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가치]연구보고서)청년정책의제연구 2차 이슈브리프
LAB2050 연구보고서
청년정책의제연구 2차 이슈브리프
2023 청년정책의제 : 청년정책의 미끄러짐과 회복
발행처
서울특별시, 서울시 청년허브, LAB2050
저자
신민준(예술대학생네트워크 활동가), 전성신(니트생활자 공동대표), 김상철(시시한연구소 공동소장), 김재경(독립연구자)
목차
1. 들어가며
1.1 다차원적 빈곤의 정책적 적용 문제
1.2 어떻게 하면 청년 정책이 괜찮을까
1.3 정책의 미끄러짐을 해명하기
2. 문화정책이냐, 청년문화냐: 청년사업 수용성을 위한 탐색적 분석
2.1 청년정책의 문화적 접근 필요성
2.1.1 예술정책으로 경도된 청년문화정책
2.1.2 새로운 청년 문화정책이 발견되기 어려운 이유
2.1.3 왜 청년정책에서 문화적 접근이 필요한가?
2.2 청년정책에서 문화적 요인은 어떻게 작용하였을까?
2.2.1 인터뷰 설계
2.2.2 전문가 인터뷰
2.2.3 사업별 인터뷰
2.3 청년 정책에서 발생하는 문화적 미끄러짐 현상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향
2.3.1 청년정책 과정에 존재하는 문화적 요인의 유형화 제안
2.3.2 청년정책에서 발생하는 문화적 공백과 미끄러짐
2.3.3 향후 문화적 요인을 고려하기 위한 청년 정책의 방향
3. 니트 : 사회적 지지가 니트 청년의 긍정적 전환에 미치는 영향
3.1 니트 청년, 여전히 취업만이 유일한 길인가
3.1.1 니트 청년 현황과 정책 정리
3.1.2 니트 관련 선행연구 분석
3.1.3 연구 방법 및 설계
3.2 청년의 생애 곳곳에 니트 상태가 있다.
3.2.1 차원 : 니트 상태가 되는 구조
3.2.2 전환 : 커뮤니티 경험이 주는 긍정적 전환
3.3.3 적응 : 전환된 인식과 시도
3.3.4 니트 청년들은 왜 커뮤니티를 찾을까
3.3 니트 청년의 ‘긍정적 전환'과 ‘지속적인 시도’는 어떤 차이를 만들까
4. 나가며
4.1. 2차 이슈브리프의 의의
4.2. 정책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