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들어 우울감 심하다? ‘계절성 우울증’ 때문일 수도
날씨가 추워지면서 우울감이 강해진다면 ‘계절성 우울증’을 의심해야 한다.
날이 추워지고 쌀쌀한 바람이 불면서 왠지 모르게 울적한 기분이 들 때가 있다. 갑자기 눈물이 나고 생활에 방해될 정도로 우울하다면 ‘계절성 우울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계절성 우울증, 일조량 감소가 원인
계절성 우울증은 계절적인 흐름을 타는 우울증이다. 일반적으로 가을이나 겨울에 증상이 나타난다. 뇌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인간의 수면, 기분 등이 조절되는데 이 물질은 여러 가지 환경의 영향을 받아 분비된다. 햇빛도 주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가을, 겨울에는 일조량 감소로 인해 수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이 많이 분비되면서 생체 리듬이 망가지고 우울해질 수 있다. 일반적인 우울증은 불면증을 유발하지만, 계절성 우울증은 반대로 평소보다 잠을 많이 자는 과다 수면 증상을 보인다. 그리고 행복 호르몬으로 알려진 세로토닌도 적게 분비돼 우울감이 더 느껴지기도 한다. 계절성 우울증은 ▲과거에 앓았던 적이 있거나 ▲우울증 가족력이 있거나 ▲알코올 중독인 사람에게 특히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햇빛 쬐고 스마트폰 멀리하는 게 도움
생활 습관을 개선해 계절성 우울증을 완화할 수 있다. 먼저 햇볕을 많이 쬔다. 줄어든 일조량을 보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햇볕을 자주 접하면 생체 리듬이 정상화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햇볕을 많이 쬐면 비타민D가 생성돼서 면역력 증진에도 좋다. 자기 전에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는 습관을 줄이자. 스마트폰의 밝은 빛과 청색광은 생체 리듬 교란을 촉진하며, 계절성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 반대로 책을 읽으면 청색광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각과 언어기능 등을 담당하는 대뇌피질을 자극해서 계절성 우울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
계절성 우울증 완화에는 트립토판 섭취도 도움이 된다. 트립토판은 멜라토닌을 만드는 필수 아미노산이며 감정에 영향을 주는 세로토닌의 전구물질이기도 하다. 뇌는 자체적으로 세로토닌을 만들어 쓰기 때문에 세로토닌을 섭취해도 뇌·혈관 장벽이 가로막아 제대로 합성되지 않는다. 이때 트립토판을 섭취하면 세로토닌 생성량을 늘릴 수 있고, 우울증 완화에도 좋다. 트립토판은 우리 몸이 스스로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바나나, 치즈, 생선 등을 통해 섭취할 수 있다.
우울감 심하다면 전문의 진료 고려
한편 생활 습관을 고쳐도 계절성 우울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정신과를 찾는 것도 좋다. 계절성 우울증이 심해지면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을 찾아주는 약물 치료를 진행한다. 약물 치료의 부작용으로 정신과를 피하는 사람도 있지만 다른 항정신성 약품들과는 달리 항우울제는 습관성이나 정신이 멍해지는 증상도 거의 없다. 약물치료는 15일 이상 지속해서 투약해야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효과가 빨리 나타나지 않는다고 섣불리 약을 중단하면 치료가 더 어려워진다. 그 외에 광선 요법이 계절성 우울증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약을 먹을 수 없을 정도로 증세가 심각할 때는 전기충격요법을 사용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