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지명 火 의 뜻 (벌판)
音里火(음리화) - 놀 벌
音(음) - 소리, 음악, 가락, 글 읽는 소리 음신(音信), 성(姓)등.
里(리) - 마을, 거리, 주거지 등.
火(화) - 뜻은 불(火)이지만 불의 세종 전 우리말 발음은 아래아점 이고 이는 발, 벌, 볼, 불, 블,
빌 이므로 이 두문 에서는 에서는 벌 을 취함.
音里火(음리화) - 풍악 치며 놀기 좋은 벌, 놀 벌.
仇火(구화) - 짝 벌
仇(구) - 원수, 원망하다, 짝 등.
火(화) - 뜻은 불(火)이지만 불의 세종 전 우리 발음은 아래아점 이고 이는 발, 벌, 볼, 불등
이므로 이 두문 에서는 에서는 벌 을 취함.
仇火(구화) - (1) 짝 지어진 짝 벌. (2) 仇 짝은 짜개진 뜻도 있으므로 짜개진 골, 즉 짜개진
벌 > 짝 벌로도 본다.
柒巴火(칠파화) - 옷나무 벌
柒(칠) - 漆자와 同자, 옷, 옷 나무, 옷 칠 하다, 검은 칠등.
巴(파) - 땅이름 등.
火(화) - 뜻은 불(火)이지만 > 벌.
柒巴火(칠파화) - 옷나무 벌.
阿火(아화) - 구석 벌
阿(아) - 언덕, 구석, 산비탈 등.
阿火(아화) - 구석진 벌, 구석 벌.
한자 기록만 보면 고구려 백제 신라 세 나라 벌판이라고 쓴 한자가 고구려는 買 怱(매총),
召尸 怱(소시총)등 怱(총)자와 백제는 所夫里(소부리), 古良夫里(고량부리)등 夫里, 그리고
신라는 音里火(음리화), 仇火(구화)등 火자로 써 있다하여 다르므로 위 어문학자 들은 분명
말도 달랐으며 따라서 우리 민족은 다른 민족 이라고 보는 것 같다.
그러나 고구려의 모든 怱으로 써진 말과 백제의 모든 夫里, 신라의 모든 火가 그렇게 써 있다
하여 삼국인들은 실제 말도 그 한자와 같은 발음으로 했을 것 같으나 그렇지 않다.
삼국인들은 다 같은 우리말로 벌 이라 말했을 것인데, 우리글자가 없으니 그 기록을 적는 학자
는 할 수 없이 한자 이두로 쓰되 같은 나라에서도 다른 말로도 쓰듯 다르게 기록한 것이다.
그런데 어떤 학자들은 이 이두를 풀어 볼 생각은 하지 않고 글자가 다르니 말도 달랐다 하는
것은 참으로 어처구니가 없는 말이라 생각되고 또 이 말 들이 방언 이라고 한 학자의 말도
그것은 방언이 아니라 이두 쓰는 방법이 다른 것이므로 방언과는 다르다.
따라서 방언이라는 학자도 그 이두가 방언이라는 근거는 대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