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려면~
금강경(2)
<옮긴이 법무사 김형학>
자~
善現起請分 第二에 들어가 볼까요?
이 부분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의무생활 중 마지막,
즉 자리를 펴고 앉으신 부분이죠.
그런데 그 앉아있는 모습을 보고
수보리는
진리의 파도를 일으킨답니다.
그리고 이는 후세의 중생들을
일깨워주는 자비 방편이 되었지요.
그때 長老 수보리가~
대중 속에 있다가 일어나서
가사를 오른 쪽 어깨가 드러나도록
걸치고
오른 무릎을 땅에 꿇고는 합장하고
공경히 부처님께 사뢰었답니다.
’훌륭하십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보살들은 잘 염려하여
보살펴 주시고
보살들을 잘 가르쳐 주셨습니다.
세존이시여,
보살이 가장 올바른 깨달음을~
이루고자 한다면,
응당히 무엇을 원해야 하며,
어떻게 닦아야 하며,
또 그 중생심이 행여 일어난다면~
(衆生心-어리석음-貪瞋痴 중 치)
어떻게 그 마음을 억눌러서
항복시켜야 합니까?
부처님이 말씀하시되,
‘좋은 말이다.~ 참으로 좋은 말이다.~
수보리야,
네 말과 같이 여래는~
보살들을 잘 염려하여 보살펴 주시고
보살들을 잘 가르쳐 주시니
자세히 들어라~
말해 주리라.~
善남자, 善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려면~
이와 같이 원하여야 하며
이렇게
그 중생의 마음을 없애 버려야 된다.’
‘예, 세존이시여,
자세히 듣고자 합니다.’
時, 長老須菩提 在大衆中
卽從座起 偏祖右肩
右膝著地 合掌恭敬 而白佛言
希有世尊 如來
善護念諸菩薩 善付囑諸菩薩
世尊 善男子善女人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應云何柱 云何降伏其心
佛言 善哉善哉 須菩提 如汝所說
如來善護念諸菩薩 善付囑諸菩薩
汝今諸聽 當爲汝說
善男子善女人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應如是住 如是降伏其心 唯然 世尊 願樂欲聞
-See You Again-
<옮긴이 법무사 김형학>
## 아뇩다라삼막삼보리를
이룬 분은 부처이랍니다.
<옮긴이 법무사 김형학>
자~
아뇩다라삼먁삼보리 란?~
복덕과 지혜의 완성을 모두 이룬 것을
말한답니다.
자~
# 우담바라와 以心傳心~
☀ 長老라는 말속에는 여러 의미가
담기어져 있지요.
점잖다는 뜻도 있고요.
壽命이 길다는 뜻도 있답니다.
原語의 의미도~
‘긴 수명을 가진 자’란 뜻인데요.
여러 가지 經驗이나 德이 높다는
말이랍니다.
현장은 이를 具壽로 옮겼답니다.
오늘날 이 말이 기독교에서 쓰이지만
원래 이 말은 불교 用語이었지요.
인도는 열대 또는 아열대 지방이라
보통 옷을 몸에 두른답니다.
그런데
외출한다거나 법당에 간다든지~
윗 스님에게 공경을 표할 때는
오른쪽 어깨를 벗는답니다.
이를 偏肩服이라 하지요.
한쪽어깨만 벗는 게 편견복 이고,
양쪽 어깨 다 벗는 것이 通肩 服이랍니다.
흔히 불상을 보면~
어깨에 간편하게 가사를 걸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오른쪽 어깨를 내놓고~
오른 무릎을 땅에 꿇고 합장하는 것이
본래 인도의 예법이지요.
따라서
대중 속에 있던 수보리가
오른 어깨를 벗는다는 말을~
이해할 수 있답니다.
수보리의 행위~
즉 자리에서 일어나서,
오른쪽 어깨를 드러 내놓고
오른 무릎을 끓은 다음, 합장하고,
공경히 여쭙는~
이 다섯 가지를 弟子五禮라고 하지요.
당시로서는 최고의 예법이었답니다.
요즈음은
합장을 ‘마음을 合 한다.’ 로 설명하지요.
또 다른 설명은 손을 합하면
연꽃봉오리 같다고 하여~
‘연꽃을 뜻한다.’ 라고 한답니다.
따라서
合掌은 두 손으로 연꽃을 만들어서
부처님께 올리는 정성이지요.
希有라는 말은~
‘드물게 있다.’
즉 대단히 훌륭하다. 란 뜻이랍니다.
