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다도 행다 명상 실제
(1)앉은 상태에서 자세를 바로 하여 공수·배 또는 합장하고 인사를 한다.
(2)행다 명상 시작하기(쇠종), 입정 또는 자애명상 1~3분 정도 진행한다.
▶ 이때 진행자와 함께 다 같이 소리 내어 복창한다.
나에게서 행복하고 평화롭기를~, 나에게서 고통과 괴로움이 사라지기를~. 모든 존재들이 행복하고 평화롭기를~, 모든 존재들이 고통과 괴로움이 사라지기를~.
(3)다포 걷기: 호흡은 자연스럽게 맡기고, 편안한 마음으로 마음을 비우고 집중한다. 찻상의 다포를 걷고, 접어서 좌측 퇴수기 뒤에 놓는다.
【그림 2】찻상에 다포를 덮은 모습
(4)숙우에 물 따르기: 다건을 오른손으로 집고 왼손으로 옮긴다. 우측의 탕관을 들어 올리면서 다건으로 탕관의 뚜껑을 가볍게 누르고 숙우에 적당량의 물을 맑은 소리가 나도록 천천히 가늘고 길게 일정하게 따른다. 탕관을 우측자리에 갖다 놓는다. 그리고 배꼽아래에서 공수자세로 5초 정도 머무른다. 또한 여자는 오른쪽 허벅지 위에 공수자세를 한다. 마음챙겨 알아차린다.
(5)다관 예열: 다건을 갖고 있는 왼손은 오른손 손목아래 부분에 다소곳이 갖다 대면서 오른손으로 다관 뚜껑을 개반 위에 놓는다. 몸의 움직임을 느낀다. 배꼽아래에서 공수자세로 1초 정도 머무른다. 두 손으로 숙우를 들어 적정 높이에서 맑은소리가 나도록 가늘고 길게 다관에 물을 따른다. 다음에는 숙우를 제자리에 갖다 놓고 개반 위의 다관 뚜껑을 들어 닫는다. 다관을 예열하는 중에 배꼽아래에서 공수자세로 5초 정도 머무른다. 이 순간 느낌을 알아차린다.
【그림3】숙우에 물 따르기와 다관 예열
(6)숙우에 차 우릴 물 따르기: 다건을 오른손으로 집고 왼손으로 옮기면서 우측의 탕관을 들어 올리면서 다건으로 탕관의 뚜껑을 가볍게 누르고 숙우에 적당량의 물을 가늘고 길게 맑은 소리가 나도록 천천히 따른다.
(7)탕관을 우측 제자리에 놓고, 왼손의 다건을 오른손에 옮기면서 오른손으로 숙우 옆에 다건을 놓는다. 배꼽아래에서 공수자세로 1초 정도 머무른다.
(8)찻잔 예열하기: 오른손과 왼손으로 천천히 다관을 들어 중완 앞에서 다관을 바로 한 다음 좌측 찻잔부터 예열 물을 7부 정도 따른 다음 다관을 제자리에 갖다 놓는다. 배꼽아래에서 공수자세로 5초 정도 머무른다.
(9)다관에 차 넣기: 왼손은 오른손 아래 부분에 다소곳이 갖다 대면서 오른손으로 다관의 뚜껑을 열어 천천히 개반 위에 놓은 다음, 두 손으로 차통을 들어 배꼽 앞에서 차통을 왼손에 받쳐 들고 오른손으로 뚜껑을 열어 차통있던 자리에 갖다 놓으면서 차수저를 들고 와 차통 위에 얹어 놓고 차 수저를 바로 한 다음, 다관으로 옮겨가서 차수저로 차를 두세 번 다관에 차를 넣는다.
차통을 배꼽 앞으로 가져와 차수저를 제자리에 놓은 다음 차통 뚜껑을 가져와 덮고 차통을 제자리에 갖다 놓는다. 그리고 배꼽아래에서 공수자세로 5초 정도 머무른다. 행다하는 이 순간 하나 하나 몸의 움직임을 놓치지 않고 주의를 기울여서 마음챙겨 알아차리고 관찰한다.
(10)차 우리기: 오른손으로 다건을 집고 왼손에 옮긴 후 두 손으로 숙우를 중완 앞으로 가져와 물 따르기 자세로 한다. 숙우의 물을 맑은 소리가 나도록 다관 위 적정 높이에서 천천히 물의 양을 고르게 따르며, 고르게 떨어지는 물과 그 소리를 끝까지 바라보고 알아차린다.
숙우를 중완 앞으로 가져와 바로 한 다음 제자리에 놓는다. 1초 정도 공수자세로 머무른 다음 다관의 뚜껑을 닫는다. 그리고 차를 우려지는 동안 배꼽아래에 공수자세로 5초 정도 머무른다. 이때 다건은 갖고 있는 상태이다.
