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염화실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 좋은글(스크랩)모음 스크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7년(2013년) 5월 23일 후기 Tuesdays with Morrie (3)
관문 추천 0 조회 152 13.10.02 08:21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7년(2013년) 5월 23일 후기

Tuesdays with Morrie (3)

서울경기강원지역방 2298번 글 http://cafe.daum.net/altlovebuddha/PEK/2298

의 후속타입니다. 관련 글 서울경기강원지역방 2263번 글 (책 소개의 글) http://cafe.daum.net/altlovebuddha/PEK/2263 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uesdays with Morrie 세 번째로 읽었습니다. 오늘 불서읽기 모임은, 無心慧(책쫌읽자) 법우, 寶蓮華(보리연꽃) 법우, 해마린 법우, 道安(검프 대디)법우, 환희장엄 법우 그리고 저 觀門, 이렇게 6명이 참석했습니다.

오늘도 지난주에 모였던 장소 ‘Cafe 57th’에서 모임을 가졌습니다. 이곳은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에서 나와 80 미터 가량 직진하신 후 풍문여고를 오른 쪽에 끼고 돌아서

약 60 미터 가면 보이는 곳입니다.

 

오늘은 우리의 교재 <Mitch Albom, Tuesdays with Morrie, Doubleday> 80-87쪽과 115-121쪽(관문이 가지고 있는 책으로)을 읽었습니다. 제목을 열거해 보면, We Talk About Death(죽음), We Talk About the Fear of Aging(나이 드는 두려움)입니다.

Tuesdays with Morrie 읽기는 다음 주에 한 번 더 하고 끝내려고 합니다. 다음 주에 읽을 부분은 We Talk About Money(돈), We Talk About Our Culture(문화), We Talk About Forgiveness(용서)입니다. 다음 주에 참석하실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uesdays with Morrie를 읽는 동안의 후기는 저희가 그 날 읽은 부분의 영어 본문과 <공경희 옮김,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세종서적>의 번역을 올리겠습니다.

We Talk About Death(죽음),

The Fourth Tuesday We Talk About Death

“Let’s begin with this idea,” Morrie said. “Everyone knows they’re going to die, but nobody believes it.”

He was in a businesslike mood this Tuesday. The subject was death, the first item on my list. Before I arrived, Morrie had scribbled a few notes on small white pieces of paper so that he wouldn’t forget. His shaky handwriting was now indecipherable to everyone but him. It was almost Labor Day, and through the office window I could see the spinach-colored hedges of the backyard and hear the yells of children playing down the street, their last week of freedom before school began.

네 번째 화요일

죽음

“이런 생각에서부터 이야기를 풀어나가세. 모두들 죽게 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자기가 죽는다고 믿는 사람은 없어.”

모리 선생님이 말했다.

이번 화요일, 그는 사뭇 사무적이었다. 내 리스트에 맨 처음 오른 죽음이 주제였다. 내가 도착하기 전, 모리 선생님은 잊지 않도록 흰 종이 몇 장에 메모를 해놓았다. 떨리는 필체는 이제 선생님 자신밖에 알아보지 못했다. 거의 노동절이 다 된 무렵이라, 창밖으로 뒷마당 울타리가 시금치 빛깔로 물든 것이 눈에 들어왔다. 거리에서는 개학을 며칠 남겨놓은 아이들이 자유롭게 뛰어노는 소리가 들려왔다.

 

Back in Detroit, the newspaper strikers were gearing up for a huge holiday demonstration, to show the solidarity of unions against management. On the plane ride in, I had read about a woman who had shot her husband and two daughters as they lay sleeping, claiming she was protecting them from “the bad people.” In California, the lawyers in the O. J. Simpson trial were becoming huge celebrities. Here in Morrie’s office, life went on one precious day at a time. Now we sat together, a few feet from the newest addition to the house: an oxygen machine. It was small and portable, about knee-high. On some nights, when he couldn’t get enough air to swallow, Morrie attached the long plastic tubing to his nose, clamping on his nostrils like a leech. I hated the idea of Morrie connected to a machine of any kind, and I tried not to look at it as Morrie spoke.

디트로이트에서는 신문사 데모대가 공휴일을 맞이하여 경영진에게 노동조합의 단결된 힘을 과시하기 위한 대규모 시위를 준비하고 있었다. 비행기를 타고 보스턴으로 오면서, ‘나쁜 사람들’로부터 보호한다고 주장하며 잠든 남편과 두 딸을 죽인 여자의 기사를 읽었다. 캘리포니아에서는 O. J. 심슨의 변호인단이 대단한 명사가 되어 있었다.

이곳 모리 선생님 방에서는 귀중한 하루의 삶이 계속되었다. 이제 가까이 앉은 우리 곁에, 새로운 존재가 들어서 있었다. 그것은 이동 가능하며 무릎 높이쯤 되는 작은 기계, 바로 산소 호흡기였다. 선생님이 밤에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면, 사람들은 긴 플라스틱 튜브를 거머리처럼 그의 콧구멍에 쑤셔 넣었다. 나는 선생님이 어떤 종류의 기계든 기계에 연결된다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그와 말할 때 산소 호흡기를 쳐다보지 않으려 애썼다.