인도에
‘필발라’라는 傳說的인 꽃이 있는데,
‘신령스럽고 상서롭다.’ 하여
靈瑞花 라고 번역한답니다.
그 꽃은 3천년 만에 한 번씩 핀다는
전설의 꽃이랍니다.~
우담바라, 필발라, 靈瑞華는같은 말이죠.
그토록 稀貴하고 드물기 때문에
稀有花라고 한답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乞食에서 돌아와 食事하시고
아무 말씀도 안 하시고~
일상생활로서
자리를 펴고 앉아 계시는데,
수보리가 일어나서
‘훌륭하십니다. 라고 말한다.
참으로 뜻밖의 이야기이다.~
무엇을 보고 훌륭하다고 하는가?
이미 우리는
부처님이 정해진 대로 걸식하고
다시 자리를 펴고 앉으신 일이~
말 없는 설법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것이지요.
이 심오한 이치를~
수보리는 간파한 것이지요.
이것이 以心傳心이랍니다.~
자~
금강경은 반야바라밀 般若波羅蜜이지요.
두 분이 만나서
반야 바라밀이란 대화를 하는데~
마음이 통해야 하지 않겠는가?
자~
’여래‘는 부처님의 十號 중 하나이지요.
(號-부르짖을 호)
빠일리語 多陀阿伽度(tathagata)의
번역인데,
’아무런 걸림이 없이 온 분‘~
眞如의 모습 그대로 왔다는 뜻이랍니다.
자~
얼음이나 물, 구름이나 비는
☀결국 ’물‘ 자체이듯이~
변하되 불변인 것, 거짓이 아닌 진실,
즉 ’깨달음‘이지요.
자~ 그러면 여래가 무엇하러
우리 앞에 나타났는가?
우리를 敎化 해주시기 위해서이지요.~
여래는
보살들을 염려하여 보호하여주고
보살들을 잘 보살펴 준다고 했답니다.
보살들을
付囑 한다는 것은 當付한다는 말이지요.
(囑-부탁할 촉)(付-줄 부)
당부는 곧 가르침이랍니다.~
☀보살피는 것은 現在的인 것이고,
당부는 未來的인 것이지요.
미래에 다가오는 세월에
어떻게 하라는 것을 가르치는 것을~
보통 당부한다고 한답니다.
부촉의 대표적인 경우가 유언이고요.~
호념은 보살피는 것이고,
부촉은 가르쳐주는 것이랍니다.
자~
# 아뇩다라삼먁삼보리
Anuttarasamyak sabodhi는 무엇인가요?
善남자 善여인도 내내 보살이고요.
아뇩다라삼먁삼보리
Anuttarasamyak sabodhi는
범어의 소리 번역이랍니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간단하게 말하면 菩提心이지요.
구체적으로 말하면
發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이랍니다.
금강경에는 이 말이 굉장히 많이 나오는데요.
阿(언덕 아)는 없을 無字의 뜻이지요.
또 뇩다라는 위(上)를 뜻한답니다.
’아‘자 밑에 있는 ’뇩‘은 본래 ’누‘다.
글자도 누 字고~
범어도 아누다라삼먁삼보리이지요.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인지 모르지만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고 읽는답니다.
☀둘 다 범어지요.
아뇩다라는 無上이고요.~
삼은 바를 正, 먁은 평등할 等,
삼은 또 正, 보리는 깨달을 覺인데요.
이를
모두 합하면 無上正等正覺 이지요.
자~
無上은 가장 높다.
가장 높은 깨달음이라는 뜻이랍니다.
正等은 가장 평등하고
가장 올바른 깨달음이고요.~
이것을
한마디로 말하면 成佛이랍니다.
성불하여 부처님 된 것이
바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는 것
이랍니다.
무상정등정각을~
’타인의 깨달음과 행복‘으로 돌리는 것이
보살행이죠.
소승과 대승의 궁극적인 구분 근거가 바로
’보살‘이라는 새로운 개념이랍니다.
부처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룬 분이죠.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단순히 모르는 것을 하나 알게 된
그런 깨달음이 아니라,
복덕과 지혜의 완성을 모두 이룬 것을
말한답니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낸다 했을 때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고자 하는
마음을 냈다는 뜻이랍니다.
자~
☀보살은 누구인가?
보디사뜨와 bodhisattva의 音譯이
보리살타이며~
이 말이 줄어 보살이 된 것이랍니다.