(11)예열한 찻잔 물 비우기: 다건을 갖고 있는 왼손은 오른손 손목 아래 부분에 다소곳이 갖다 대면서 찻잔을 배꼽 앞으로 가져온다. 그리고 찻잔을 약간 앞으로 숙인 후 시계 반대 방향으로 1에서 10까지 마음속으로 천천히 세면서 돌린다. 찻잔을 돌리고 나면, 찻잔을 바로 하고 찻잔에 담긴 물을 퇴수기에 버린다. 찻잔이 3개이므로 이와 같은 동작을 3회 반복한다.
이때 예열하고 씻은 찻잔은 차탁 바로 위에 좌측부터 우측으로 차례로, 일렬로 찻잔 3개를 나란히 놓는다. 찻잔 3개의 예열이 끝나면 다건을 숙우 옆 제자리에 갖다 놓는다. 그리고 배꼽아래에서 공수자세로 있으면서 자연스러운 호흡으로 고르게 하면서 5초 정도 머무른다. 조용한 자세로 앉아 있으면서 생각과 판단을 하지 않고 지금 이 순간 몸과 마음의 변화를 마음챙겨 알아차리고 관찰한다.
【그림 4】찻잔 예열과 물 비우기
(12)찻물 따르기: 두 손으로 찻물이 담긴 다관을 배꼽 앞에 들고 와 찻물을 따르기 위한 자세를 한다. 왼쪽 찻잔부터 오른쪽으로 찻물을 따르는데, 그리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갖다가 다시 왼쪽 찻잔에서 오른쪽 찻잔으로 차탕이 고르도록 나누어 7~8부 정도 따른다.
다관을 배꼽 앞에서 바로 하고, 다관을 찻상 제자리에 갖다 놓는다. 그리고 두 손은 배꼽아래에서 공수자세로 5초 정도 머무른다.
【그림 5】찻물 따르기
(13)차탁 1개를 가운데로 옮겨 놓고 오른쪽 찻잔부터 차탁에 놓고 차탁을 들어 배꼽 앞에서 잠시 머무른 다음 찻상 좌측상단에 놓는다.
두 번째 찻잔은 첫째 잔 바로 옆에 놓는다. 세 번째 찻잔은 찻상 하단 가운데 내 앞에 놓는다. 1초 머무른 다음, 공수·배례한다.
(14)차 마시기: 배꼽아래에 공수자세로 3초 정도 머무른 다음, 손님에게 공손한 자세로 차를 권하고, 내 찻잔을 두 손으로 들고 와 왼손위에 찻잔을 받치고 오른손으로는 찻잔을 쥐고 ①찻잔의 따뜻한 열기와 찻잔의 질감을 느끼면서 찻잔을 천천히 올려 가슴 앞에서 잠시 멈춘다. ②탕색의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행복하고 평온한 마음으로 눈을 감는다. ③찻잔을 입술가까이 올려 차의 향기를 맡고 즐거운 마음을 갖는다. ④천천히 차 한 모금을 머금고 찻잔을 가슴 아래로 내리면서 입안의 차를 조심히 넘기며 입안의 느낌을 알아차리고 평온한 마음을 바라본다. 이어서 두 번째 차를 마시고 차의 맛이 일어남과 사라지는 것을 음미한다. 세 번째 차를 마시면서 차의 맛과 차의 기운을 느끼고 알아차리고 관찰하면서 다선일여(茶禪一如)의 마음을 바라본다.
【그림 6】손님에게 차 내고, 차 마시기
⑤찻잔을 천천히 배꼽 앞까지 내리고 배꼽 앞에서 5초 정도 머문다. 고요하고 평온한 그 마음을 관조(觀照)한다. 아주 천천히 찻잔을 차탁에 놓는다. 5초 정도 머무른다. 찻잔과 차탁을 찻물 따르기 전 제자리에 갖다 놓는다
(15)다포를 덮고 행다 명상 마무리하기: 다건을 집고 탕관을 들어 숙우에 물을 따르고 탕관을 우측 제자리에 놓는다. 숙우의 물을 찻잔에 따른 후에 시계 반대방향으로 잔을 돌려 잔을 씻은 후 찻상 좌측 상단부터 찻잔자리에 놓는다. 그리고 배꼽아래에 공수자세로 5초 정도 머무른다. 또한 여자는 오른쪽 허벅지 위에 공수자세를 하기도 한다. 그 후 마무리로 왼쪽에 놓아둔 다포를 들어 찻상에 덮는다. 그리고 공수·배례하고 행다 명상을 마친다.
행다 명상이 마치면 나에 대한 자애명상, 모든 존재에 대한 자애명상, 존경하는 분에 대한 자애명상을 3분 정도 하고 쇠종이나 죽비를 쳐서 마무리한다.
【그림 7】다포를 덮고 행다 명상 마무리하기
<차명상을 통한 몸과 마음 치유/ 유영재 능인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학과 문학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