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he question whether he _________ or not cannot be decided.
a) is to blamed b) is blamed c) is to blame d) is to be blamed
정답은 c) 번인데요... 그가 비난받아야 하는지에 관한 문제는 결정되어질수
없다. 라고 해석하면 수동태의 문장이 되어야 할 것 같은데 왜 d) 가 아닌지
이해가 가질 않네요.
2. Greater efforts to increase wheat produciton must be made if bread
shortages _________ avoided.
a) will be b) shall be c) were to be d) are to be
정답은 d) 인데요 해석과 함께 이때 be to 용법이 어떻게 해석되는지도
좀 알려주세요.
카페 게시글
③ 영어 심화 학습
be to 용법 관련 문제입니다.
!될꼬야!
추천 0
조회 155
05.08.12 13:13
댓글 3
다음검색
첫댓글 1번은 저도 이유는 모르지만 blame은 수동형의 의미를 쓸때 be blamed 보다 be to blame 을 쓰더라구요 blame 이 to 부정사와 함께 쓰이면 수동의 의미가 된다는데 이해가 안감 ( i am to blame = 내탓이에요 )
2번은 if 부사절에서 be to 용법을 쓰면 "의지"의 내용이 첨가된다고 합니다 보통 위문장의 if절에 be to 를 쓰지않으면 해석이 [ 빵부족을 피한다면 ] 되고 be to 를 사용하면 [빵부족을 피하려면(의지첨가)] 가 된다고 하네요
1번문제 제가 신성일님 사이트서 지나치다 봤던 문제인데요..^^;; pass79.co.kr [교수님과의 Q&A]에서 blame로 검색하셔서 첫 번째 신성일님 답변보시면 되요. 답이 3개라구...^^ 그 사이트 예전엔 실명가입 아니더라두 가입이 됐었는데 지금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