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과목은,
책선정 ---> 기본이론 다독(가장 중요!!) --> 문제풀이 및 문제풀이로 얻는 자기 약점 보충과 여러 사이트,카페 등에서 시험출제 유형파악 ---> 제시간안에 기출문제나 모의고사 풀이로 실전훈련 및 그 과목에 대한 익숙함을 상승시켜 시험시 긴장도를 줄임.
위 과정이 반드시 진행되어야합니다.
저 과정중에서도 실험통계학의 교재선정과 학습방향을 공략해볼려고 합니다.
부족하고,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라 해도 이해해주세요 ㅎㅎ;; (입문자들을 위한거라 ㅎ;;)
1. 실험 통계학 교재의 선정
행정직처럼 인기 있는 직렬도 아니고(= 출판사에서도 돈벌이가 안되다보니 책출판이 없다시피함;;), 기술직들 중에서도 인기있는 직렬 몇과목을 제외하곤 괜찮은 교재 찾기가 힘든게 사실입니다.
이 중에서도 그나마 제가 추천드리고, 또 가장 많이 보는건...
첫째 : 방통대 생물통계학 http://press.knou.ac.kr/goods/textBookView.do?condCmdtCode=9788920911798&condLscValue=001&condYr=&condSmst=
둘째 : 향문사의 기초생물통계학(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033179)
셋째 : 선진문화사의 실험통계학(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93875)
---> 위 첫째~셋째는 이론서로 저 중 방통대교재로는 실험통계학 전 범위를 학습하기는 힘들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선진문화사 실험통계학은 모 인강사이트의 ㄱㅇㅌ교수 교재로 쓰고 있습니다.
따라서 방통대교재로 학습하는분들은
001. 통계학의 개념과 발전
002. 모집단과 표본
003. 중심점과 산포도
004. 이론분포
005. 가설의 검정
006. 두 표본평균의 비교
007. X 제곱 - 검정
008. 비모수적 방법
009. 직선회귀
010. 상관
011. 실험설계와 분산분석
012. 완전임의 배치법
013. 난괴법
014. 라틴방각법
015. 요인실험법
016. 분할구배치법
017. 다중회귀와 중상관
018. 곡선회귀
019. 공분산분석
020. 격차형배치법
이게 실험통계학의 대략적인 전체적인 범위라고 볼 수 있는데, 위 내용서 없는 부분은 추가적으로 자료를 수집 또는 다른책을 구매하셔서 하셔야 합니다.
그런데 솔직히 이 과목의 특성상 문제은행식 경향이 강하다보니 이론서를 또 구매하기 보단 문제풀이 강의를 찾아 들으시는게 더 이득인 듯 합니다.
문제집은 부민문화사 문제집(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12476)
을 많이 보는 것 같더라고요.
거기다 부족한건 일반공무원 통계직 기출문제를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서 뽑아서 관련있는 문제만 푸시거나 저희 초가사랑 회원분들이 문제복원 해주신것들을 추가적으로 풀어보시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ㅈㅇ에듀의 ㄱㄷㅇ교수 문제풀이 인강 꼭 들으시길 권합니다. 많은 문제풀이(유형이 수백개는 된다고 들음) 를 할 수 있어서 시험치러갈 때 안심이 되요. 과목에 대한 감도 확실히 오고 ^_^;;
2. 실험통계학과목은 제가 볼 땐,
전체적으로 공무원 시험특유의 시험시간 제한과 계산기 소지 불가로,
시험기출문제가 이론 유형이 많이 출제되고 계산문제는 적게 출제 되며 설사 나오더라도 의외로 쉽게 풀이 될 수 있는게 많습니다.
따라서 학습방향을 이론부분은 너무 깊게 들어가시지 마시고 기초와 용어암기만 확실히 학습해주시면 될 듯하고,
그걸 응용해서 최대한 많은 문제를 접해보셔서 시험 때 당황하지 않는게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제풀이할 기초적인 이론지식을 갖추시고 난다음 지안ㅇㄷ의 김ㄷㅇ의 실험통계학을 단과로 수강하시거나, 에듀 ㅍㄷ의 ㄱㅇㅌ의 문제풀이 부분을 수강하시면 보다 도움됩니다 ^-^.
근데 개인적으로 에듀ㅍㄷ 이론강의는 어느 정도 이론이 정립되있는분들 아니면 따라가기 힘드니 듣는걸 비추하는바입니다..
그리고 원래 통계학에서 뻗어나온 또 다른 통계학을 응용한 것이 실험통계학인데
따라서 모든 통계관련 과목은 초중고교+수능까지 배우신 확률과 통계지식이 기본적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막막하신분들은 EBS(프리미엄 강의 빼곤 전체 무료임 짝짝!!) 에 가셔서 자기 수준에 맞게 확률과 통계 기초이론을 배우시고 어느정도 익숙한 상태에서 책을 보시면 외계어 같던 책내용이 읽히고 익숙해져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제가 최근 EBS 수능 확률과통계 기초강의 15강 수강을 하였는데 기호와 용어가 책에 제법 많이 나오고 또 처음 봤을 때 그 어색함이 조금 줄어든 걸로 봐선 효과가 있는것 같네요. ㅎㅎ
근데 중요한건 EBS강의 들으실 때, 절대 깊게는 들어가시면 안되요!!
확률과 통계 이론이 어떻게 적용되고 어떻게 쓰이는지만 알아도 제대로 학습하신거에요.
우리는 수능이 아닌 농진청/지방농연사 시험을 대비하고 유형도 틀리니까요.
3. 실험통계학은 수식이 되게 많이 나오지만 계산기를 소지할 수 없는 공무원 시험 특성상 주로 이론에 맞는 식찾기, 정말 간단한 계산, 각 이론을 구분하고 실험통계학상 용어구분을 잘하고, 각 이론의 장,단점, ??조건일 때 쓰이기 적합한 이론은?? 등의 비교적 간단한 문제들이 다수 출제됩니다. 그래서 너무 압박감에 공부하지 않으셔도 될듯합니다.
그리고 문제은행식으로 출제되는 것 같더라고요.
따라서 너무 깊게 수학적지식까지 따로 공부하고 하실필요는 굳이 없을 것 같으며, 이론적인 부분만 완벽히 숙달하셔도 75이상은 나올 듯합니다.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정보 정말 감사드립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대략적인 범위에서 이론분포가 분포부분에서 이론을 말하는건가요? 이론분포라는것을 못 찾아서요 ㅠㅠ
-----> 분포중에서도 여러학자가 개발한 분포가 있는데 그 분포의 이론적인 개념이,
이항분포,정규분포,표준분포,F-분포,x제곱분포,T-분포 등 많이 보셨던 ??분포들을 뜻합니다.
헷갈렸었는데 감사합니다 명쾌한 답변이네용 ㅎㅎㅎㅎ
그리고 실험통계학이 문제은행형식으로 출제되는 것 같아요.
지방직 연구사는 좀 다를 수 있어요.
이론 80%+계산문제 20% 비율로 내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됬어요
정보 감사합니다 ㅎ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좋은정보 감사해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