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어떻게
h는 과거 kh발음
우리말의 사투리
으카우 어카우 으하우 어캐
뭐꼬? 이거 어케(어떻게) 하지?
으카우 혹은 으캐뿌-->어원
으카뿌,으캐뿌-->어떻게 해야 하나?의 경상도사투리
w는 과거 v발음 더 올라가면 f발음 정도.
내가 사는 경상도에서는 어떻게를 어여캐 라고도 말을 한다.
참고로 여기는 울산 촌구석임.그 중에서도 범서읍 구영리다.
국어사전
1. 어카노-->이말은 어떻게 해야하나, 의 경상도 지방의 말입니다.
으 는 음가가 없으니 생략이 잘 된다.
영어 어원에서 으 ,어,이,예 를 첨가하면 우리말이 잘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beautiful 역시 마찬가지다.
이뻤어뿔-->이쁘다의 경상도사투리
pretty 이쁘데이 이뻣떼이
예쁘다,이쁘다의 경상도사투리
how는
베트남어의 bao랑 어원이 역시 같다.
kh는 gh와 호환관계
gh는 k발음뿐만 아니라 f발음도 난다.
enough,tough,cough,rough에서의 gh발음
快는 북경어에서 콰이 로 발음하지만 광동어에서 快 빠를,쾌 가 파이 로 불리는 까닭을 아는가?
kh는 f발음과도 호환 그래서 빨리 팔리 파리-->파히-->파이
話의 한자상고음이 khwrat이다 어떻게 화 로 진행될까?
말하다의 상고음이 갈했다[가래따]---->(변화를 거듭하여) 말했다
영어 call
콜 쿨 불 볼
불 火 브르 그르-->구르-->구흐-->굽- (굽다,bake,burn)
카르 바르 부르
부르다의 어근 브르 버르 와 어원이 같다.
구리= 부리 고구려를 구리 라 하였고 부여를 부리 라고 하였다.
이 둘은 발음상 호환관계로 어원이 같은 것이다.
khwrat-->khwr
카르 파르 모두 가능하다
입술발음 ㅍ-->ㅂ-->ㅁ 발음변천과정
파르-->바르-->마르-->말(言)
이런 발음현상이 그 해답을 제시한다.
kh의 f발음으로 w음은 순경음ㅂ 역할로 생략이 잘 되지.
kh가 탈락하고 wrat이 남는 경우도 있다.
w는 과거 v발음
퐈르-->화르-->화
봐르-->봐
받침 t-->d--->r 로 연음이 되어 r이 탈락한다.
bao nhiêu
얼마나 많이
발음 [바오 니에우]
ㅂ(베트남어)<---ㅍ<--->ㅎ(한국어,영어) 호환
한자상고음으로 가면 우리고유어의 모습이 드러난다.
Chinese: "話" | Query method: Match substring
Proto-Sino-Tibetan: *khʷrāt ( ~ ghʷ-)
Meaning: speech
Chinese: 話 *ghʷrāts speech, lecture.
Character: 話
Modern (Beijing) reading: huà
Preclassic Old Chinese: ghʷrāts
Classic Old Chinese: ghwrāć
Western Han Chinese: wrāś
Eastern Han Chinese: wrāś
Early Postclassic Chinese: wạ̄ś
Middle Postclassic Chinese: wạ̄̀j
Late Postclassic Chinese: wạ̄̀j
Middle Chinese: ɣwạ̀i
English meaning : speech, lecture
Russian meaning[s]: 1) слова, выражения; 2) речь, язык, диалект; 3) разговор, беседа; разговаривать; 4) слово, завершающее конструкцию условного предложения
Comments: Standard Sino-Viet. is thoại (with unclear th-). For *ghʷ- cf. Xiamen, Chaozhou ue6, Fuzhou, Jioanou ua6.
Dialectal data: Dialectal data
Number: 1730
Character: 話
MC description : 蟹合二去夬匣
ZIHUI: 6114 0133
Beijing: xua 3
Jinan: xua 3
Xi'an: xua 3
Taiyuan: xua 3
Hankou: xua 3
Chengdu: xua 3
Yangzhou: xuâ 3
Suzhou: ɦo 32
Wenzhou: ɦo 32
Changsha: fa 32
Shuangfeng: o 32
Nanchang: фua 32 (lit.); ua 32
Meixian: fa 3
Guangzhou: ua 32
Xiamen: hua 32 (lit.); ue 32
Chaozhou: ue 32
Fuzhou: ua 32
Shanghai: ɦo 32
Zhongyuan yinyun: xua 3
Radical: 149
Four-angle index: 1299
Karlgren code: 0302 o
Vietnamese reading: vè
Tibetan: gros advice, speech, talk.
Lepcha: krut advice, council, opinion, consultation
Comments: Gong 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