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침의 효능
몸이 불편하여 침치료를 받을 때 의사가 어떤 치료를 행하고 있는지 환자가 알고 받는 것이 병의 회복에 도움이 될때가 많습니다. 특히 한의사에게 침이나 뜸치료를 받을 때 거부감을 가지고 침에 대한 공포심을 느낀다면 "훈침"이라 하여 안면이 창백해 지거나 , 어지럼증, 구역질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침이란 신체부위에 물리적인 자극을 주는 요법이므로 침을 맞는 사람이 느끼는 감각은 대체로 "뻐근함, 저린감,또는 팽창감"을 느끼게 되고 침을 맞는 부위에 따라서는 이러한 반응이 침을 놓는 자리에서 다른 부위로 번져나가는 듯한 느낌을 갖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동양의학에서는 "득기(기를 얻음) 행기(기가 통함)"라 하여 침이 정확한 자리(경혈)에 정확히 시술되었을 때 생기는 생리적 반응입니다. 이러한 반응이 사람몸에 어떤 영향을 미쳐서 어떤 질병이 개선되는 지는 지금도 동서양의 많은 의학지들이 연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만 대체적으로 밝혀진 침의 효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화기 계통에 주는 영향
위나 장의 운동에 영향을 주고 위액 및 소화액의 분비를 증강 또는 감소시키며 쓸개를 수축 위완하여 담즙의 분비량을 조절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위무력증, 위산과다, 위궤양, 담낭염(쓸개염증)에 보조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혈액 순환계통에 주는 영향
염증에 관여하는 백혈구(흰색 피)를 조혈 빈혈에 관여되는 적혈구(붉은 피톨)헤모그로빈의 조절과 심장운동에 영향을 주는 것이 심전도계에 의해 증명되어 고혈압과 저혈압의 조절기능이 가능하므로 신체부위의 염증이나 심장병, 고혈압, 저혈압의 보조조절 기능을 기대 할 수 있습니다.
*호흡, 비뇨기계에 주는 영향
호흡기와 비뇨기 계통의 몸속의 기체대사, 물질대사의 노폐물을 까스나 액체상태로 우리몸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가지는 계통으로 침으로 호흡 배설중추를 흥분시켜 배설을 유도함이 밝혀져 구급치료에 응용하고 항이뇨작용을 유발하여 콩팥을 쉬게 할 수도 있으며, 신장기능을 항진시켜 신부전증을 개선시키는 보조치료 기능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내분비계통에 주는 영향
특히 뇌하수체 Hormon이나 부신피질 Hormon(ACTH)과 기능을 향진시키므로 건강회복과 면역능력이 향상되고 갑상선 기능항진증 환자의 경우에는 갑상선 종을 삭이고 기초대사량을 저하시켜 균형을 잡게 할 뿐만 아니라 성 Hormon의 분비증가로 불임치료가 가능한 반면 불임 시킬 수도 있습니다.
*침이 관절 및 신경계에 주는 영향은 대단해서 침치료의 대부분이 이 영역에 속합니다.
운동마비나 지각마비, 통증의 진정 효과가 좋으므로 중풍, 팔다리마비, 안면마비등 일체의 관절질환과 염좌(삔 것)는 물론 두통에서 치통까지 주치료법으로 침이 응용됩니다. 이상을 요약해 보면 천태만상의 다양한 질병에 침치료의 운용범위가 주치료법으로 쓰일 수 있는 질병과 보조치료법으로 쓰일 수 있는 질병 범위가 분명하므로 의사의 현명한 치료법 선택이 질병치료의 기간 단축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