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서는 북위해서, 초서는 손과정의 서풍(書風)으로 썼다. 字의 크기는 약 1.8Cm이고 7호(毫) 겸호면상필(兼毫面相筆)을 사용했다.>
논어(論語) 필사(筆寫) / 해석(解釋)
論語集註大全
논어집주대전
論語 :
공자(孔子)가 제자들이나 당시 사람들과 논란(論難: 어떤 문제에 대해서 옳고 그름을 따져 논하는 것) 하고 힐문(詰問: 잘못된 것을 따져 물음) 한 말을 제자들이 기록한 것이다.
集註 :
주자(朱子)가 서술한 주(註)를 명칭하는 것으로 송유십일가(宋儒十一家)의 주석(註釋)에서 좋은 점을 초출(抄出) 하고 논어 주소본(註疏本)에서 주(註)를 모아 자신의 학설을 덧붙여서 집주(集註)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다.
大全 :
명(明) 나라 성조(成祖)가 영락 년(永樂年) 중에 주자(朱子)의 집주(集註)를 근간(根幹)으로 하여 국가에서 발간을 한 영락대전본(永樂大全本)이다. 이 영락대전본은 명나라는 물론이고 우리나라에서도 교과서로 채택했다.
논어(論語)는 맹자(孟子)와 마찬가지로 편명(篇名)에는 뜻이 없다. 옛날 죽간을 말아놨을 때 제일 첫 번째 나온 글자 「子曰은 자주 나오므로 편명(篇名)으로 삼지 않고」그다음의 두 글자 또는 세 글자를 편명으로 삼았다. (그러나 學 자를 제일 먼저 둔 것은 공자가 배움을 먼저 거론한 뜻이 있다고 본다.)
이 편은 모두 옛날과 지금의 인물에 대한 현부(그 사람이현명함과 현명하지 않음)와 득실(잘함과 못함)을 논평하였으니 격물 궁리(사물의이치를 궁구함) 하는한가지 일이다. 모두 27장이다. 호 씨(胡寅)는 아마도 대부분 자공의 문도(門徒)가 기록한 것인듯하다.라고 말하였다.
★ 공야장(公冶長) 이하는 당시 사람들에 대한 논평이고, 공문자(孔文子) 이하는 고인(古人)에 대한 논평이다.
★ 格物窮理의 격(格)은 궁구(窮究)의 뜻이 있고, 물(物)은 사물의 이치(理致)를 말하므로 격물(사물의 이치를 궁 구함)과 궁리(이치를 궁 구함)는 같은 말인데 겹쳐서 나온다. 아마도 주자가 주를 달고 수정을 할 때 미쳐 못한 것으로 보인다.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도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뗏목을 타고 바다를 항해할 것이니 <그때에> 나를 따를 사람은 아마도 유(자로) 일 것이다.” 자로 가 그 말씀을 듣고 기뻐하니,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유가 용맹을 좋아하는 것은 나보나 나으나 취재(사리를 헤아려서 의리에 맞게 함) 하지 못한다.”
《논어 주소(註疏) 해석》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도가 행해지지 않는구나, 뗏목을 타고 바다를 항해할 것이니 나를 따를 사람은 아마도 유(자로) 일 것이다.” 자로 가 그 말씀을 듣고 기뻐하니 공자가 말씀하기 기를 “유가 용맹을 좋아하는 것은 나보다 나으나 뗏목의 재목(材木)을 취할 곳이 없구나.”
★ 한서 지리지(漢書地理志)에 안사고(顔師古)가 주(註)를 냈는데 논어에서 공자께서 “뗏목을 타고 바다로 항해(航海) 하겠다.” 또 “구이(九夷)로 가겠다.”라고 한 것은 모두 동이(東夷)로 가고자 한 것이다. 동이가 바로 고려, 조선이다.라고 이야기했다.
★ 取材에 대한 여러 해석이 있는데 「材(재목 재)」가 아니라 「裁(갈마들 재. 헤아릴 재)」로 본다.