 

“Everyone knows they’re going to die,” he said again, “but nobody believes it. If we did, we would do things differently.”

So we kid ourselves about death, I said.

“Yes. But there’s a better approach. To know you’re going to die, and to be prepared for it at any time. That’s better. That way you can actually be more involved in your life while you’re living.”

How can you ever be prepared to die?

“Do what the Buddhists do. Every day, have a little bird on your shoulder that asks, ‘Is today the day? Am I ready? Am I doing all I need to do? Am I being the person I want to be?’”

He turned his head to his shoulder as if the bird were there now.

“Is today the day I die?” he said.

그는 반복해서 말했다.

“죽게 되리란 사실은 누구나 알지만, 자기가 죽는다고는 아무도 믿지 않지. 만약 그렇게 믿는다면, 우리는 다른 사람이 될 텐데.”

“자기는 안 죽을 거라며 자신을 속이지요.”

“그래. 하지만 죽음에 대해 좀 더 긍정적으로 접근해 보자구. 죽으리란 걸 안다면, 언제든 죽을 수 있도록 준비를 해둘 수 있네. 그게 더 나아. 그렇게 되면, 사는 동안 자기 삶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살 수 있거든.”

“죽을 준비는 어떻게 하나요?”

“불교도들이 하는 것처럼 하게. 매일 어깨 위에 작은 새를 올려놓는 거야. 그리곤 새에게 ‘오늘이 그날인가? 나는 준비가 되었나? 나는 해야 할 일들을 다 제대로 하고 있나? 내가 원하는 그런 사람으로 살고 있나?’ 하고 묻지.”

그는 새가 얹혀져 있기라도 한 듯 어깨 쪽으로 고개를 돌렸다.

“오늘이 내가 죽을 그날인가?”

선생님이 말했다.

 

Morrie borrowed freely from all religions. He was born Jewish, but became an agnostic when he was a teenager, partly because of all that had happened to him as a child. He enjoyed some of the philosophies of Buddhism and Christianity, and he still felt at home, culturally, in Judaism. He was a religious mutt, which made him even more open to the students he taught over the years. And the things he was saying in his final months on earth seemed to transcend all religious differences. Death has a way of doing that.

그는 모든 종교들에서 자유롭게 사상을 빌려왔다. 유태인으로 태어났지만, 10대 청소년기에 불가지론자(우주의 본질인 물자체는 인간의 경험으로는 인식할 수 없다는 것을 믿는 사람)가 되었다. 어린 시절 온갖 일을 다 겪은 것도 그 이유 중의 하나였다. 선생님은 불교 철학과 기독교 철학을 즐겨 말했고, 문화적으로는 유태주의를 편안해 했다. 그는 이 종교 저 종교 다 취하는 편이었는데, 그 덕에 오랜 세월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학생들에게 더 마음을 열어놓을 수 있었다. 그리고 지상에서 의 마지막 몇 달간 선생님은 각 종교의 차이점을 초월하는 말을 했다. 죽음이 그렇게 할 수 있게 해주었다.

 

“The truth is, Mitch,” he said, “once you learn how to die, you learn how to live.” I nodded.

“I’m going to say it again,” he said. “Once you learn how to die, you learn how to live.” He smiled, and I realized what he was doing. He was making sure I absorbed this point, without embarrassing me by asking. It was part of what made him a good teacher.

Did you think much about death before you got sick, I asked.

“No.” Morrie smiled. “I was like everyone else. I once told a friend of mine, in a moment of exuberance, ‘I’m gonna be the healthiest old man you ever met!’”

How old were you?

“In my sixties.”

So you were optimistic.

“Why not? Like I said, no one really believes they’re going to die.”

But everyone knows someone who has died, I said.

Why is it so hard to think about dying?

“Because,” Morrie continued, “most of us all walk around as if we’re sleepwalking. We really don’t experience the world fully, because we’re half-asleep, doing things we automatically think we have to do.”

And facing death changes all that?

“Oh, yes. You strip away all that stuff and you focus on the essentials. When you realize you are going to die, you see everything much differently.

“미치, 어떻게 죽어야 할지 배우게 되면 어떻게 살아야 할지도 배울 수 있다네.”

그가 말했다.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다시 말하면, 일단 죽는 법을 배우게 되면 사는 법도 배우게 되지.”

그는 미소 지었고, 나는 선생님이 왜 이렇게 말하는지 깨달았다. 그는 내가 당황하지 않고 이 관점을 잘 이해하도록 거듭 강조했다. 좋은 선생님의 면모가 이럴 때 잘 드러났다.

“병이 나기 전에도 죽음에 대해 많이 생각하셨어요?”

내가 물었다.

모리 선생님은 미소 지으며 대답했다.

“아니. 나도 다른 사람들과 똑같았어. 언젠가 한번은 너무나 자신감이 넘친 나머지 친구에게 ‘난 지금껏 자네가 만나본 노인 중 가장 건강한 노인이 될 거야!’라고 말한 적도 있다네.”

