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하는 음식점 트랜드(김밥집과 분식집)
쌀밥 등 탄수화물 섭취를 기피하는 트렌드와
인구 감소 그리고 카페나 편의점에서 끼니를 해결하는 이들이 많아
김밥을 취급하는 김밥집 및 분식집이 감소했다는 통계청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김밥집 개수는
2016년 4만1726개
2020년 4만8822개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2021년 4만8898개로 76개 늘어난 후
2022년 4만6639개로(4.6% 감소) 했습니다
이 기간 전국의 음식점 개수는 0.5% 줄어드는 데 비해
김밥집과 분식집이 줄어드는 폭이 크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외식업 관련 가맹점 개수는 오히려 늘어나
2022년 17만9923개로 2021년보다 7.4% 늘었고,
업종별로는
한식과 제과제빵, 피자, 커피, 주점 가맹점 수가
모두 전년대비 5~13% 늘었다.
이는 김밥집과 분식집을 운영하는 이들은
젊은 고객은 줄어들고 있고 특히 탄수화물 증심의 메뉴가
“젊은 손님들에게 외면 받고 있는 현상이 아닌가?”라며 말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탄수화물 기피 등 식습관 변화는 쌀 소비량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인당 쌀 소비량은 지난 2019년 59.2kg로, 처음으로 60㎏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쌀 1인당 연간 소비량은
2020년 57.7kg(코로나 영향으로 집밥 먹는 사람이 많았음)
2021년 56.9kg
2022년 56.7kg
2023년 56.4kg(1962년 조사가 시작된 이래로 가장 적음)
이러한 영향과 더불어 김밥집과 분식집이 줄어드는 현상은
간단하게 끼니를 떼우기 위해 김밥집과 분식집을 찾는 대신
편의점이나 카페를 찾는 이들이 늘어난 결과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실제 김밥집이 줄어든
지난 2022년 편의점 개수는 5만7617개로 전년보다 7.1% 늘어났습니다.
커피 전문점 개수도 10만729개로 4.5% 증가했습니다.
또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도 다양해진 영향도 있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와 더불어 저렴한 음식 가격(지금은 저렴하지도 않지만, 편의점이나 카페에 비해)으로
노동력이 많이 수반되는 상황에서 최저임금의 상승과 고용 비용이 늘어나
인건비 부담으로 적정 이윤을 얻기가 매우 어려워진 상황이
김밥집과 분식집 운영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음식점 창업이나 운영에 이러한 트렌드를 잘 헤아려
음식점 콘셉트와 메뉴 구성 그리고 가격 책정에 신중을 기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