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꽃 이야기
1. 꽃이란?
-정서적 위안과 기쁨을 주는 식물의 생식기관
-자연과 인간이 교감할 수 있는 매개체
-가구는 사람의 마음이 담긴 그릇이요 대변인
-타인의 마음을 여는 열쇠
-대지는 꽃을 통하여 웃고, 식물은 잎과 꽃으로 시를 씀
-찬란한 보석에는 생명이 없지만 꽃에는 생명과 신비가 있음
2. 꽃 철학
-서양 : 화려한 색채와 모양, 강렬한 향기
-동양 : 기품과 절개, 은은한 향기
●제1품 : 소나무, 대나무, 국화, 연꽃
●제2품 : 모란
●제3품: 영산홍,철쭉,석류,벽오동
●제4품: 작약, 서향, 단풍, 동백
●제5품: 치자, 해당화, 복사꽃
●제6품: 진달래, 파초
●제7품: 살구, 배, 정향(라일락), 목련
●제8품: 매화
●제9품:옥잠화, 패랭이꽃
3. 야생화의 개념
-사람이 돌보지 않은 상태로 산, 들에서 자라는 식물
-자생화, 산야초, 들꽃, 토종꽃, 우리 꽃, 한국화 등 통용
-야생화란 우리나라 산야에서 오랫동안 자라는 식물
4. 야생화가 주는 의미
-고향의 정취와 아련한 향수를 느끼게 한다.
-자연의 섭리와 오묘함과 생명의 위대함을 알게 한다.
-인연의 이 치르 깨우쳐 인생을 되돌아보게 된다.
-사색, 명상을 통한 내적 깨달음과 우주에너지를 얻는다.
-농심을 심어준다: 인과응보, 더불어 사는 사회
5. 야생화 전망과 이용방안
5-1 사회 문화적 측면
-소득향상으로 우수성 자각 :『GNP 33,127$/2023년 시대 』
-환경보전 중요성 부각 생태조경이용:『무한소비성 농산물』
-웰빙. 로하스 열풍으로 건강식품 부각
-자연의 색 추출 한국적인 색깔 상품화
-압화소재 이용 문화예술 상품제작- 『 한국의 손재주 』
5-2 산업경제적 측면
-생물공학 기술과 접목 고부가가치 BT 산업화
-천연향 추출물 문화상품 : 『자기 향수 시대 도래 』
6. 야생화 현황과 이름유래
-3,832종(자생식물) + 342종(외래식물) =4,174종
-화훼가능 품목 : 593종
7. 한국특산 속식물의 종류
-우리나라에만 서식하는 특산 속은 7개
▶금강인가목 속 (장미과) → 북부지방
▶ 금강초롱 속 (초롱꽃과) → 중부지방
▶ 개느삼 속 (콩과) → 중부지방
▶ 미선나무 속 (물푸레나무과) → 중부지방
▶ 매미꽃 속 (양귀비과) → 중부지방
▶ 모데미풀 속 (미나리아재비과) → 중부지방
▶ 제주고사리삼 속 (나도고사리삼과) → 제주도
8.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 멸종위기 1급 (환경부지정 8종) : 광릉요강꽃, 나도풍란, 암매, 만년콩, 한란, 섬개야광나무, 죽백란, 풍란
- 희귀 식물 멸종위기종 외 (산림청지정 571종) : 벌레먹이말, 파초일엽, 다시마고사리삼, 무등풀, 섬 댕강나무, 주걱 댕강나무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