“몇 살 때였는데요?”

“60대 때.”

“굉장히 낙관적이셨군요.”

“왜 안 그렇겠나? 내가 말했듯, 자기가 죽을 거라고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구.”

“하지만 아는 사람을 저세상으로 떠나보낸 경험은 누구나 있잖아요. 그런데 자기 죽음에 대해 생각하기가 왜 그리 어려울까요?”

내가 물었다.

“다들 잠든 채 걸어 다니는 것처럼 사니까. 우린 세상을 충분히 경험하지 못하지. 왜냐면 해야 한다고 생각되는 일을 기계적으로 하면서 반쯤 졸면서 살고 있으니까.”

“그러면 죽음과 직면하면 모든 게 변하나요?”

“그럼. 모든 것을 다 벗기고, 결국 핵심에 초점을 맞추게 되지. 자기가 죽게 되리라는 사실을 깨달으면, 매사가 아주 다르게 보이네.”

 

He sighed. “Learn how to die, and you learn how to live.”

I noticed that he quivered now when he moved his hands. His glasses hung around his neck, and when he lifted them to his eyes, they slid around his temples, as if he were trying to put them on someone else in the dark. I reached over to help guide them onto his ears.

“Thank you,” Morrie whispered. He smiled when my hand brushed up against his head. The slightest human contact was immediate joy.

“Mitch. Can I tell you something?”

Of course, I said.

“You might not like it.”

Why not?

“Well, the truth is, if you really listen to that bird on your shoulder, if you accept that you can die at any time then you might not be as ambitious as you are.”

I forced a small grin.

선생님은 한숨지었다.

“어떻게 죽어야 좋을지 배우게. 그러면 어떻게 살아야 할지도 배우게 되니까.”

나는 그가 손을 움직일 때 떠는 것을 알아차렸다. 선생님은 목에 걸려 있던 안경을 집어쓰려 했지만, 안경은 관자놀이에서 미끄러졌다. 어둠 속에서 딴 사람에게 안경을 씌워주는 것 같았다. 나는 귀에 안경을 거는 것을 도와주었다.

“고맙네.”

모리 선생님이 속삭였다. 내 손이 머리를 스치자. 그는 미소 지었다. 그는 가벼운 접촉도 즐거워했다.

“미치. 내가 딴 이야기를 해볼까?”

“네. 그러세요.”

“어쩜 자네가 좋아하지 않을지도 몰라.”

“왜요?”

“솔직히 말해, 어깨 위에 있는 새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면―-즉 ‘언제든 죽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지금처럼 야망이 넘치지 않게 될 테니까.”

나는 억지로 조금 웃었다.

 

“The things you spend so much time on—all this work you do—might not seem as important. You might have to make room for some more spiritual things.”

Spiritual things?

“You hate that word, don’t you? ‘Spiritual.’ You think it’s touchy-feely stuff.”

Well, I said.

He tried to wink, a bad try, and I broke down and laughed.

“Mitch,” he said, laughing along, “even I don’t know what ‘spiritual development’ really means. But I do know we’re deficient in some way. We are too involved in materialistic things, and they don’t satisfy us. The loving relationships we have, the universe around us, we take these things for granted.”

He nodded toward the window with the sunshine streaming in. “You see that? You can go out there, outside, anytime. You can run up and down the block and go crazy. I can’t do that. I can’t go out. I can’t run. I can’t be out there without fear of getting sick. But you know what? I appreciate that window more than you do.” Appreciate it?

“Yes. I look out that window every day. I notice the change in the trees, how strong the wind is blowing. It’s as if I can see time actually passing through that windowpane. Because I know my time is almost done, I am drawn to nature like I’m seeing it for the first time.”

He stopped, and for a moment we both just looked out the window. I tried to see what he saw. I tried to see time and seasons, my life passing in slow motion. Morrie dropped his head slightly and curled it toward his shoulder.

“Is it today, little bird?” he asked. “Is it today?”

“그렇게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일들―자네가 하는 모든 작업―이 그다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을 테니까. 영혼과 관계된 것이 파고들 공간을 더 많이 마련해야 될지도 모르지.”

“영혼과 관계된 것들이요?”

“자넨 그 말을 싫어하지, 안 그런가? ‘영혼.’ 감성적인 말이라고 생각하지.”

“글쎄요.”

선생님은 윙크를 하려 했지만, 제대로 되질 않았다. 나는 ‘쿡’하고 웃음을 터뜨렸다.

그도 따라 웃으며 말했다.

“미치, 나도 ‘영혼을 개발하는 것’이 진짜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른다네. 하지만 우리가 어떤 면으로 참 부족하다는 점은 잘 알지. 우린 물질적인 것에 지나치게 관계되어 있으면서도, 거기서조차 만족을 얻지 못하네. 사랑하는 관계, 우리를 둘러싼 우주…우린 그런 것을 너무 당연하게 받아들인다구.”

그는 해가 드는 창을 고개로 가리켰다.

