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러시아의 산업 개발 전략 승인으로 2030년까지 건축자재 시장의 지속 성장 예상 -
- 소매상 형태로 접근 시도하는 러시아 시장 트렌드에 따라 기업 지사 및 법인 설립 고려 요망 -

자료원: yandex.ru
□ 러시아 건축자재 시장 개요
ㅇ 2014년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건설 및 마감 자재 소매 시장규모가 2017년 상반기 1조4000억 루블을 기록하며, 2016년 대비1.8%의 성장률을 보임. - 2017년 최근 모스크바 건설 기본 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며 그중 압연금속(17.8%), 철 콘크리트(7.96%), 목제품(7.5%)이 가장 큰 증가율을 보임.
- 2014년 크라스노야르스크 동계 유니버시아드, 2017년 피파 월드컵 등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케르치 해협을 가로지르는 다리 등 중요한 시설물들을 건설하며 러시아 건설 시장 발전에 큰 기여
2005~2017년 러시아 건축 및 마감자재 소매 무역 동향

자료원: Marketing Agency INFOLine
ㅇ 러시아 건축자재 시장 트렌드는 소비자에게 접근성이 높은 소매점 설립 - 러시아 소매 체인업체들 간의 경쟁 강화는 주택단지 부근에 소매상 형태의 지점을 내는 등의 형태로 나타남.
- 2017년 12월 Leroy Merlin사는 '소비자에게 더 가까워지는 것'을 목표로 러시아 내 아울렛 개발 계획을 발표하며, 2018년 2월 모스크바 스콜콥스키 주거 지역에 'Leroy Merlin Apartment' 형태의 소매점 개발 시작
- OBI사는 전통적인 대형매장 개발을 고수하며, 러시아 하이퍼마켓을 수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시작해 360억 루블 매출로 2017년 말 건축 및 마감자재 소매 부문 3위를 차지(2021년까지 26개의 하이퍼마켓 개조 계획 중)
- 2017년 378억 루블의 매출을 기록한 STD Petrovich사는 건설 부지 개발을 거부하고 2014년 혁신적인 형태의 하이퍼마켓을 개발해 2017년 7개의 매장 소유
러시아 건축 및 마감 자재 소매업체 TOP10

