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ud 시끄럽다=noisy l로 시작하니 앞에 연구개음 kh가 생략이 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다. khloud kh는 sh sk와 호환이 된다. Sanskrit srutah 우리말 근간인 산스크리트어에 s다음 k발음이 생략이 되어 있다. 스끄르다-->시끄르다-->시끄럽다 r의 ㅎ은 ㅋ발음으로 변하기도 하고 ㅎ<-->ㅍ-->ㅂ 발음으로 전환되기도 한다. 국어사전 더럽다와 마찬가지의 발음현상이다. dirt 더르다 dirty 더럽다 받침 ㅂ은 우리나라에서 발전한 발음이다. loud (adv.) Old English hlude "loudly, noisily," from Proto-Germanic *khludai (source also of Dutch luid, German laut), from the source of loud (adj.). loud (adj.) Middle English, from Old English hlud "noisy; making or emitting noise" (of voices, musical instruments, etc.), from Proto-Germanic *hludaz "heard" (source also of Old Frisian and Old Saxon hlud, Middle Dutch luut, Dutch luid, Old High German hlut, German laut "loud"), from PIE *klutos- (source also of Sanskrit srutah, Greek klytos "heard of, celebrated," Latin inclutus "renowned, famous," Armenian lu "known," Irish cloth "noble, brave," Welsh clod "praise, fame"), suffixed form of root *kleu- "to hear." Of places, "noisy," from 1590s. Application to colors, garments, etc. ("flashy, showy") is by 1849. Also used colloquially of notably strong or bad smells. Paired with clear (adj.) at least since c. 1650. <시끄럽다>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 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참조하자. 르완다어 sakuriza는 소음으로 방해하다 (to disturb, agitate by making noise)의 뜻으로서, 과거형은 sakurije이며, va는 오다 (to come from)의 뜻이다.
한국어 <시끄럽다>는 르완다어 <sakurije + va>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소음으로 방해가 온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참고로, 르완다어 saku는 소음 (noise, clamour, shouts, row )의 뜻이다. |
출처: 영어어원연구 원문보기 글쓴이: 나비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