보살은 ’깨달음을 추구하는 존재‘이지요.~
보살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보리심을 내는 것 發菩提心 이랍니다.
이런 깨달음의 마음을 내는 이가
참다운 보살이지요.
보리심을 다른 말로 표현하면
道를 구하는 마음, 즉 求道心인데요.
구도심이란~ 내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고자 하는
마음이랍니다.
그런 구도심을 일으킨 사람이
보살이죠.
대승불교가 정착되자
보살이라는 개념이~
깨달음을 추구하는 존재에서
‘깨달음을 이미 성취했으나
일체 중생의 성취를 위해서
중생으로
남아 있는 존재로 까지 발전하였답니다.
구도자로서의 보살뿐만 아니라~
불신이 보살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하지요.
자~
내용은 佛身인데 부처님의 몸이고요.
부처님의 몸이 보살로 나타나는 경우이고
신앙대상으로서의 보살이랍니다.
자~
부처심이 대지 보살로 나타나면~
그게 문수보살이 되고,
대행 보살로 나타나면~
그게 보현보살이 된답니다.
대원 보살로 나타나면~
지장보살이고,
대비보살로 나타나면~
그게 관세음보살이지요.
이와 같이
부처님 형태로서의 보살이 있고
구도자로서의 보살이 있답니다.
여기에서 보살은~
구도자로서의 보살을 말하지요.
금강경에서는~
깨어있는 삶을 살고자 하는 사람을
보살이라고 이야기한답니다.
자~
## 세 가지를 물었다. 그것은 무엇?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낸
다음에는~
어떻게 머물러야 되며 -應云住-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시켜야 하는가?
-云何降伏其心?
자~
머문다는 말이 무슨 뜻인가?
금강경의 漢譯 本은 보통 여섯 개를
꼽는답니다. (本-밑 본)
구마라습 本은 서기 402년에 번역한
것이고요.
나머지는 그 후에 菩提流支(505년),
진제(499~569), 급다(590), 현장(622~664),
의정(635~713)이 번역했답니다.
그런데
구마라습 말고 다른 본에는
云何修行이라는 한마디가 또 있지요.
자~
이 세 가지를
수보리가 부처님한테 물었답니다.
’구도심을 일으킨 사람은 云何住이며
운하수행이며 운하항복기심 입니까?
이를 줄여서 住, 修, 降이라고 하지요.
보살에게는 주, 수, 항 세 가지 문제가
있는 것이지요.
보살이 불법을 배우는 목적은~
결국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깨달아 얻으려는 것이기 때문에
구도심을 일으켰을 때~
住, 修, 降의 세 가지 과제를 풀어야
한답니다.
즉 불법을 배우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항상 마음이 한곳에 머물러야 하고~
마음을 한 곳에 모으기 위해서는
부단한 수행이 있어야 한답니다.
그러나
그 일이 뜻대로 되지 않는 폐단을
막기 위해서는~
마음을 항복시키는 법을 알아야 한답니다.
첫 번째 과제는~
어떻게 머무는가 云何住이지요.
☀이 住字가 금강경에서는
세 가지 뜻으로 쓰인답니다.
그 첫 번째는~
원할 願, 두 번째는 행할 行,
세 번째는 執着한다는 의미이지요.
여기에서 應云何住는~
첫 번째 의미인 원할 願을 말하고요.
머무른다 (住)는 것은 원하는 것이랍니다.
자~
그러면 어떻게 머물러야 하느냐?
‘마음이 콩밭에 머문다.’ 말이 있는데요.~
콩만을 마음으로 원한다는 뜻이지요
공부하는 학생이~
몸은 교실에 있어도 마음이 다른 데에
가 있다면, 그 쪽만 생각하는 것이고요.
그러니까
골똘히 원하는 것, 생각하는 것,~
그것을 ’머문다‘고 한답니다.
應은 ’응당히‘ ’마땅히‘이고,~
云何는 ’어떻게‘ ’무엇을‘이지요.
구도심을 일으킨 보살은
무엇을 원해야 하나? 라는 말이랍니다.
자~
☀ 대부분의 중생들은
富者가 되고 싶어 하지요.
출세하고 싶어 하고요.
여자들은
사랑받고 인정받기를 원하기도 하지요.
부자가 되고, 출세하고, 화목하고, 건강하고,
그런 것이 중생이 원하는 것이지요.
그것만 갖고는
분명히 보살이 될 수 없겠지요.~
자~ 그렇다면
보리심을 일으킨 보살은
무엇을 원해야 하는가?
