대귀의 보조무대로서 하늘막에 의해 본무대와 분리됨
무대깊이 / Stage Depth
본막선에서 하늘막선까지의 거리
무대높이 / Stage Hight
액자무대에서 무대바닥부터의 액자 높이
무대우측 / Stage Right
무대위의 연기자를 중심으로 무대 중심선의 우측.
무대조리개 / Tormentor
액자무대에만 잇는 시설로서 작품의 규모나 필요에 의해 액자의 넓이를 조절하는데 사용
무대좌측 / Stage Left
무대위의 연기자를 중심으로 무대 중심선의 우측.
무대중심선 /Stage Center line
본무대의 중간선으로 본막선과 직각이며, 무대의 좌,우는 무대상의 연기자를 중심으로 하여 이 선에 의해 결정됨
무대탑 / Stage House
본무대의 상부공간, 장치, 조명기등을 매달 수 있는 시설물(봉)이 격납되어있다.
무대폭 / Stage Width
액자무대의 한쪽 끝에서 다른 한쪽 끝까지의 너비
바닥깔개 / Floor Cloth
무대바닥, 혹은 덧마루 위에 방음, 효과등을 위해 덮는 천
방화막 / Fire Curtain
본막 앞에 설치된 막으로서 화재시 무대와 객석을 차단시켜 주는막
본막 / Main Curtain / House Curtain
무대의 맨앞에 있는 막으로서 시작과 끝, 혹은 막간에 사용되며 통막, 주름막, 끌막, 봐그너막 4종류가 있다.
본막선 / Main Curtain line / House Curtain line
본막이 닫혔을때를 가상하여 무대바닥에 그은선, 무대깊이는 이선부터 계산된다.
본무대 / Main Stage
공연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무대공간
소품대장 / Property Chart
공연에 사용된 소품일람표
승강무대 / Elevation Stage
본무대중 일부가 상.하 수직 이동되는 무대로서 무대장치를 올리고 내려 신속한 장면전환이나 특별한 효과를 위해 사용됨(충분한 하무무대가 확보되어야 함)
시각선 / Sight Line
객석의 관객이 무대를 바라보는것을 전제로한 가상의 선
액자무대 / Proscenium Arch Stage
무대전면의 개구부를 액자형태로 구획한무대. 객석과 엄격하게 분리됨(국내 대부분의 극장이 이형태임)
앞무대 / Front Stage
액자무대의 틀과 오키스트라 핏트 사이의 좁은무대
연결쇠 / Keeper Hook
덧마루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철제고리로서 “ㄷ”자형 “ㄹ”자형이 있다.
옆막 / Wing
본무대와 옆무대를 분리시키는 막
옆무대 / Pocket
관객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무대 양측의 보조무대.
원형무대 / Arena Stage
관객으로 주위가 둘러싸인 원형태의 무대
윗막 / Terser
본무대의 상부를 무대탑에서 분리시키는 막으로서 조명기등을 은폐시키기도 함.
의상대장 / Costume Chart
공연시 등장인물들이 입을 의상일람표
이동무대 / Wagon Stage
무대장치를 설치하여 장면전환에 이용하는 바퀴가 달린 무대
장치모형 / Set Model
장치디자인의 아이디어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실물크기를 일정비율의 축적에 의해 축소 제작한 모형으로 연출자와의 사전검토를 위한 연습모형과 최종확정된 공연모형이 있다.
장치봉 / Set Batten
공연에 필요한 장치를 매달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잇도록 하는 봉
장치전환 / Scene Shift
한 장면의 무대장치를 다른 장면의 무대장치로 변환시키는 것.
장치제작실 / Scene Shop
장치제작에 필요한 공간과 시설을 갖춘 작업실
장치추 / Count Weight
무거운 무대장치를 장치봉에 달아 상부로 끌어 올리는데 힘을덜기 위하여 반대편 쇠줄에 거는 쇳덩이
전면무대 / Down Stage
본무대의 깊이를 양분했을때 관객쪽에 가까운 무대
제4벽 / Fourth Wall
액자무대에서 객석과 무대를 분리시키는 면(가상의 벽)
근대 장연주의, 사실주의 연극 이론상의 개념으로 제4벽은 열어두는것이 절대적인 원칙이나 오늘날에는 작품의 성격에 따라 이 벽에 무대장치를 설치하기도 함.
제작도 / Working Drawing
무대장치의 칫수, 제작방법 등을 기록한 도면
주름막 / Coutour Curtain
주름이 접히면서 위로 걷히는 막 (본막의 일종)
중간막 / Drop
본무대 중간에 설치된 막, 장면전환시 활용.
중앙무대 / Center Stage
공연무대를 수직으로 3등분시의 중앙무대
통막 / Act Curtain
본무대의 맨앞에 설치되어 공연의 시작과 끝, 막간에 통째로 오르내리는 막 (본막의 일종)
평면도 / Floor Plan
무대상의 장치 배치상황을 표시하는 무대바닥 표현 도면
프롬프터 박스 / Prompter Box
공연중 배우에게 대사를 읽어주는 사람이 위치하는 공간.
하늘막 / Cyclorama Curtain
본무대의 제일 뒷부분에 늘어뜨린 막으로서 본무대와 뒷무대를 구분하며, 때로는 하늘을 표현하는데 사용(백색, 흑색막 등)
회전무대 / Revoling Stage
본무대의 중앙에 위치한 원형무대로서 하부에 설치된 축으로 회전시켜 신속한 장면전환이나 특수한 효과에 이용하는 무대
후면무대 / Up stage
본무대의 깊이를 양분했을때 관객쪽에 먼 무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