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너에게 편지를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 문학실 우리말 스크랩 청록파 시인-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흐르는 물 추천 0 조회 41 13.07.23 08:14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청록파 시인-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승무


조지훈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네라.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薄紗) 고깔에 감추오고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빈 대에 황촉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
오동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
돌아설 듯 날아가며 사뿐히 접어올린 외씨보선이여.


까만 눈동자 살포시 들어
먼 하늘 한 개 별빛에 모도우고


복사꽃 고운 빰에 아롱질 듯 두 방울이야
세사에 시달려도 번뇌는 별빛이라.


휘여져 감기우고 다시 접어 뻗는 손이
깊은 마음속 거룩한 합장인냥 하고


이밤사 귀또리도 지새는 삼경(三更)인데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네라.

 

 

 

(『청록집』. 을유문화사. 1946 : 『조지훈 전집 1』. 일지사. 1973)

 

----------------------

  봉황수(鳳凰愁)


  조지훈

 


  벌레먹은 두리기둥, 빛 낡은 단청 풍경소리 날러간 추녀 끝에는 산새도 비둘기도 둥주리를 마구 쳤다. 큰 나라 섬기다 거미줄 친 옥좌 위엔 여의주 희롱하는 쌍룡 대신에 두 마리 봉황새를 틀어 올렸다. 어느 땐들 봉황이 울었으랴만 푸르른 하늘 밑 추석(?石)을 밝고 가는 나의 그림자. 패옥 소리도 없었다. 품석 옆에서 정일품(正一品), 종구품(從九品) 어느 줄에도 나의 몸 둘 곳은 바이 없었다. 눈물이 속된 줄을 모를 량이면 봉황새야 구천에 호곡하리라.

 

 

(『청록집』. 을유문화사. 1946 : 『조지훈 전집 1』. 일지사. 1973)

 

----------------------
고사(古寺) 1

 

조지훈
 

 

목어(木魚)를 두드리다
졸음에 겨워


고오운 상좌아이도
잠이 들었다


부처님은 말이 없이
웃으시는데


서역(西域) 만리길


눈부신 노을 아래
모란이 진다.

 

 

 

(『청록집』.을유문화사. 1946: 『조지훈 전집. 일지사. 1973)

 

-------------------------
병에게


조지훈

 


어딜 가서 까맣게 소식을 끊고 지내다가도
내가 오래 시달리던 일손을 떼고 마악 안도의 숨을 돌리려고 할 때면
그때 자네는 어김없이 나를 찾아오네.


자네는 언제나 우울한 방문객
어두운 음계를 밟으며 불길한 그림자를 이끌고 오지만
자네는 나의 오랜 친구이기에 나는 자네를
잊어버리고 있었던 그 동안을 뉘우치게 되네


자네는 나에게 휴식을 권하고 생의 외경(畏敬)을 가르치네
그러나 자네가 내 귀에 속삭이는 것은 마냥 허무
나는 지그시 눈을 감고, 자네의
그 나즉하고 무거운 음성을 듣는 것이 더없이 흐뭇하네


내 뜨거운 이마를 짚어주는 자네의 손은 내 손보다 뜨겁네
자네 여윈 이마의 주름살은 내 이마보다도 눈물겨웁네
나는 자네에게서 젊은 날의 초췌한 내 모습을 보고
좀더 성실하게 성실하게 하던
그날의 메아리를 듣는 것일세


생에의 집착과 미련은 없어도 이 생은 그지없이 아름답고
지옥의 형벌이야 있다손 치더라도
죽는 것 그다지 두렵지 않노라면
자네는 몹시 화를 내었지


자네는 나의 정다운 벗, 그리고 내가 공경하는 친구
자네가 무슨 말을 해도 나는 노하지 않네
그렇지만 자네는 좀 이상한 성밀세
언잖은 표정이나 서운한 말, 뜻이 서로 맞지 않을 때는
자네는 몇날 몇달을 쉬지 않고 나를 설복하려 들다가도
내가 가슴을 헤치고 자네에게 경도(傾倒)하면
그때사 자네는 나를 뿌리치고 떠나가네
잘 가게 이 친구
생각 내키거든 언제든지 찾아주게나
차를 끓여 마시며 우리 다시 인생을 애기해보세그려.

 

 


(『조지훈 전집 1』. 나남. 1996)

―최동호 신범순 정과리 이광호 엮음『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선집 1900∼2000』 (문학과지성사, 2007)

 

-----------------
청노루


박목월

 

 

머언 산 청운사(靑雲寺)
낡은 기와집


산은 자하산(紫霞山)
봄눈 녹으면


느릅나무
속잎 피어가는 열두 구비를


청노루
맑은 눈에


도는
구름

 

 

 

(『청록집』. 을유문화사, 1946; 『박목월 시전집』.민음사. 2003)

 

-----------------------
나그네


박목월

 

                                          술 익은 강마을의

                         저녁 노을이여 ―― 지훈(芝薰)

 

 

강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남도 삼백리.