“저거 보이나? 자네는 저 밖에 나갈 수 있지. 언제든 밖으로 나갈 수 있어. 이 동네에서 저 동네로 마구 달려갈 수 있어. 나는 그러지 못하네. 나갈 수 없어. 물론 달리는 것은 더 더욱 불가능하네. 밖으로 나가면 병이 심해질까 두렵지. 하지만 자네, 아나? 자네보다 내가 저 창을 더 제대로 감상한다는 것을.”

“창을 제대로 감상해요?”

“그래. 매일 저 창 밖을 내다보지. 나무가 어떻게 변하는지, 바람이 얼마나 강해졌는지도 알아차린다네. 그것은 시간이 창틀을 지나치는 것을 아는 것과 비슷하지. 내 시간이 거의 끝났음을 알기에, 처음으로 자연을 보는 것처럼 그렇게 자연에 마음이 끌린다네.”

그가 말을 멈추었고, 우리는 잠시 창 밖을 내다보았다. 나는 선생님이 보는 대로 보려고 노력했다. 시간과 계절을, 내 삶이 천천히 스쳐지나가는 것을 보려고 애썼다. 모리 선생님은 머리를 살짝 숙이며 어깨 쪽으로 돌렸다.

“오늘이 그날이냐, 작은 새야? 오늘이냐?”

선생님은 물었다.

 

Letters from around the world kept coming to Morrie, thanks to the “Nightline” appearances. He would sit, when he was up to it, and dictate the responses to friends and family who gathered for their letter-writing sessions.

One Sunday when his sons, Rob and Jon, were home, they all gathered in the living room. Morrie sat in his wheelchair, his skinny legs under a blanket. When he got cold, one of his helpers draped a nylon jacket over his shoulders.

“What’s the first letter?” Morrie said.

A colleague read a note from a woman named Nancy, who had lost her mother to ALS. She wrote to say how much she had suffered through the loss and how she knew that Morrie must be suffering, too.

“All right,” Morrie said when the reading was complete. He shut his eyes. “Let’s start by saying, ‘Dear Nancy, you touched me very much with your story about your mother. And I understand what you went through. There is sadness and suffering on both parts. Grieving has been good for me, and I hope it has been good for you also.’”

“You might want to change that last line,” Rob said.

Morrie thought for a second, then said, “You’re right. How about ‘I hope you can find the healing power in grieving.’ Is that better?”

Rob nodded.

“Add ‘thank you, Morrie,’” Morrie said.

Another letter was read from a woman named Jane, who was thanking him for his inspiration on the “Nightline” program. She referred to him as a prophet.

“That’s a very high compliment,” said a colleague.

“A prophet.”

Morrie made a face. He obviously didn’t agree with the assessment. “Let’s thank her for her high praise. And tell her I’m glad my words meant something to her. “And don’t forget to sign ‘Thank you, Morrie.’”

There was a letter from a man in England who had lost his mother and asked Morrie to help him contact her through the spiritual world. There was a letter from a couple who wanted to drive to Boston to meet him. There was a long letter from a former graduate student who wrote about her life after the university. It told of a murder—suicide and three stillborn births. It told of a mother who died from ALS. It expressed fear that she, the daughter, would also contract the disease. It went on and on. Two pages. Three pages. Four pages.

Morrie sat through the long, grim tale. When it was finally finished, he said softly, “Well, what do we answer?”

