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자 : 修德寺 / 로마자 : Sudeoksa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덕숭산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7교구 본사이다.
충남 일대에 말사 약 50여 개를 두었고, 우리나라 7대총림(叢林) 중 덕숭총림(德崇叢林)으로 불교계에서 중요한 사찰이기도 하다.
예산군에서 가장 큰 사찰이자 예산군을 상징하는 랜드마크라 봐도 무방하다.
2. 역사
절에 대해 딱히 남은 기록은 없어서 수덕사를 언제 누가 창건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대단히 유서 깊은 곳인 듯하다. 전해오는 바에 따르면 6세기 백제 위덕왕 때 건립되었다고 하는데, 이를 뒷받침하듯 경내에서 백제시대 와당들이 발견되기도 했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대체적으로 백제 후기에 창건되었으리라 추정한다.
이후 14세기 중엽 고려 공민왕 때 나옹이 수덕사를 중수했다고도 전하는데, 이 역시도 딱히 정확한 기록은 남은 것이 없다. 다만 대웅전은 고려 충렬왕 34년(1308년)에 건립되었음이 확실하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도 수덕사는 그럭저럭 잘 유지된 듯하다. 16세기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에도 수덕사 관련 기록이 나온다. 19세기 조선 말에 들어서자 사세가 약해졌지만, 고종 2년(1865년)에 만공이 중창하여 사세가 크게 일어섰고 이후로 선종 유일의 근본도량으로 남았다.
20세기에 들어서 일제강점기인 1911년에는 조선총독부가 내린 사찰령으로 마곡사의 말사로 들어갔다. 광복 이후 1962년 조계종 총회는 수덕사를 마곡사의 말사에서 제7교구 본사로 승격하고, 1984년 조계종 총회는 수덕사를 총림으로 승격하여 1984년 당시 우리나라 4대 총림 중 덕숭총림(德崇叢林)이 되었다.
3. 가람 및 중요 문화재
일반적인 산사의 가람배치처럼 수덕사도 대웅전을 중심으로 하고, 대웅전 양옆에는 스님들이 수도하는 승방인 백련당과 청련당이 있다. 이외에도 경내에는 명부전, 염화실 등의 건물이 있으며, 경외의 암자로는 만공이 참선도량으로 세운 정혜사(定慧寺)를 비롯해서 비구니 참선도량 견성암(見性庵), 금선대(金仙臺), 환희대(歡喜臺) 등이 있다.
경내의 중요 문화재로는 저 유명한 대웅전을 비롯해서, 국가지정문화재로 보물 제1263호 수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보물 제1381호 예산 수덕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이 있다.
수덕사의 시도지정문화재로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3호인 수덕사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1호 수덕사칠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92호 수덕사유물(고려 공민왕 거문고),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84호 수덕사소장소조불상좌상이 있다.
또한 불교문화재로는 드물게도 등록문화재 제473호로 지정된 예산 수덕사 만공탑도 있다. 만공 스님을 기리는 승탑(부도)이다. 사리를 수습하지 말라는 만공의 유언을 따라서 사리가 봉안되어 있진 않다.
3.1. 예산 수덕사 대웅전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예산 수덕사 대웅전 문서를 참고
3.2. 수덕사 3층석탑
수덕사 내부에 있는 화강암으로 만든 3층석탑이며, 2층 탑신이 약간 파손되어있다. 옥개와 탑신부는 각각1석으로 되어있다.
4. 수덕사를 거쳐간 스님들
수덕사와 인연이 있는 스님들을 다루는 장이다.
경허 성우(鏡虛 惺牛, 1849~1912)
만공 월면(滿空 月面, 1871~1946) - 경허 성우의 제자이다.
춘성 - 만공 월면의 법제자이다.
고봉(古峰, 1890 ~ 1961) - 만공 월면의 법제자로 수덕사에서 승산에게 비구계를 주었다. 고봉스님은 숭산스님의 스승이기도 하며, 숭산스님 회고에 따르면 만공 회상 제일가는 선지식이라는 평을 남기셨다.
숭산 행원(崇山 行願, 1927~2004) - 수덕사에서 고봉에게 비구계를 받았다. 숭산스님은 해외포교에 적극적이었고, 외국인 스님인 대봉, 현각, 청안, 무량 등 많은 제자를 두었다. 화계사와 충남 계룡시에 위치한 무상사 조실을 역임하셨다.
