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학교 당직 카페
 
 
 
카페 게시글
◆ 학교당직 이야기 슬픈 엘더(elder)
설채 추천 0 조회 132 24.07.12 14:36 댓글 1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첫댓글 내안에 적이 있다
    전적으로 동감입니다
    갑 을이 아닌 동반자적 관계로
    내가 먼저 다가가고
    지역사회를 위해 봉사한다는 마음으로
    근무하면 이만한 일자리 찾기 힘들 줄 압니다

  • 작성자 24.07.12 16:27

    댓글 감사합니다.

  • 지난 달 집앞 운전면허시험장으로 이직기회가 있었지만 심사숙고 결과 당직원이 최고라는 결론을 얻어 당직원 향후 30년 근무계획입니다.

    설채 선생님을 비롯하여 꾸준히 글을 올려주시는 분들은 향후 자신만의 글쓰기 방을 각각 별도로 만들어드리겠습니다.

  • 작성자 24.07.12 17:43

    아이구 감사합니다.

  • ㅎㅎㅎ
    30년 응원합니다.

  • 24.07.12 17:48

    사람사는 곳에만 '갑' 과 '을' 이 있는 것 아닙니다. 바로 "갑오징어와 오징어" 의 다툼(?)... 그러나 이를 가운데에서 해결사의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소주' 라고 하네요. 우리네 인간사에도 소주와 같은 사람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김언 님의 시(詩), "갑오징어와 을오징어"...
    둘은 일관된 앙숙이었다. 둘이 화해할 기미가 보이지 않자 제삼자가 나섰다. 제삼자의 인물은 어느 편도 들 생각이 없었지만, 이쪽을 만나면 이쪽에서 저쪽을 만나면 저쪽에서 다른 말이 나오는 것을 부정하고 싶은 생각도 없었다. 이쪽은 이쪽대로 옳은 말이고 저쪽은 저쪽대로 사정이 있었으니 둘 다의 말이 너는 누구 편이냐? 둘 중 하나를 택하라는 말을 수도 없이 들어왔지만 그는 일관되게 제삼자였다. 소주 한 병에 오징어 두 마리면 충분한 사람이었다

  • 작성자 24.07.12 18:30

    은혜의 댓글 감사합니다.

  • 이방에 현대판 김삿갓님 많이 계시네요
    멋지십니다

  • 작성자 24.07.12 18:51

    ㅎㅎ 멋있는 김삿갓입니다.

  • 공감합니다.
    고난과 역경이 있어도, 성경구절처럼 "이또한 지나가리" 시간 지나가면 다시 잠잠해집니다.
    이제 급여보다
    얼마나 잘 버티나가 관건입니다.

  • 작성자 24.07.12 18:51

    평화님의 글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 24.07.12 19:56

    아웃 사이더 ,, 레드 팀장,, 저새ㄲㅣ 또왔네,, 만약에 ㅇㅇ한다면 - 한창 현역때 제 별호입니다.

    목에 칼(?)이 들어오고, 직장생활 정상적이지 못함은 물론이거니와 불편함은 말 할것도 없으며- 참 어려운 생활을 저는 하였습니다. 35년 ,,

    그러나 곧을 정 바름 정은 불의를 이기고,
    철새되어 휠훨~ 날던 이들은 스스로 가을철 갈대가 되어 스르르~ 눕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존경 하옵는 선배님 글을 보니 ~ 아,, 내가 잘못 살은것은 아니였구나 ~* 생각이 들어서 못난 글을 써 봅니다.

    선배님들 , 화이팅^* 하십시오,,!!

  • 노엘콜님 유격대장 하셨나봐요
    레드

  • 작성자 24.07.12 22:14

    노앨콜님 우와~~~ 아주 훌륭한 글, 모든 직장인들이 한 번은 읽어야 할 금언(金言)입니다.
    절대, 절대 못난글이 아닙니다.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 24.07.13 16:50

    하하하~ 고맙습니다.

    레드팀은 일이 잘못되고 틀어지는 경우를 꼬집어서 질의하고 대처방안을 이야기하는 사람(나중에는 블루팀이되었다가 지금은 사라짐) 입니다.

    수ㅇ사 ㅇㅇ풍 사단장님 자녀들 뺨을 야물딱지게 한대씩 갈(?)기고 유격(대)장으로 유배갔던 일은 있었고요. 신상리? "애기소"라는 소하천 연못에서 민물 장어 미유기 꾸구리 낚으면서 마음의 평정을 찾은적도 있습니다.

    노 부모님을 봉양하고 - 처자를 건사하는 젊은 사람은 의지와 기개를 스스로가 꺾을수 밖에 없다는 것을 느끼고 하산(?)하였지만,

    보다 내실있게, 반박불가 정교하게 정당성을 어필해는것을 배워 왔습니다.

    선배님 들, 건강한 근무- 편안한 휴식 되세요.,,~*

  • 작성자 24.07.14 08:48

    대원군 이하응의 뺨을 내리친 이장렴의 일화가 생각납니다.
    대장부는 기개가 있어야 합니다.
    저도 나이 먹어서 많이 유순해 졌지만 젊었을 때에는 꺾어지면 꺾어졌지
    굽힐 줄 몰라서 좀 힘들었나 봅니다. 그런데 고개가 안 숙여 지더라고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