자료원: Marketing Agency INFOLine
□ 러시아 건축자재 시장 수입 개요
ㅇ HS Code 730890은 완성되거나 미완성인 금속으로 만든 구조물과 구조물의 부분품을 포함 - 그 외 평판압연제품을 구조물용으로 조제한 부분품, 개별로 압연한 봉을 함께 꼬아서 만든 제품 등이 있음.
ㅇ DISCOVERY Researach Group의 조사에 따르면 2017년 러시아 건축자재 시장규모는 434만1000톤 - 금속 구조물 및 알루미늄 부문 시장규모는 3억6000만 달러(6만3000톤)
- 철강 구조물 및 철강 부품 시장규모는 53억 달러(430만 톤)
- 러시아 최대 금속 구조물 및 알루미늄 부문 최대 생산지역은 깔루가 지역, 철강 구조물 및 철강 부품은 최대 생산 지역은 모스크바로 나타남.
ㅇ 2017년 러시아 금속 구조물을 포함한 건축자재 수입량은 8만4420톤으로 전년 대비 성장률 14.9%로 상승세 - 2017년 러시아 금속 구조물 및 알루미늄 부문 최대 수입업체는 JOSEF GARTNER GMBH, 철강 구조물 및 철강 부품의 최대 수출업체는 PERI GMBH
- 전문가들에 따르면 러시아 경제의 불황에도 러시아 금속 구조물 시장은 호황일 것으로 추측하며, 2018년 예상 규모는 431만2600톤으로 1.7% 성장, 2020년 2%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
ㅇ 러시아 수입국 중 한국이 눈에 띄는 성장률(262.38%)을 보이며 9.94%의 점유율로 2위를 차지
- 독일이 2017년 8100만 달러의 수입액을 기록했으며, 2015~2017년 꾸준히 1위를 유지
- 그 외 중국(9.79%), 벨라루스(8.90%), 폴란드(7.44%) 순으로 미미한 차이의 점유율을 보임.
러시아 철강 구조물 국가별 수입동향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가 | 2015 | 2016 | 2017 | 2017 점유율 | 성장률
|
- | 전 세계 | 383 | 327 | 446 | 100.00 | 36.34 |
1 | 독일 | 82 | 65 | 81 | 18.34 | 25.33 |
2 | 대한민국 | 28 | 12 | 44 | 9.94 | 262.38 |
3 | 중국 | 33 | 24 | 43 | 9.79 | 76.51 |
4 | 벨라루스 | 46 | 25 | 39 | 8.90 | 54.08 |
5 | 폴란드 | 23 | 21 | 33 | 7.44 | 58.05 |
6 | 우크라이나 | 31 | 17 | 22 | 5.01 | 29.02 |
7 | 네덜란드 | 7 | 18 | 20 | 4.61 | 9.42 |
8 | 이탈리아 | 19 | 31 | 18 | 4.06 | - 41.95 |
9 | 프랑스 | 6 | 5 | 12 | 2.83 | 123.87 |
10 | 에스토니아 | 1 | 1 | 12 | 2.81 | 606.32 |
자료원: WTA, 러시아 관세청
ㅇ 러시아 주요 수출국은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CIS 국가들이 대부분 상위권을 차지
- 러시아 대벨라루스 수출 점유율이 40.15%를 차지하며, 2015년 동기 대비 약 30% 증가율을 보임.
러시아 건축자재 국가별 수출동향
(단위: 달러, %)
국가 | 2015 | 2016 | 2017 | 점유율 | 성장률 |
2015 | 2016 | 2017 |
전 세계 | 432,430,350 | 309,624,975 | 328,174,900 | 100.00 | 100.00 | 100.00 | 5.99 |
벨라루스 | 45,399,640 | 76,670,612 | 131,770,963 | 10.50 | 24.76 | 40.15 | 71.87 |
카자흐스탄 | 132,991,520 | 69,375,744 | 85,768,943 | 30.75 | 22.41 | 26.14 | 23.63 |
프랑스 | 2,361 | 22,975,199 | 20,407,930 | 0.00 | 7.42 | 6.22 | - 11.17 |
인도 | 1,285,307 | 1,295,825 | 18,004,311 | 0.30 | 0.42 | 5.49 | 1,289.41 |
우즈베키스탄 | 23,690,138 | 24,735,295 | 10,750,186 | 5.48 | 7.99 | 3.28 | - 56.54 |
핀란드 | 6,761,058 | 11,616,906 | 8,726,037 | 1.56 | 3.75 | 2.66 | - 24.89 |
타지키스탄 | 761,121 | 2,653,309 | 6,898,729 | 0.18 | 0.86 | 2.10 | 160.00 |
아제르바이잔 | 5,286,713 | 3,974,355 | 5,647,186 | 1.22 | 1.28 | 1.72 | 42.09 |
우크라이나 | 2,085,122 | 2,099,610 | 5,360,487 | 0.48 | 0.68 | 1.63 | 155.31 |
자료원: GTA
□ 관세, 인증, 유통 정보
ㅇ 일반적으로 러시아 내 VAT는 18% 부과됨.
ㅇ 건축 및 마감재는 러시아 정부가 2009년 12월 1일 결의안 제982호에서 승인한 필수 인증 대상 제품 목록에 포함되지 않으므로,제품의 안전성이 확인된 인증서 또는 적합성 선언서가 요구됨. -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상품의 주요 특성을 확인하는 자발적 인증서 발급 가능
자료원: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종합
ㅇ 2017년 EEU(유라시아 경제 연합)의 회원국이 아닌 국가들의 부순돌, 자갈 및 석재에 대한 수입 허가서 도입 - 2020~2030년 건축자재 산업 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계획 승인
ㅇ 주로 수입업체들이 직접 대형마트나 건축자재를 취급하는 상점으로 유통
ㅇ 건축자재들을 수입업체로부터 도소매업체로 각각 유통하는 현지 유통업체들이 존재
러시아 유통구조도
자료원: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종합
러시아 인증 지원 기관
기관 | 전화번호 |
Sercons 한국지사 | 02-544-0233 |
GSI(범세검정) | 02-2038-8188/8288 |
Quantum Group | +7 (495) 933 85 50 |
Gost | +7 (812) 317 00 38 |
자료원: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종합
러시아 주요 철강재 수입업체
업체명 | Exxon Neftegas Limited |
주소 | ul. Sakhalinskaya, 28, Yuzhno-Sakhalinsk,693000, Russian Federation |
전화번호 | +7 (424) 267 70 00 |
팩스 번호 | +7 (424) 267 72 00 |
E-mail | Enl.russian.content@exxonmobil.com |
웹사이트 | https://www.sakhalin-1.com/ |
업체명 | LLC "Hörmann Russia" |
주소 | 196626, the city of St. Petersburg. Shushary, Dep. Badaevskoe, 5, lit. A |
전화번호 | +7 (812) 702 44 24 |
팩스 번호 | - |
E-mail | Info@hoermann.ru |
웹사이트 | https://www.hoermann.ru/ |
업체명 | OOO "VELESSTROY" |
주소 | Russia, 125047, Moscow, ul. 2-ya Tverskaya-Yamskaya, 10 |
전화번호 | +7 (495) 276 06 83 |
팩스 번호 | +7 (495) 956 62 14 |
E-mail | info@velesstroy.com |
웹사이트 | http://www.velesstroy.com/ |
자료원: KOTRA모스크바 무역관 종합
□ 시사점
ㅇ Leroy Merlin, OBI, Petrovich와 같은 러시아 건축 및 마감자재 주 업체들의 하이퍼마켓에 대한 투자 또는 소매상 건설에 대한 관심에 주목할 것
- 소비자들이 쉽게 접근 가능한 주거 지역 또는 유동인구가 많은 대형마트 등에 투자 고려
ㅇ 러시아 건축자재 시장은 정부 차원의 건축자재 산업 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계획 승인에 따라 2030년까지 성장할 전망
- 2017년 대부분의 수출을 CIS 국가가 차지하고 있으나 EEU 회원국 외 국가들의 수입 허가서를 도입함에 따라 다양한 성장 가능성을 가짐.
- 현재 금속 및 철강 구조물 시장규모가 상승함에 따라 한국 기업의 현지 투자 진출 고려 필요
ㅇ 현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압연금속, 철 콘크리트 등의 건설 기본 자재의 가격이 증가하는 동시에 천연사 및 벽돌 가격은 눈에 띄게 하락
- 천연재가 아닌 금속 및 철강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금속구조물, 알루미늄, 철강 부품 등의 최대 생산지인 깔루가, 모스크바에 대한 관심 요망
전시회명
전시회명 | MosBuild |
품목 | 건축자재: 배관 및 세라믹 타일, 문, 자물쇠, 전구 및 가전제품, 벽지, 커튼 및 블라인드, 바닥 및 계단, 창문, 천장, 대문, 공구 등의 장비 |
개최 장소 | 모스크바 크로쿠스 엑스포 IEC |
주최 | ITE 모스크바 |
개최 기간 | 2019년 4월 2~5일 |
웹사이트 | http://www.mosbuild.com/ |
자료원: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종합
자료원: yandex.ru, Marketing Agency INFOLine, WTA, 러시아 관세청, GTA,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