4.1. 역대 주지
벽초 경선(碧超 鏡禪, 1899 ~ 1986) - 초대, 2대, 3대, 6대, 8대 주지 역임
원담 진성(圓潭 眞性, 1926 ~ 2008) - 4대, 5대, 7대 주지 역임
혜우(慧雨, 1938 ~ )
설정 송원(雪靖 松原, 1941 ~ ) - 11대, 12대, 13대, 14대 주지 역임
법성 우송(法城 愚松, 1943 ~ ) - 15대 주지 역임
인곡 법장(仁谷 法長, ~ 2005) - 16대, 17대, 18대 주지 역임
운경 법정(1944 ~ ) - 제19대 주지(2003 ~ 2007) 역임
옹산 법광(1945 ~ ) - 제20대 주지(2007 ~ 2011) 역임
지운(1956 ~ ) - 제21대 주지(2011~2015.3)역임
정묵 - 22대, 23대 주지 역임
도신 - 24대 주지
4.2. 역대 방장
혜암 현문 (惠庵 玄門, 1884 ~ 1985) - 초대 방장 역임
벽초 경선 (碧超 鏡禪, 1899 ~ 1986) - 2대 방장 역임, 벽초 경선스님은 조선말 1899년 충청남도 청양에서 태어나셨다. 탁발을 하러 온 만공 선사의 모습을 보고, 부친과 함께 출가를 하였다고 전해진다. 벽초 경선스님은 "보고, 듣고, 말하는 이 모든게 공부다." 라도 말씀을 하였고, 평생 법상에 오르지 안았으며, 절도 1배 이상을 받지 않으셨다고 전해진다. 수덕사의 주지와 방장을 역임하면서 진정으로 선농일치의 삶과 평생 가람을 수호하는데 매진하셨다. 벽초 스님의 제자로는 원담 스님 등이 있다,
원담 진성 (圓潭 眞性, 1926 ~ 2008) - 3대 방장 역임
송원 설정 (松原 雪靖, 1941 ~ ) - 4대 방장 역임
달하 우송 (達河 愚松) - 5대 방장
5. 여담
수덕사 불상 내에서 희귀 불경들이 발견되었다.
수덕사를 배경으로 한 송춘희의 노래 '수덕사의 여승'이 있다. 가사는 수덕사에 있는 비구니가 속세에 두고 온 애인을 잊으려 법당에서 기도하며 눈물을 흘린다는 내용.
수덕사의 다비식 역시 매우 유명하다. 보통 하루 꼬박 걸리는 타 절의 다비식과 달릴 수덕사의 다비식은 4~5시간 정도로 매우 간결하다. 다비식에 쓰이는 장작 역시 수덕사 인근 산에서 직접 조달하며 신분을 높낮이를 가리지 않고 모든 스님에게 열려있다. 수덕사 다비식의 또다른 특징으로 특수한 이유가 있지 않는 이상 사리를 찾지 않는 것이 있다.
수덕사는 우리나라의 4대 총림 가운데 하나인 덕숭총림이라고 불리운다. 총림이란 선월, 강원, 율원과 염불원 등을 갖추고 있는 절의 형태를 의미하는데, 덕숭총림의 경우, 흔히들 우리나라 양대 불교 법맥이라고 할수 있는 경허-만공 덕숭총림과 용성-동산으로 이러지는 범어문중을 대표적으로 드는데, 경허 및 만공스님의 법맥으로 이은 대표적인 절이다. 덕숭총림의 절인 수덕사는 만공스님의 말년까지 머물렀던 절이고, 실제 만공스님의 제자인 벽초, 원담 스님 등이 계셨던 곳이기도 하다. 전 방장이셨던 원담스님은 선필(禪筆)이라고 하여, 붓글씨로 불교의 선의 경지를 보여 주었다고 전해진다. 수덕사 경내에 있는 수덕사 선미술관 및 성보박물관을 방문하면 간혹 원담스님의 글씨와 경허스님과 만공스님의 진영이 모셔져 있으니, 시간이 있으면 둘러보는 것도 괜찮으니, 한 번 둘러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