裁 : 사리를 헤아림[裁度事理]의 뜻이다.
桴 : 부(桴)는 나무로 만든 뗏목. 벌(筏)은 대나무로 만든 뗏목. 나무로 만든 큰 뗏목을 벌(栰), 작은 뗏목을 부(桴)라고 한다.
정자(伊川)가 말하기를 바다를 항해하겠다는 탄식은 천하에 현군이 없는 것을 상심(傷心) 한 것이다. 자로는 의리를 실천하는 데에 용감(勇敢) 하였다. 그러므로 자로(其)가 자신을 따를 수 있다고 말씀하였으니 모두 가탁(假託) 한 말씀이었을 뿐이었는데 자로는 그것(以)을 실연(실제의 상황)이라고 여겨서 공자께서 자신과 함께 한 것을 기뻐한 것이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그의 용기를 칭찬하고 사리를 헤아려서 의리에 맞게 하지 못하는 것을 나무란 것이다.
[七章]
孟武伯 問 子路仁乎잇가 子曰 不知也라。
맹무백 문 자로인호잇가 자왈 부지야라。
맹무백이 묻기를 자로는 인(仁) 합니까?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그가 인한지> 모르겠다.
又問한대 子曰 由也 千乘之國에 可使治其賦也어니와 不知其仁也라。
우문한대 자왈 유야 천승지국에 가사치기부야어니와 부지기인야라。 <자로는 어떤 사람인지> 다시 물으니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유는 천승(천 대의 병거(兵車))을 낼 수 있는 제후의 나라를 유로 하여금 그 군대를 다스리게 할 수는 있어나 그가 인한지는 모르겠다.
求也 何如하니잇고 子曰 求也 千室之邑과 百乘之家에 可使爲之宰也어니와 不知其仁也라。
구야 하여하니잇고 자왈 구야 천실지읍과 백승지가에 가사위지재야어니와 부지기인야라。 구(冉有)는 어떻습니까?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염구는 천호(千戶) 되는 고을과 병거 백승(백대의 병거(兵車))을 낼 수 있는 경대부(卿大夫)의 집에서 그 수령(守令)이나 가신(家臣)은 될 수 있으나 그가 인한지는 모르겠다.
赤也 何如하니잇고 子曰 赤也 束帶立於朝하여 可使與賓客言也어니와 不知其仁也케라。
적야 하여하니잇고 자왈 적야 속대립어조하여 가사여빈객언야어니와 부지기인야케라。 적(公西赤)은 어떻습니까?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적은 속대(冠을 쓰고 띠를 맴)를 하고 조정에 서서 그로 하여금 빈객 들과 말을 하게 할 수는 있으나 그가 인한지는 모르겠다.
子路之於仁에 蓋 日月至焉者니 或在或亡하여 不能必其有無라 故 以不知告之라.
자로가 인해 대하여 하루에 한 번 인에 이르기도 하고 한 달에 한 번 이르기도 하는 사람이니 어떤 때는 인이 있고 어떤 때는 없어서 <그가> 인(其)이 있는지 없는지를 기필(期必, 단정 지음) 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알지 못한다는 것으로 말씀해주신 것이다.
옛날에는 전부(토지에 대한 부세)로써 군대를 양성하였다. 그러므로 군대를 일러 부라고 하였으니 춘추 좌전(春秋左傳)에서 “우리나라(敝) 군대를 모두 동원하였다.”라고 말한 것이 이것(賦)이다. 자로의 재능은 볼만한 것이 이와 같으나 인(仁)이라면 알 수 없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千室은 大邑이요 : 천 실은 큰 고을이고
百乘은 卿大夫之家라. : 백 승은 경대부의 집이다.
宰는 邑長家臣之通號라. : 재는 읍장과 가신을 통용하는 칭호이다.
赤은 孔子弟子니 姓公西요 字子華라. : 적은 공자 제자이니 성은 “공서”요 자는 “자화”이다.
[八章]
子謂子貢曰 女與回也 孰愈오。
자위자공왈 여여회야 숙유오。
공자가 자공에게 일러 말씀하시기를 너는 회(顔回)와 비교하면 누가 나은가?