The group was quiet. Finally, Rob said, “How about, ‘Thanks for your long letter?’” Everyone laughed. Morrie looked at his son and beamed.

~~~‘나이트라인’에 출연한 덕분에, 전세계에서 편지가 밀려들었다. 선생님은 앉아서, 답장을 대필하려고 모인 친구와 가족에게 답장 내용을 불러주곤 했다.

어느 일요일, 그의 아들 롭과 존이 집에 와서 모두 거실에 모였다. 그는 가는 다리에 담요를 덮고 휠체어에 앉아 있었다. 선생님이 추워하자, 도와주는 사람이 어깨에 나일론 재킷을 걸쳐주었다.

“맨 처음 편지는 어떤 거지?”

그가 물었다.

친구 1명이 낸시라는 여자의 편지를 읽었다. 낸시는 어머니를 루게릭병으로 잃었다고 했다. 그녀는 얼마나 힘겹게 상실감을 겪었는지, 그리고 모리가 그런 고통을 겪고 있음을 안다고 적었다.

“좋아.”

그가 편지를 다 읽자 선생님은 이렇게 말하고 눈을 감았다.

“이렇게 시작하자구. ‘친애하는 낸시, 어머니 이야기에 대단히 감명 받았습니다. 그리고 당신이 어떤 어려움을 겪었는지 이해합니다. 우리 모두에게는 지금 슬픔과 고통이 있습니다. 하지만 슬픔은 내게 좋은 역할도 해주고 있습니다. 당신에게도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 줄을 바꾸고 싶지 않으세요.”

롭이 말했다.

선생님은 잠시 생각에 잠겼다가 말했다.

“네 말이 옳아. ‘당신이 슬픔 속에서 치유의 힘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로 하면 어떨까? 그게 더 나으냐?”

롭은 고개를 끄덕였다.

“‘감사를 전하며, 모리’를 빼먹지 말아라.”

모리 선생님은 덧붙였다.

제인이라는 여인으로부터 온 편지도 있었다. 그녀는 ‘나이트라인’프로그램에서 감동을 준 데 감사했다. 그녀는 그를 선지자로 부르고 싶어 했다.

“칭찬이 참 지나치구만. 선지자라니.”

친구 1명이 말했다.

선생님은 얼굴을 찡그렸다. 그도 그런 평가에 동의하지 않았다.

“높은 평가에 대해 감사하자구. 그리고 내가 한 말이 그녀에게 의미를 주었다니 반갑다고 말하고. 그리고 ‘감사를 전하며, 모리’랄 말 잊지 말고.”

영국에 사는 어느 남자는 편지에서, 어머니를 잃었는데 영적 세계를 통해 어머니와 접촉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부탁했다. 또 보스턴에 와서 만나고 싶다며 편지를 보낸 커플도 있었다. 전에 대학원 학생이었던 졸업생이 기나긴 편지를 보내왔다. 그녀는 대학 졸업 후의 삶에 대해 자세히 썼다. 살해―자살과 3명의 사산아―에 대한 이야기가 씌어 있었다. 또 루게릭병으로 죽은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다. 그녀는 딸로서 자신도 그 병에 걸릴까봐 두렵다고 썼다. 편지는 계속 이어졌다. 2페이지, 3페이지, 4페이지

모리 선생님은 앉아서, 기나긴 우울한 이야기를 들었다. 마침내 다 끝나자, 그가 나직이 말했다.

“자, 뭐라고 답장을 보낸다?”

모여 앉은 사람들은 침묵했다.

마침내, 롭이 입을 열었다.

“‘기나긴 편지, 감사합니다.’는 어떨까요?”

모두들 웃음을 터뜨렸다. 선생님도 아들을 바라보며 환하게 웃었다.

 

We Talk About the Fear of Aging(나이 드는 두려움)

The Seventh Tuesday We Talk About the Fear of Aging

Morrie lost his battle. Someone was now wiping his behind.

He faced this with typically brave acceptance. No longer able to reach behind him when he used the commode, he informed Connie of his latest limitation.

“Would you be embarrassed to do it for me?”

She said no.

I found it typical that he asked her first.

It took some getting used to, Morrie admitted, because it was, in a way, complete surrender to the disease. The most personal and basic things had now been taken from him—going to the bathroom, wiping his nose, washing his private parts. With the exception of breathing and swallowing his food, he was dependent on others for nearly everything.

일곱 번째 화요일

나이 드는 두려움

선생님은 병마와의 싸움에서 자꾸 졌다. 이제 누군가가 그의 뒤를 닦아주고 있었다.

그는 평소처럼 용감하게 받아들이며 상황에 맞섰다. 이젠 그가 소변기를 사용할 때 뒤에서 잡아주기만 해선 안 되었다. 그는 가정부 코니에게 마지막 한계에 이르렀음을 알렸다.

“내 대신 앞에서 소변기를 들어주는 게 난처할까, 코니?”

코니는 그렇지 않다고 했다.

선생님이 먼저 코니에게 묻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어떤 면에서 그것은 병에 완전히 굴복하는 것이므로, 익숙해지려면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그는 인정했다. 이제 그는 가장 사적이고 기본적인 일까지 빼앗겼다. 화장실에 가는 것, 코를 푸는 것, 몸의 일부를 씻는 것까지. 숨쉬기와 음식 삼키기만 제외하면, 거의 모든 것을 타인에게 의지했다.

 

I asked Morrie how he managed to stay positive through that.

“Mitch, it’s funny,” he said. “I’m an independent person, so my inclination was to fight all of this—being helped from the car, having someone else dress me. I felt a little ashamed, because our culture tells us we should be ashamed if we can’t wipe our own behind. But then I figured, Forget what the culture says. I have ignored the culture much of my life. I am not going to be ashamed. What’s the big deal? “And you know what? The strangest thing.”

What’s that?

“I began to enjoy my dependency. Now I enjoy when they turn me over on my side and rub cream on my behind so I don’t get sores. Or when they wipe my brow, or they massage my legs. I revel in it. I close my eyes and soak it up. And it seems very familiar to me.

“It’s like going back to being a child again. Someone to bathe you. Someone to lift you. Someone to wipe you. We all know how to be a child. It’s inside all of us. For me, it’s just remembering how to enjoy it.

“The truth is, when our mothers held us, rocked us, stroked our heads—none of us ever got enough of that. We all yearn in some way to return to those days when we were completely taken care of—unconditional love, unconditional attention. Most of us didn’t get enough.

“I know I didn’t.”

I looked at Morrie and I suddenly knew why he so enjoyed my leaning over and adjusting his microphone, or fussing with the pillows, or wiping his eyes. Human touch. At seventy-eight, he was giving as an adult and taking as a child.

선생님께 그런 상황에서도 어떻게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 있는지 물어보았다.

“미치, 좀 우습지. 난 독립적인 사람이라서 모든 것에 맞서 싸우는 게 기질에 맞는데. 차에서 부축을 받고 다른 사람 손에 옷을 이어야 되니…. 사실 전에는 약간 부끄러웠네. 차에서 부축을 받고 다른 사람 손에 옷을 입어야 되니…. 사실 전에는 약간 부끄러웠네. 우리 문화는 우리에게 뒤를 보고 스스로 처리하지 못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고 가르쳐주니까 말야. 하지만 그때 문득 이런 생각이 들더군. 문화가 뭐라 말하든 그건 잊어버리자. 난 평생 문화 따윈 무시한 사람이잖은가. 난 부끄러워하지 않겠어. 그게 뭐 대수야?”

“그런데 자네 아나? 정말 이상한 게 뭔지?”

“그게 뭔데요?”

“의존하는 걸 즐기기 시작했다는 점이야. 이젠 사람들이 날 옆으로 눕히고 짓무르지 말라고 크림을 엉덩이에 발라주는 게 즐겁단 말일세. 혹은 눈썹을 닦아주거나 다리를 마사지해주는 게 좋아. 난 그걸 만끽하지. 눈을 감고 거기에 빠지는 거야. 그럼 아주 익숙한 일로 여겨지거든.”

그는 아주 기분 좋은 듯 말을 이어나갔다.

“아기로 되돌아간 것 같아. 누군가가 목욕을 시켜주고. 들어서 안아주고. 엉덩이를 닦아주고. 우리 모두 아기가 되는 것이 어떤지 잘 알잖아. 모두 자기 안에 그런 마음을 가지고 있지. 난 그걸 즐기는 방법을 기억해내고 있는 중이야.”

난 너무나 놀라워 그분을 새삼스레 쳐다본다.

“어머니는 우리를 안아주고 흔들어주고 머리를 쓰다듬어주고…. 사실 어머니가 아무리 많이 해줬어도 부족하지. 우리에겐 어떤 식으로든 그 시절로 돌아가길 바라는 마음이 있네. 무조건적인 사랑, 무조건적인 사랑, 무조건적인 보살핌을 받던 그 시절로 말일세. 우리 대부분은 충분히 받지 못했지. 내 경우 충분히 받지 못했다는 걸 알아.”

선생님을 보면서, 갑자기 깨달았다. 내가 몸을 숙이고 마이크를 바로잡아주거나 몸에 손대는 것을 그가 왜 그리 즐거워했는지. 78살에, 선생님은 어른으로서 나눠주고 아기로서 받고 있었다.

 

Later that day, we talked about aging. Or maybe I should say the fear of aging—another of the issues on my what’s-bugging-my-generation list. On my ride from the Boston airport, I had counted the billboards that featured young and beautiful people. There was a handsome young man in a cowboy hat, smoking a cigarette, two beautiful young women smiling over a shampoo bottle, a sultry-looking teenager with her jeans unsnapped, and a sexy woman in a black velvet dress, next to a man in a tuxedo, the two of them snuggling a glass of scotch.

