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간 배경 - 트럼프의 내면에 무엇이 있는지? - 트럼프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며, 앞으로도 비슷한 주장을 내건 정치인들이 세계 곳곳에서 분노와 좌절의 표심을 자극하여 대중에게 호소할 것 이다. - 세계흐름의 변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징검다리가 되었으면 함. * 머리말
① 왜? 미국인 상당수가 트럼프를 지지하는가? - 언론의 사전조사시,, 반대와 투표시에는,, 그를 지지하는 그 속내는 무엇인가? → 삶의 질, 일자리 ?, 백인 우월주의 ?? ② 트럼프 집권시,, 세상은 어떻게 변화 할것인가? → 자국 우선주의, 보호 무역주의 ?? 세계경제 저성장 ③ 미치광이 같이 생각없는 돌발 발언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 미국 우선주의/고립주의를 축으로 전 세계에 행사하는,,, 미국의 패권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④ 전 세계적으로 극우 바람이 거세다. - 설마 설마하던 영국의 브렉시트가 현실화 됐으며 - 트럼프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현재도 진행형이다. ⑤ 어수선하게 변화 많은 세계의 키워드는 각자도생(各自圖生)이다. - 한국도 새로운 글러벌 트랜드에 빠르게 적응해야 한다. → 나도 4차 산업혁명, 소득변화, 체력 등 시대변화/사회적 변화에 적응/재 공부해야 하겠다. |
ㅇ 특이사항
1. 트럼프의 어린시절/성격
① 심리학의 대가인 『칼 구 스타프 융』을 신봉
- 칼 구 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 스위스 정신의학자, 분석 심리학자 (出1875.7.26 卒 1961.6.6)
② 트럼프 뉴욕 태생, 出 1946.6.14(71세)
- 독일계 이민자 후손, 부동산 중견 사업자의 3남 2녀중 차남
③ 13세때 문제학생
- 13세때, 규율심한 미국학교 음악선생에게 펀치를 날려, 눈을 멍들게한 문제학생
- 부모는 강제로 뉴욕군사학교에 입학 시킴
(고등학교 과정의 사립기술학교에 사람 좀 만들어 달라고,,, 부탁하여 강제입학 시킴)
④ 고집과 천부적인 협상능력과 승부사 기질
- 부친은 트럼프를 부동산 개발현장에 자주 데리고 다님
(너는 왕이다, 적들을 깔아 뭉개고 올라 가야한다고 가르쳤다고 함)
- 첫째부인 아바나와 스키여행시, 스키에 능숙한 아내가 트럼프를 앞질러 활강하자 트럼프는 크게 화를 내며
스키를 던져버리고 자리를 떠났다고 함
- 필요에 따라 당적을 옮길만큼 전략적이다.
사업가 DNA로 무장된 자신에게 가장 이득이 되는 표지션으로 이동
⑤ 트럼프는 정치인이 아닌 사업가
- 비지니스 역량이 높고,
- 核心 파악을 잘하며,
- 經濟의 중요함을 잘 알고 있다.
⑥ 왜 언론과 불편한가?
- 워싱턴 포스트, CN,,, 등 20여곳
- 트럼프의 막말과 언론 특유의 물어 뜯기 근성으로,,
힘 겨루기 싸움, 자신만의 길을 가겠다는 입장 확고함
- 세금 납부자료 미공개, 러시아에 의문스러운 투자, 직설적인 막말과 이미 발언한 내용을 쉽게 번복
* 트럼프는 사무실에 출근하자 마자, 5개이상의 신문과 10여권이상의 잡지를 흝어보며,
- 저녁에는 3시간 정도의 명상과 독서를 한다고 함
* 믿을 수 없는 여론조사 결과
- 한국의 여론조사 방법의 한계 ① 낮은 응답률(10%이하 다수)
② 집으로 전화(응답자가 전업주부나 고령자 다수)
③ 자동응답 장치(ARS) 설문조사(응답률 낮고, 부정확)
- 미국 유명 여론조사기관,, 갤럽 - 여론조사 중단(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경마식 여론조사 포기 발표)
- 미국의 여론조사 방법의 한계 ① 낮은 응답률(14%이하)
② 작은 표본수(500~2.000)
③ 자동 응답방식(500~2.000)
④ 집 전화(속내 파악 한계)
* 구글의 빅 데이터는 트럼프 승리 예측
- 트럼프 검색수치가 힐러리보다, 매 순간 휠씬 높았다.
