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애 작사 박태준 작곡의 <오빠생각>은 <고향의 봄> <반달>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랑받는 동요 가운데 하나다. 최순애(1914~1998)는 13살이던 1927년 일제를 피해 고향을 떠난 오빠를 그리며 이 노래를 지었다고 한다.
나라를 잃은 설움과 흩어진 가족을 그리워하는 마음에서 지은 이 노래는 시대를 건너뛰어 사람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았다. 최씨는 '뜸부기 할머니'란 별명으로 불렸지만 급속한 산업화와 함께 뜸부기는 보기 힘든 새가 됐다.
최순애를 인터뷰한 <경향신문> 1981년 5월23일치 기사는 "특유의 울음소리로 해서 농촌의 대표적인 새로 꼽히던 뜸부기가 근래에 와서 그 숫자가 줄어들고 있다고 `뜸부기 할머니'는 안타까와 했다."라고 적었다. 이미 35년 전에 뜸부기는 노래로만 친숙한 새였다. 현재 뜸부기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보호받고 있다.
» 논둑 위에 올라서서 사방을 살펴보는 뜸부기.
» 뜸부기는 본능적으로 몸을 숨기고 움직이는 습성이 있다.
» 매년 찾아오는 터전이지만 왠지 낮설어 주변의 환경부터 살펴본다.
논에서 들려오는 뜸부기 소리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들을 수 있던 정겹고 아주 친숙한 소리였다. 그러나 어느덧 우리 곁에서 뜸부기 소리는 사라졌다.
» 논둑 위에서 날아오르는 뜸부기.
» 다른 곳으로 자리를 이동하고 있다.
뜸부기를 닭하고 비슷하여 '뜸부기 닭'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수컷의 붉은 이마판을 보면 작은 익룡이 떠오르기도 한다.
» 암컷보다 먼저 도착해 영역을 소리로 표시하고 암컷을 부르는 수컷 뜸부기.
» 몸을 부풀렸다 숨을 내쉬듯 울어대는 뜸부기 수컷.
» 목에서 나는 가벼운 소리가 아니고 가슴으로 울어대는 뜸부기.
번식기 때 뜸부기 수컷은 논둑에서 소리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낸다. 그러다 사람의 기척만 느끼면 슬며시 논고랑으로 모습을 숨긴다.
뜸북이는 '뜸북 뜸북'하고 울지 않는다. 오히려 '듬, 듬, 듬'에 가깝다. 울 때는 몸을 부풀려 고개를 아래로 숙이면서 끄덕이고 몸까지 들썩 들썩인다. 뜸부기 수컷은 암컷을 보면 필사적으로 접근하려 한다.
» 벼 포기 사이에 있는 뜸부기. 눈에 잘 띄지 않는다.
» 벼 포기에 숨어 빼꼼이 얼굴만 내민 뜸부기.
지난 6월5일 한강 하구의 농경지에서 뜸부기를 만났다. 반가움과 추억이 밀려왔다. 가까이 있는 듯 소리가 들려 뜸부기를 보려고 헛고생하며 논을 헤맨 기억이 있다. 뜸부기를 아는 모든 사람들에게는 이런 어린 시절의 추억이 소리로 남아 있을 것이다.
» 뜸부기는 몸을 숨기고 둥지를 틀며 생활하는데 논은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터전이다.
» 몸을 치켜세워 주변을 살펴보는 뜸부기.경계를 좀처럼 늦추지 않는다.
» 벼 포기에 숨어 울어대는 수컷 뜸부기.
뜸부기는 여름철새여서 중부지역에는 6월초에 수컷이 먼저 찾아오고 약 15일 후에 암컷이 모습을 드러낸다. 그러나 아직 암컷 뜸부기는 눈에 띄지 않는다. 흐린 날과 이른 아침, 늦은 저녁에 많이 울고 대낮에는 뜸부기 소리를 거의 들을 수 없다.
» 가슴 깃털을 세우는 뜸부기.
» 마음껏 날개를 펼쳐 기지개를 켠다.
» 깃털을 다듬는 뜸부기.
6월 말이면 모를 낸 벼가 제법 자라 뜸부기 목만 보이게 된다. 7월 중순이면 뜸부기는 벼에 가려 보기 힘들고 소리를 듣고 그곳에 있다는 것을 짐작할 뿐이다.
뜸부기는 경계심이 무척 강해 벼 고랑 사이로 다니지 않고 포기에 몸을 숨기며 활동한다. 좀처럼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논둑을 따라 자리를 옮기는 뜸부기.
» 습지에 사는 뜸부기의 발가락은 다리보다 더 길어 보인다.
» 곁눈질로 주변을 살핀다.
» 논둑을 따라 멀리 자리를 옮기는 뜸부기.
7월초부터 9월 초순까지 벼 포기를 모아 둥지를 만들기도 하고 논가나 평지의 풀밭에 둥지를 틀기도 한다. 3∼6개의 알을 낳고 논에서 살아가는 메뚜기, 우렁이, 등 곤충과 수생생물 이외에 어린 싹이나 풀씨도 잘 먹는다. 10월 초순경이 되면 대부분 남하한다.
» 저녁 무렵 논의 물꼬를 보기 위해 오토바이를 탄 농부가 뜸부기 곁으로 다가선다.
» 논에 숨어 울어대던 뜸부기가 화들짝 놀라 날아오른다.
» 어느새 벼잎 끝에는 저녁 이슬이 맺혀 있다.
» 뜸부기가 옮겨 다니는 자리는 대부분 정해져 있어 크게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다.
뜸부기 수컷의 몸 길이는 40㎝ 내외이며 암컷은 33㎝로 수컷보다 작다. 수컷의 몸통은 회색빛이 감도는 흑색으로 배에 회색의 가로무늬가 있다. 부리는 황색, 긴 다리는 황색과 녹색이 섞여 있다.
» 뜸부기는 경계심도 강하지만 때론 논둑에 올라와 당당하게 서기도 한다.
암컷은 수컷의 겨울 깃과 비슷한 색깔로, 머리 꼭대기는 어두운 갈색이고, 목옆은 진한 황색이며, 턱 밑과 멱은 흰색이다. 등과 날개는 황색으로 진한 갈색으로 반점 모양이 있다.
» 암컷 뜸부기.
» 암컷 뜸부기의 옆 모습 수컷과 달리 이마 판에 벼슬이 없다.
» 여유롭게 기지개를 켜는 뜸부기 암컷.
뜸부기는 한국, 일본, 중국 남부 등 동아시아와 필리핀, 인도네시아,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등 동남아에 걸쳐 산다. 2005년 3월17일 천연기념물 제446호로 지정되었고, 2012년 5월31일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첫댓글 뜸부기를 자세히 알게 됐네요.
노래는 많이 불러서 아는데~
뜸부기는 첨보네요
뜸북뜸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