~~~그날 나중에 우리는 나이 드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다. 아니 내 입장에서는 나이 드는 것에 대한 두려움에 대해서 라고 하는 편이 낫겠다. 그것은 우리 세대가 고민하는 주제이다. 보스턴 공항에서 차를 타고 오면서, 젊고 잘생긴 사람들이 그려진 간판을 여러 개 봤다, 젊은 미인 둘이 샴푸병을 들고 미소 짓는 간판, 야하게 생긴 10대 소녀가 청바지 지퍼를 열고 서 있는 간판, 검은 벨벳 드레스 차람의 섹시한 여인이 턱시도를 입은 남자 옆에서 스카치 잔을 들고 서 있는 간판….

 

Not once did I see anyone who would pass for over thirty-five. I told Morrie I was already feeling over the hill, much as I tried desperately to stay on top of it. I worked out constantly. Watched what I ate. Checked my hairline in the mirror. I had gone from being proud to say my age—because of all I had done so young—to not bringing it up, for fear I was getting too close to forty and, therefore, professional oblivion.

35살이 넘는 모델은 단 한 사람도 없었다. 나는 모리 선생님에게 정상에 있으려고 필사적으로 버티지만 벌써 언덕을 넘어 내리막길에 들어선 기분이라고 말했다. 먹는 것을 조심하고, 거울 앞에서 머리가 얼마나 벗겨졌는지 점검하고, 젊었을 때는 자랑스럽게 나이를 말했는데 이젠 더 이상 나이 얘기를 꺼내지 않게 되었다고. 또 직업적으로 인기를 잃을까봐 사십 줄에 가까워지는 것이 두렵다고.

 

Morrie had aging in better perspective.

“All this emphasis on youth—I don’t buy it,” he said. “Listen, I know what a misery being young can be, so don’t tell me it’s so great. All these kids who came to me with their struggles, their strife, their feelings of inadequacy, their sense that life was miserable, so bad they wanted to kill themselves …

“And, in addition to all the miseries, the young are not wise. They have very little understanding about life. Who wants to live every day when you don’t know what’s going on? When people are manipulating you, telling you to buy this perfume and you’ll be beautiful, or this pair of jeans and you’ll be sexy—and you believe them! It’s such nonsense.”