보살은 어떻게 살아야 할까?
보살에게 문득 문득 중생심이 일어날 때
☀그걸 어떻게 解決하고 어떻게 비울까?
자~
여기서 말하는 主題가 바로 이것이랍니다.
住가 두 번째 뜻인 실천 行의 의미로
쓰인 경우는,
금강경 ’마음 닦는 법 妙行無住分 第四에
보살 但應如所敎住‘라는 말이 나오는데,
‘다만 응당히 가르친 바와 같이
머물러라’란 뜻이랍니다.
여기에서의 머무름은~
實行이니
‘가르친 바와 같이 行하라’~
는 뜻이 되지요.
住가 집착의 의미로 쓰인 경우는~
그 다음 所謂不住色布施(보시)
不住聲香味觸法布施(보시)란 말과
관계가 있답니다.
不住色은~
‘色(현상)에 집착하지 아니하고
보시하며’란 말이고요.
또 성향비촉법에 집착하지 아니하고
보시布施하란 말이지요.
두 번째 문제는 어떻게 닦아가야 하는가?
云何修行인데요.~
이는 ‘원하는 것이 分明 하다면
修行은 어떻게 해야 하느냐? 라는 말이지요.
원하는 게 있으면 닦는 것이 있어야
하는 법이랍니다.
☀세 번째 문제는
어떻게 마음을 항복시켜야 하는가?
(云何降伏其心)
마음에는~
찟따 citta(心)와 마노 mano(意)
라는 두 불교 용어가 있는데요.
☀心은 우리의 생각 一般을 뜻하고요.
色의 相對的 개념이랍니다.
☀意는~
주관적 감각기관인 眼耳鼻舌身意 六根 중
마지막 여섯 번째인 意根이나 意處를
말한답니다.
이 의근이나 의처가~
그 객관적으로 감지되는 意根의 대상인
☀ 法 dharma을~
만나서 생겨나고 사라지고 하는
여러 思考 작용들을 心이라 한답니다.
降伏은~
마음이나 생각을 잘 움켜잡아서
엉뚱한 방향으로~
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지요.
☀ 바꾸어 말하면
항복은~
’없애버린다‘, ’비어 버린다.‘는 말이지요.
상대편을 항복시키면
상대가 없어진 것이고요.
항복을 못 시키면
상대가 살아 있는 것이지요.
따라서 항복은~
마음을 없애는 것, 비어버리는 것이지요.
자~
☀ 문제는 그 마음이지요.
그것은 항복시켜야 할 마음이므로
좋지 않은 마음이며~
보리심을~
일으키기 전 중생의 마음이지요.
☀금강경에서는 중생의 마음을~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으로
표현했답니다.
따라서
보리심을 일으킨 보살임에도
불구하고
가끔 중생심이 일어나는데,
그 중생심을~
어떻게 비우며 어떻게 없애는지를
물은 것이랍니다.
즉, 무엇을 원해야 하며,
어떻게 닦아야 하고,
어떻게 중생심을 억눌러서
항복시켜야 하는가?
자~
이것이 住, 修, 降 三問이랍니다.
☀ 금강경의 대화는
이 三問을 통해서
부처님이 대답한 것이지요.
이 구마라습의 譯(통변할 역)에서는
두 가지만 말하고 한가지는 뺏는데요.
云何修行이 빠지고 바로 降伏이 나왔어요.
이것은 아주 큰 差異이랍니다.~
그러나
그냥 하나가 그 안에 들어있다고
생각하면 된답니다.
수보리의 물음은 두 가지이지만~
사실은
세 가지를 물은 것으로 보면 되지요.
자~
이 말을 듣고 부처님이 善哉善哉라고
(哉-어조사 재)
말씀하셨지요.
옛날에는 이 말을 ’착하고 착하다‘라고
번역했답니다.
그런데 ’좋은 말이다. 참으로 좋은 말이다‘
라고 번역하는 것이 더 가깝지요.
왜냐하면
어른들에게는 ’착하다‘라고 하지 않지요.
哉는 어조사이므로~
’참 좋은 말이다‘라고 해도 되고,
’좋은 뜻이다’라고 해도 되고
‘좋은 말이다.’라고 해도 상관없지요.
汝今諦聽에서
‘聽’은 능동적으로 내가 들을 때만~
쓰는 말이고요.
如是我聞에서
聞은~
‘듣는다’가 아니라‘ 들린다’는 뜻이랍니다.
그것은~
들린 대로 들었다는 것이지요.
