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리아 내전을 종식시키기 위한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다시 교착상태에 빠짐에 따라 서방 언론으로부터 반기문 유엔 총장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 외교 전문지 “포린 어페어스(Foreign Affairs)의 조나단 테퍼먼 편집장은 24일 (현지시간)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International Herald Tribune)에 “반기문, 당신은 어디 있는가(Where are you, Ban Ki-moon)”이란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
그는 이 글을 통해 반 총장이 시리아를 포함해 최근 국제사회에 있었던 사태에서 뾰족한 해법을 제공하지 못했다면서 “투명인간 총장 (invisible secretary general)”라고 비판했다.
테퍼먼은 “반 총장과 유엔은 (시리아 내의) 대학살에서 완전히 무능(totally ineffective)했으며 이것은 그 스스로도 인정하는 바이다”라고 적었다.
그는 반 총장을 “수동적”이라고 묘사하며 시리아 사태와 더불어 2009년 스리랑카 유혈사태 당시에도 별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반 총장이 “어설픈 의사전달자 (clumsy communicator)”라며 그가 영어를 잘 하지 못해 말할 때 메모에 의지하는 경향이 있다고 적었다. 그는 익명을 요구한 한 전직 유엔 고위직원을 인용하며 여러 국가들의 고위 관리들이 반 총장과 만났을 때 그가 대화가 부족한 점에 실망하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했다.
<관련 영문 기사>
Ban Ki-moon blasted as ‘invisible’ U.N. chief
The managing editor of influential U.S. foreign policy magazine Foreign Affairs said Tuesday that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has been completely ineffective as a shaper of global affairs.
Among numerous alleged failings, Jonathan Tepperman said Ban had failed to address the crisis in Syria, while attacking his “clumsy” communication skills, including poor English proficiency.
“Ban and the United Nations have been totally ineffectual in stopping the carnage, as he himself recently acknowledged,” Tepperman wrote in a column for the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describing the secretary-general as “otherwise invisible.”
“He’s been called among the worst secretaries general in U.N. history, a powerless observer and a nowhere man,” he said.
He pointed to the “passivity” of the South Korean-born U.N. chief in his failure to speak out against violence in Syria as well as the bloody civil war in Sri Lanka in 2009.
Tepperman said Ban was also a terrible communicator. He said that Ban was uncomfortable in English and had to rely on notes to make his speeches, during which he “struggles to convey intellectual heft or moral drama.”
Tepperman quoted an unnamed former high-level U.N. official who told him that senior heads of government were often disappointed by his “lack of engagement.”
The journalist, however, recognized that Ban’s supposed lack of capability to get anything done stemmed from the nature of his job, rather than his level of competence. The top U.N. official is often viewed as a world leader but has little power to enforce his will, he said.
Tepperman claimed that Ban’s “fecklessness” was why world powers, tired of the confrontational figure of Ban’s predecessor Kofi Annan, tapped him for the job in the first place.
전문주소: http://m.koreaherald.com/view.php?ud=20130925001060#jyk
첫댓글 (절레절레)
이소리 한두번듣는것도 아닌데 총장님 피드백좀 해주지..
원래 사무총장이 큰 힘없는 자리 아냐?
근데맞는말..
헐 반기문이 영어를 못한다니...위인전만 보고자라서 기사보고 충격먹었다 아직 내가 어려서 그른가ㅠ
화이팅
유감봇
목소리를 크게 안내시긴 하는듯... 에휴
ㅓㅇ... 진짜?
ㅁㅈ 확실히우리나라에서너무추앙한건있음
근데 유감이란 말 저럴 때 쓰는 거 아닌데 뭔 인간들이 뭐만 잘못 됐다하면 에잉~ 그런 뜻으로 쓴 거 아닌데~ 오해소지~ 유감~ 이래서......에휴
마쟝 옛날부터좀느낌 우리나라 분위기가 워낙 받들여줘서 말안햇지만.. 착한분운맞는데 여기가서 이게 좋다하고 저기가선 저가 좋다하고 ㅋㅋ 눈치 엄청보는 타입..
한국에서만 반기문 와 대단하다 하지 실상은 아니쟈나.... 미국 눈치엄청보고.. 유감의 아이콘 무능력의 아이콘.. 네임벨류 하나만으로 차기대선후보에 거론된다는것 자체가 웃김.
ㅁㅈ 뭐한걸못봄
마자...유엔이 힘이 너무 없다고 느껴짐
원래 저자리 강대국이 총장하면 강대국이 대놓고 유엔움직이는걸로 보이니까 항상약소국이 총장이엇어요 실상은 미국 유럽 강대국꺼예요 잘하면 연임시켜주는게아니라 별일없으면 연임하는게 의례라고들엇어요
대박..글쿠만...
33ㅋㅋ....
이 분 최근 스케줄에 정주나 마이크 채워주기 있을듯
에휴
한국 돌아와서 새누리당에서 정치한다고 나서지나 마셨으면; 한 게 뭐가 있다고.. IS문제도 입꾹. 난민도 입꾹
무능력총장님 우리나라에서 책까지 나오는 이유 노이해 단순히 사무총장이라는게 추앙받을정도로 우리나라에 인물이 없나 싶음ㅠㅠ
것보다 능력없는걸로 비판이 엄청 나와야 정상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