Weren’t you ever afraid to grow old, I asked?

“Mitch, I embrace aging.”

Embrace it?

“It’s very simple. As you grow, you learn more. If you stayed at twenty-two, you’d always be as ignorant as you were at twenty-two. Aging is not just decay, you know. It’s growth. It’s more than the negative that you’re going to die, it’s also the positive that you understand you’re going to die, and that you live a better life because of it.”

그러나 선생님은 나이 먹는 것을 좀 더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봤다.

“세상 사람들은 젊음을 강조하지만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잘 들어보게 젊다는 것이 얼마나 처참할 수 있는지 난 잘 알아. 그러니 젊다는 게 대단히 멋지다고는 말하지 말게. 젊은이들은 갈등과 고민과 부족한 느낌에 늘 시달리고, 인생이 비참하다며 나를 찾아오곤 한다네. 너무 괴로워서 자살하고 싶다면서….”

나는 그의 말을 들으면서 나의 생활을 떠올렸다.

그는 계속 말을 이어나갔다.

“그런데 젊은이들은 이런 비참함을 겪는 것으로도 모자라 아둔하기까지 하지. 인생에 대해 이해하지도 못하지.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는데 누가 매일 살아가고 싶겠나? 이 향수를 사면 아름다원진다거나 이 청바지를 사면 섹시해진다고 하면서 사람들이 조작해대는데 바보같이 그걸 믿다니! 그런 어처구니없는 일이 또 어디 있어.”

“늙어가는 것이 두렵지 않으셨어요?”

“미치, 난 나이 드는 것을 껴안는다네.”

“껴안아요?”

“아주 간단해. 사람은 성장하면서 점점 많은 것을 배우지. 22살에 머물러 있다면, 언제나 22살만큼 무지할 거야. 나이 드는 것은 단순히 쇠락만은 아니네. 그것은 성장이야. 그것은 곧 죽게 되리라는 부정적인 사실 그 이상이야. 그것은 죽게 될 거라는 것을 ‘이해’하고, 그 때문에 더 좋은 삶을 살게 되는 긍정적인 면도 지니고 있다구.”

 

Yes, I said, but if aging were so valuable, why do people always say, “Oh, if I were young again.” You never hear people say, “I wish I were sixty-five.”

He smiled. “You know what that reflects? Unsatisfied lives. Unfulfilled lives. Lives that haven’t found meaning. Because if you’ve found meaning in your life, you don’t want to go back. You want to go forward. You want to see more, do more. You can’t wait until sixty-five.

“Listen. You should know something. All younger people should know something. If you’re always battling against getting older, you’re always going to be unhappy, because it will happen anyhow.

“네…. 하지만 나이 먹는 게 그렇게 귀중한 일이라면 왜 모두들 ‘아, 다시 젊은 시절로 돌아갔으면…’ 하고 말할까요? 누구도 ‘빨리 65살이 되면 좋겠다.’라고는 하지 않잖아요.”

“그게 어떤 것을 반영하는지 아나? 인생이 불만족스럽다는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지. 성취감 없는 인생, 의미를 찾지 못한 인생 말야. 삶에서 의미를 찾았다면 더 이상 돌아가고 싶어 하지 않아. 앞으로 나가고 싶어 하지. 더 많은 것을 보고, 더 많은 일을 하고 싶어 하지. 아마 65살이 되고 싶어 견딜 수 없을걸.”

선생님은 미소지었다.

“잘 들어보게. 자넨 알아야 해. 젊은 사람 모두 알아야 한다구. 늘 나이 먹는 것에 맞서 싸우면, 언제나 불행해. 어쨌거나 결국 나이는 먹고 마는 것이니까.”

“그렇군요.”

 

“And Mitch?”

He lowered his voice.

“The fact is, you are going to die eventually.”

I nodded.

“It won’t matter what you tell yourself.”

I know.

“But hopefully,” he said, “not for a long, long time.”

He closed his eyes with a peaceful look, then asked me to adjust the pillows behind his head. His body needed constant adjustment to stay comfortable. It was propped in the chair with white pillows, yellow foam, and blue towels. At a quick glance, it seemed as if Morrie were being packed for shipping.

“Thank you,” he whispered as I moved the pillows.

No problem, I said.

“그런데. 미치?”

그는 갑자기 목소리를 낮췄다.

“사실, 결국 자네도 죽게 될 거야.”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자네가 자신에게 뭐라고 얘기하든 끝내 그렇게 될 거야.”

“네, 알아요.”

“하지만 다행히 오랫동안, 아주 오랫동안은 그런 일이 없겠지.”

그가 말했다.

선생님은 평화로운 표정으로 눈을 감고는, 머리를 괸 베개를 고쳐달라고 부탁했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려면 계속 몸을 괸 쿠션 따위를 이리저리 움직여야 했다. 의자에는 흰 베개와 노란 고무 받침대, 파란 수건이 있었다. 그래서 언뜻 보면 선생님은 부치려고 싸놓은 수화물 같았다.