對曰 賜也何敢望回릿까回也 聞一以知十하고 賜也 聞一以知二하노이다。
대왈 사야하감망회릿까 회야 문일이지십하고 사야 문일이지이하노이다。
대답하기를 제가 어찌 감히 안회를 바라겠습니까(안회를 비교하겠습니까). 회(안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알고, 저는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압니다.
子曰 弗如也니 吾與女의 弗如也니라。
자왈 불여야니 오여여의 불여야니라。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너는 안히만 못하다. 나는 네가 안회 만 못한 것을 인정(與) 한다.
《논어 주소(註疏) 해석》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너는 안회 만 못하다. 나와(與) 너는 안회 만 못하다.
★子謂子貢 다음에 “曰”이 있으므로 공자가 자공에게 직접 말하는 것이다.
★ 논어 주소에서『吾與女 : 나와 너는』으로 해석한 이유는 공자가 자신은 생지지자(生知之者: 태어나면서부터 이치를 아는 사람)가 아니라 추측이지(推測而知: 계속 노력해서 아는 사람)라고 했다. 자공도 역시 그런 사람이다. 그래서 나와 너는 추측이지(推測而知)인데 안회는 생지지자(生知之者)이니 너와 나는 안회 만 못하다고 이야기했다고 한다.
女 : 옛날에는 女를 “너 와 여자”의 뜻으로 통용했는데 후에에“ 氵 ”를 붙여서 “너”라는 뜻의 글자를 만들었다.
聞一以知十 : 以는 而와 통용되고, 而는 則과 통용된다. 그래서 하나를 듣고서(以) 열을 압니다.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하나를 들으면(則) 열을 안다로 해석하는 것이 순리에 맞다.
안자는 조감(照鑑:비치는 피조물) 하는 것에 대해 밝고 슬기로워서 즉시이견종(시작하는곳에 나아가면 결과를 앎. 본문의 聞一以知十) 하고, 자공은 추측이지(추측하여 앎. 본문의 聞一以知二) 하여 이것으로 인하여 저것을 알았으니 무소불열(기뻐하지않은것이 없다 .안회를 말함)과, 고왕지래(지나간것을 말해주니 올 것을 안다. 자공을 말함)의 이것이 바로 그 증거이다.
無所不說 : 선진편의「回也非助我者也, 於吾言 無所不說 : 안회는 나를 도와주는 사람이 아니다. 내가 말하는 것에 대하여 기뻐하지 않은 것(질문하는 것)이 없었다.」에서 따온 말로無所不說 이라고 하면 안회를 말한다.
告往知來 : 학이편의「賜也 始可與言詩已矣告諸往而知來者:자공은 비로소 함께 시에 대해서 토론할만하다. 지나간 것을 말해주니 올것을 아는구나.」에서 따온 말로 告往知來라고 하면 자공을 말한다.
호 씨(胡寅)가 말하기를 자공이 사람들을 비교(方) 할 때에 공자께서 이미 겨를이 없다고 말씀하였고 또 자공에게 안회와 더불어 누가 나은가를 질문해서 자공이 자신이 아는 것이 어떠한지를 살펴본 것이다.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는 것은 매우 지혜로운 자질이니 생지(生而知之: 태어나면서 이치를 앎)의 다음가는 자질이고 하나를 들으면 둘은 안다는 것은 중인 이상의 자질이니 학이지지(배워서 이치를 앎)의 자질이다. 자공이 평소에 자신을 안회와 비교해서 자신이 발돋음해도 미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분명하게 알았다. 공자께서는 자공이 자신을 아는 것이 분명하고 더욱이 자신을 굽히는데 어려워하지 않는다고 여겼다. 그러므로 이미 그렇다고 말씀하였고 또한 거듭 <안회 만 못하다고> 인정하였다. 이것이 자공이 마침내 성(性)과 천도(天道)에 대해서 들을 수 있었으며 단지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아는 데에 그칠 뿐만이 아닌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