예) 블렉시트 경우도,,, 떠나다가 남는다보다 선거기간내내 웃돌았슴
* 1차 토론후 타임지의 온라인 설문조사,,, 트럼프 승리 높음
- 참석자 151만
- 트럼프 54%, 힐러리 46%
2. 극우 열풍에 빠진 전세계
① 미국 : 트럼프
② 필리핀 : 두테르테(디바오시 시장 → 필리핀 대통령)
- 마약과의 전쟁, 취임 60일 동안,,, 마약 용의자 2.000명 사살
③ 독일 : 반 유로, 반 이슬람을 내건 대안당
④ 이탈리아
⑤ 오스트리아 : 우파 포퓰리스트 전당(극우 성향 자유당)
⑥ 헝가리 :
⑦ 네델란드 :
⑧ 호주 :
⑨ 브라질 :
⑩ 프랑스 :
3. 트럼프는 무엇을 바꿀 것인가?
▣ 미국과 중국 관계는?
① 날로 악화되는 중국과의 무역적자
- 환율(고정환률제도)에 중국정부 관여, 중국 위안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하락시킴
- 중국 외환보유 달러를 ,,, 미국 국채에 재투자(2016.6. 1조 2408억 달러)로 상호 의존관계
② 미국인은 중국산 제품없이는 생활을 할 수 없다
- 노트북 90%, 휴대전화 75%,
- 조사 5000개 품목중,,, 825개의 중국 의존도는 50%이상, 83개는 90%이상
③ 기후변화 산업패권을 쥔 중국
- 태양광, 태양전지(태양전지 55%, 모듈 64%), 풍력, 전기차
▣ 일본과의 관계는?
- 언급내용 없음
▣ 러시아와의 관계는
① 러시아와 불편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소모되는 비용이 아깝다.
- 러시아와 반목은 돈만 버리는 실속없는 관계
- NATO 없어도 무방하다.
- 발틱 3국 공격받을시 대응은? → 국가별 분담금 등 의무이행 확인후, 행동 결정할 것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리투아니아)
② 러시아의 지역 패권 인정하나?
- 미국 중심의 이극체계가 아닌 → 다극체계 선호
- 미국은 미국살림을 우선 챙기고,, 지역분쟁은 지역에서 해결
③ 미국과 러시아 국력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벌어져 있다.
- 땅 따먹기 싸움하던, 과거의 이데올리기 전쟁은 없다.
- 인근 국가의 골목대장 노릇정도 예상,,, → (그럼, 힘 약한,, 우방국가는 ?)
▣ 한국과의 관계는?
① 주한 미군 철수
② 한국 방위분담금 인상 - 주한미군 주둔비용 약 1조원
③ 한미 FTA
④ 미국에 떠밀려, 북한 협상테이블에 앉을 수 있다.
- 한국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한 국면에 우리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신세로 전락될까하는 우려
- 대안 없는 미봉책은 북한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우려있슴
▣ 오락가락하는 대북발언
① 북한은 믿을 수 없는 집단
② 북한은 중국의 베이비,, 중국이 문제를 풀어야 한다.
▣ 필리핀은 왜, 다시 미국과 손을 잡았는가
① 필리핀 민주화 운동으로 미군 철수
- 1947년 : 군사지원협정으로 미군기지 건설,, 미국의 지원으로 필리핀의 경제성장
- 1987년 : 필리핀 민주화운동으로 새헌법 개정,, 상원의 2/3이상 동의 필요
- 1991년 : 기지협정 연장이 부결되고,, 미군 철수(1992년)
② 중국과의 영토분쟁
- 년 : 중국과의 영토분쟁, 남 중국해 『스카버러』라는 무인도
- 2014년 : 미국과의 방위협력 확대 협정으로,, 미군 주둔(공군기지 4곳, 육군부대 1곳)
▣ 세일가스에 관심많은 트럼프
① 트럼프는 왜 ? 후보 확정직후 세일가스 채굴지를 찾았나?
② 『기후변화는 날조됐다』고 부정하는 프럼프
▣ 원유 수출국가로 거듭난 미국의 에너지 파워
▣ 『기축통화,,, 달러』 포기하나?
* 기축통화국 - 국제 통화를 보유한 나라가 누리는 경제적 이익 - 2차 세계대전 前 : 영국 파운드 - 현재 : 미국 달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