“고맙네.”

내가 베개를 고쳐주자 그가 속삭였다.

“별 것도 아닌데요 뭐.”

 

“Mitch. What are you thinking?”

I paused before answering. Okay, I said, I’m wondering how you don’t envy younger, healthy people.

“Oh, I guess I do.” He closed his eyes. “I envy them being able to go to the health club, or go for a swim. Or dance. Mostly for dancing. But envy comes to me, I feel it, and then I let it go. Remember what I said about detachment? Let it go. Tell yourself, ‘That’s envy, I’m going to separate from it now.’ And walk away.”

He coughed—a long, scratchy cough—and he pushed a tissue to his mouth and spit weakly into it. Sitting there, I felt so much stronger than he, ridiculously so, as if I could lift him and toss him over my shoulder like a sack of flour. I was embarrassed by this superiority, because I did not feel superior to him in any other way.

“미치.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지?”

나는 잠시 멈칫거리다 대답했다.

“선생님이 어떻게 더 젊고 건강한 사람을 부러워하지 않으시는지 궁금해요.”

그는 눈을 감았다.

“아니, 부러워한다네. 젊고 건강한 사람들이 헬스클럽에 가거나 수영을 하러 갈 수 있는 게 부럽지. 혹은 춤을 추러 가거나 하는 것이. 그래, 춤추러 갈수 있는 것이 가장 부러워. 하지만 부러운 마음이 솟아오르면, 난 그것을 그대로 느낀 다음 놔버린다네. 내가 벗어나기에 대해 말했던 걸 기억하지? 놔버리는 거야. 그리고 스스로에게 이렇게 말해. ‘그건 부러운 마음이야. 이젠 이런 마음에서 벗어나야겠다.’ 그런 다음 거기서 걸어 나오는 거지.”

선생님은 목구멍에 탁탁 걸리는 기침을 오래도록 하더니 입에 휴지를 대고 힘없이 침을 뱉었다. 그렇게 앉아 있으려니 나는 그분보다 훨씬 건강한 기분이 들었다. 선생님을 밀가루 부대처럼 어깨에 둘러멜 수 있을 것 같았다. 아주 이상한 기분이었다. 이런 우월감이 몹시 당황스럽게 느껴졌다. 건강하고 젊은 것 외에는 다른 어떤 면에서도 모리 선생님에게 우월감을 느끼지 못하는 나이기에.

 

How do you keep from envying …

“What?”

Me?

He smiled.

“Mitch, it is impossible for the old not to envy the young. But the issue is to accept who you are and revel in that. This is your time to be in your thirties. I had my time to be in my thirties, and now is my time to be seventy-eight.

“You have to find what’s good and true and beautiful in your life as it is now. Looking back makes you competitive. And, age is not a competitive issue.”

He exhaled and lowered his eyes, as if to watch his breath scatter into the air. “The truth is, part of me is every age. I’m a three-year-old, I’m a five-year-old, I’m a thirty-seven-year-old, I’m a fifty-year-old. I’ve been through all of them, and I know what it’s like. I delight in being a child when it’s appropriate to be a child. I delight in being a wise old man when it’s appropriate to be a wise old man. Think of all I can be! I am every age, up to my own. Do you understand?”

I nodded.

“How can I be envious of where you are—when I’ve been there myself?”

“어떻게 질투가 나지 않으세요….”

“뭐라고?”

“내가?”

그는 슬며시 웃었다.

“미치, 늙은 사람이 젊은이들을 질투하지 않기란 불가능한 일이야. 하지만 자기가 누구인지 받아들이고 그 속에 흠뻑 빠져드는 것이 중요하지. 지금 자네는 30대를 살고 있지. 나도 30대를 살아봤어. 그리고 지금 나는 78살이 되는 때를 맞이했네.”

선생님은 갑자기 진지한 표정을 지으며 말을 이었다.

“살면서 현재 자신의 인생에서 무엇이 좋고 진실하며 아름다운지 발견해야 되네. 뒤돌아보면 경쟁심만 생기지. 한데 나이는 경쟁할 만한 문제가 인거든.”

선생님은 숨을 내쉬고 눈을 내리깔았다. 마치 숨이 공중에 퍼지는 모습을 지켜보기라도 하는 것처럼.

“사실, 내 안에는 모든 나이가 다 있네. 난 3살이기도 하고, 5살이기도 하고, 37살이기도 하고, 50살이기도 해, 그 세월들을 다 거쳐 왔으니까, 그때가 어쩐지 알지 어린애가 되는 것이 적절할 때는 어린애인 게 즐거워. 또 현명한 노인이 되는 것이 적절할 때는 현명한 어른이 것이 기쁘네. 어떤 나이든 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보라구! 지금 이 나이에 이르기까지 모든 나이가 다 내 안에 있어. 이해가 되나?”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이런데 자네가 있는 그 자리가 어떻게 부러울 수 있겠나. 내가 다 거쳐 온 시절인데?”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