그러나 ‘聽’은~
내가 애써 주관적으로 파악하고
능동적으로 발심하여 들어야 하는 것~
이랍니다.
☀‘諦는 부사로서 (諦-살필 제, 진실, 깨달음)
’자세히‘, ’명료하게‘라는 뜻이지요.
듣되 진리를 깨달을 수 있도록
들으라는 것이지요.
唯然이라는 말에서 然은 어조사이고
唯는 ’예‘ 라는 말이랍니다.
願樂欲聞(원요욕문)은~ (聞-들을 문)
’자세히 듣고자 하나이다‘란 뜻인데요.
여기에서 ’聞‘으로 쓴 이유는~
진리는 들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지요.
이렇게 해서
비로소 대화가 시작된답니다.
자~ 지금 우리들은
선거가 있거나 정권이 바뀔 때마다~
국민들은 이번에는
제대로 하겠지~ 기대를 하다가
이내 실망으로 바뀌곤 하지요.
대학교수, 연구소장, 장관, 국회의원 등
남들은 하나도 하기 어려운 직업을
두루 거친 어느 유명인사가
그 중에 제일은
국회의원이더라는 말을 했다고 한답니다.
대접받고 권한은 있으되 말에 책임은
없으니
이 보다 더 좋은 직업이 어디 있겠는가?
그러나~
市場은 상품의 品質과 價格 논리를 따를 뿐
거짓말을 하지 않아요.~
음식이 맛이 있으면~
손님들이 차례가 올 때까지
줄을 서서 기다리죠.
좋은 품질의 제품은~
다소 비싸더라도 소비자가 선택하고요.
금융시장도 마찬가지이지요.
얼마 전 달러가치가 하락하여
상대적으로~
유로화나 엔화 가치가 상승하였는데
유독~
원화 가치만 더 하락하였답니다.
정상적인 금융경제이론으로는
맞지 않는 현상이 일어난 것이지요.
그러나 현장에 있는 사람은 이미
눈치를 채고 있었답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문제로~
세계 경제 여건이 좋지 않은데
우리나라는
성장을 지향하는 정권이 들어섰었지요.
그러나 당연히 쓸 만한 정책 수단이
그리 많지 않았지요.
경제성장 율의 17%나 차지한다는
건설경기 활성화는
자칫 잘못하면
부동산가격을 자극할 수 있으니
함부로 쓸 수가 없는 것이고요.
남은 것은 수출을 많이 하도록 하는
길 뿐이랍니다.
그러니 환율의 방향성은~
예정된 수순이나 마찬가지이지요.
우리나라 주식에 투자하고 있는
외국인들은 주가가 안 움직인다 해도
앉아서 몇십 % 손해를 보게 되어
있으니
주식을 팔지 않을 수 없지요.
株價는 下落하고
원화 환율은 상승(원화 가치 하락)하게 되지요.
이는 가뜩이나
곡물 및 원유 등의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마당에
불난 데에 부채질하는 꼴이 되고 말지요.
결과적으로
국내 물가는 폭등하게 되고
그 원망은 정부로 돌아가게 마련이지요.
당혹한 정부가 물가안정 정책으로
급선회하여
외환시장에 개입하게 되면
환율은 떨어지겠지만~
불안한 외국인 투자자들은
투자 자금을 회수하게 되고~
자금이탈이 일어난답니다.
다시 또 주가는 하락하게 되고
부동산 가격하락과 더불어 이와 같은
자산 가격의 폭락은 소비를 위축시키며
이는 생산감소와 기업의 투자위축으로
연결되어
성장 잠재력 악화 등의 악순환을~
가져온답니다.
자~
☀그러면 어떻게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
나갈 수 있겠는가?
성장을 위해 환율을~
인위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나
물가를 위해
환율을 억지로 끌어내리는 것이나
모두 反 市場的 이고 위험한 정책이기는
마찬가지이지요.
글로벌 시대에 法相에 가득 차서
과거의 기준으로만
판단해서는 안 된답니다.
자~
☀정치나 경제나 경영이나 모든 것이
타이밍의 예술이지요.~
정책의 선택도~
완급조절과 때가 있는 법이랍니다.
☀장사는~
실제로 몸을 움직여 가면서
기억하는 일이랍니다.
미라이 공업의 야마다 사장은 말한다.
현장에서 배워라.~
국가도 기업도
몸으로 배우는 경험을 통해~
그 미래가 결정되는 것이지요.
-See You Again-
<옮긴이 법무사 김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