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장三十六章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백성) 그들을 (성性대로) 죽게 하는 바를 일삼고자 했으며, (따라서 그는) 반드시 그들을 (명命대로) 살게 하는 바를 단단하게 했다. 이른바, 그들을 (성性대로) 연하게 하는 바를 일삼고자 했으며, (따라서) 반드시 그들을 (명命대로) 굳세게 하는 바를 단단하게 했다. 이른바, 그들을 (성性대로) 닫는 바를 일삼고자 했으며, (따라서) 반드시 그들을 (명命대로) 여는 바를 단단하게 했다. 이른바, 그들을 (성性대로) 얻는 바를 일삼고자 했으며, (따라서) 반드시 그들을 (명命대로) 주는 바를 단단하게 했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백성을 성性대로 살게 하는 바, 굳세게 하는 바, 여는 바, 주는 바를) 단단하게 하는 사람이었고, (따라서 그는 백성을 죽게 하는 바, 연하게 하는 바, 닫는 바, 얻는 바의) 겉과 속이 (명命의 모습인 무위無爲에) 단단하게 자리했고, 끝과 시작이 (성性의 모습인 무위無爲에) 차이 나지 않았다. 이것이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유위有爲에) 어슴푸레했던 (성인의) 모습이자, (무위無爲에) 밝았던 (성인의) 모습이다. (따라서 송宋나라시대, 왕안석王安石의 아들) 왕원택王元澤은 일컬었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유위有爲에 어슴푸레한 바가) 신령스러웠으며, (무위無爲에 밝은 바가) 신령스러웠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무위無爲가) 그윽했다. (따라서)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유위有爲를 문밖과 창밖으로) 엿보지 않았다. 따라서 하물며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백성이야!” (이른바, 무위無爲에) 부드럽고 연한 바는 (유위有爲에) 단단하고 굳센 바를 이긴다. (따라서) 물고기(魚; 제후와 천자天子)는 연못(淵; 無爲)을 벗어나서는 안 되며, (유위有爲에) 날카로운 나라의 기물(器; 제후와 천자의 마음)을 백성에게 내보여서는 안 된다. (따라서) 이식재李息齋는 일컬었다. “이것이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이 (자신의 유위有爲한) 마음을 잘라내고, (자신의 유위有爲한) 마음을 내버렸던 까닭이다.”
將欲殲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強之. 將欲廢之, 必固興之. 將欲取之, 必固與之. 固者, 表裡堅定, 終始不異. 是謂微明. 王元澤曰: 鬼神. 之, 幽. 將不能窺. 而況於人. 柔弱, 勝剛強. 魚, 不可脫於淵, 國之利器, 不可以示人. 李息齋曰: 此, 聖人, 制心奪情之道.
(이른바) 도(道; 性)를 머금는 제후와 천자天子는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게 (유위有爲가 어슴푸레한 바에) 이르게 된다. 도(道; 命)를 품어 안는 제후와 천자는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가 밝은 바에) 자리하게 된다. 그는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물고기”가 된다. 그는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의) “연못”(을 벗어나지 않는 바에) 이르게 된다!
函道, 可以自適. 抱道, 可以自存. 其, 如魚. 之, 自遂於淵乎!
(이른바, 제후와 천자가 무위無爲가 어렴풋한 바와 유위有爲가 밝은 바를) 기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면,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불리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된다. 이른바, (따라서 그는 자신의 이름을) 백성에게 내보이지 못하는 바를 두려워하게 된다. 따라서 도道는 (가로)막히게 된다. 따라서 천하는 그 (무위無爲가 어렴풋한 바와 유위有爲가 밝은 바를 끝점까지) 다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된다.
有倚, 有名. 唯恐不示人. 則道, 滯. 而天下, 測其窮.
(이른바, 제후와 천자가 유위有爲를 엿보는 창과) 문을 가지는 바가 없게 되면, (그는 일부러 일삼아 쏘이는) 독(毒; 有爲)을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천하는 (유위有爲를 엿보는 창과 문을 가지는 바가 없는) 제후와 천자를 (우러러) 보게 된다. 따라서 (천하는 일부러 일삼아 쏘이는 독毒을 가지는 바가 없는 바) 이것이게 된다. 따라서 (천하는 무위無爲를 엿보는 창과 문을 가지는 바가 있는 바이게 될) 따름이다.
無門, 無毒. 物, 望我. 於此. 而已.
이른바, (제후나 천자가 무위無爲를 엿보는 창과 문을 가지는 바가 있는 바) 이것이지 못한 채, (유위有爲를 엿보는 창과 문을 가지는 바가 있는 바이게 되는 바) 그것과 어우러지게 되면, 천하, 그것이 어찌 (그러한) 제후나 천자와 어우러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겠는가? ‘어찌 (그러한) 제후나 천자와 어우러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겠는가?’(라)는 (말은) 이른바 ‘천하가 어찌 (그러한 제후나 천자와 어우러지는 바로) 나아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겠는가?’(라는 뜻)이다.
不以此, 應之. 則天下, 其, 無如我. 何矣. 無如我. 何, 而天下, 奚往?
이러한 까닭에, 천하는 (늘 그러하게) 도道를 (일부러 일삼아) 죽이게 된다. 그러나 도道는 늘 그러하게 천하에 살아 있다. (따라서 제후와 천자는 늘 그러하게) 이 기물(器; 道)을 일삼아야 한다.
是故天下, 死於道. 而道, 常生天下. 用此器也.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