술 익은 마을마다
타는 저녁 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청록집』. 을유문화사, 1946; 『박목월 시전집』.민음사. 2003)

 

----------------------
난(蘭)


박목월


 

이쯤에서 그만 하직하고 싶다.

좀 여유가 있는 지금, 양손을 들고

나머지 허락받은 것을 돌려보냈으면.

여유 있는 하직은

얼마나 아름다우랴.

한포기 난을 기르듯

애석하게 버린 것에서

조용히 살아가고,

가지를 뻗고,

그리고 그 섭섭한 뜻이

스스로 꽃망울을 이루어

아아

먼 곳에서 그윽히 향기를

머금고 싶다.

 

 

 

(『난 기타』. 신구문화사, 1959; 『박목월 시전집』.민음사. 2003)

 

---------------
가정


박목월

 

 

지상에는
아홉 켤레의 신발.
아니 현간에는 아니 들깐에는
아니 어느 시인의 가정에는
알 전등이 켜질 무렵을
문수(文數)가 다른 아홉 켤레의 신발을.


내 신발은
십구문반(十九文半).
눈과 얼음의 길을 걸어.
그들 옆에 벗으면
육문삼(六文三)의 코가 납짝한
귀염둥아 귀염둥아
우리 막내둥아.


미소하는
내 얼굴을 보아라.
얼음과 눈으로 벽을 짜올린
여기는
지상.
연민한 삶의 길이어.
내 신발은 십구문반.


아랫목에 모인
아홉 마리의 강아지야
강아지 같은 것들아.
굴욕과 굶주림과 추운 길을 걸어
내가 왔다.
아버지가 왔다.
아니 십구문반의 신발이 왔다.
아니 지상에는
아버지라는 어설픈 것이
존재한다.
미소하는
내 얼굴을 보아라.

 


 

(『청담』. 일조각. 1964 : 『박목월 시선집』. 믿음사. 2003)

―최동호 신범순 정과리 이광호 엮음『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선집 1900∼2000』 (문학과지성사, 2007)

 

--------------
  해

 
  박두진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산넘어 산 넘어서 어둠을 살라 먹고, 산 넘어 밤새도록 어둠을 살라 먹고, 이글이글 앳된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달밤이 싫여, 달밤이 싫여, 눈물 같은 골짜기에 달밤이 싫여, 아무도 없는뜰에 달밤이 나는 싫어……


   해야, 고운 해야. 뉘가 오면 뉘가사 오면, 나는 나는 청산이 좋아라. 훨훨훨 깃을 치는 청산이 좋아라. 청산이 있으면 홀로래도 좋아라.


  사슴을 따라, 사슴을 따라, 양지로 양지로 사슴을 따라 사슴을 만나면 사슴과 놀고,


   칡범을 따라 칡범을 따라, 칡범을 만나면 칡범과 놀고……,


   해야, 고운 해야. 해야 솟아라. 꿈이 아니래도 너를 만나면, 꽃도 새도 짐승도 한자리 앉아, 워어이 워어이 모두 불러 한자리 앉아  앳되고 고운 날을 누려 보리라.

 

 

(『해』. 청만사. 1949 :『박두진 전집 1』. 범조사. 1982)

 

----------------
  묘지송(墓地頌)


  박두진

 

 

  북망(北邙)이래도 금잔디 기름진데 동그만 무덤들 외롭지 않어이.


  무덤 속 어둠에 하이얀 촉루가 빛나리. 향기로운 주검읫 내도 풍기리.


  살아서 설던 주검 죽었으매 이내 안 서럽고, 언제 무덤 속 화안히 비춰줄 그런 태양만이 그리우리.


  금잔디 사이 할미꽃도 피었고, 삐이 삐이 배, 뱃종! 멧새들도 우는데, 봄볕 포근한 무덤에 주검들이 누웠네.

 

 


(『청록집』. 을유문화사, 1946; 『박두진 전집』.범조사. 1982)

 

---------------------
  청산도(靑山道)


  박두진
                                            

                                                 
  산아, 우뚝 솟은 푸른 산아, 철철철 흐르듯 짙푸른 산아. 숱한 나무들, 무성히 무성히 우거진 산마루에, 금빛 기름진 햇살은 내려오고, 둥 둥 산을 넘어, 흰구름 건넌 자리 씻기는 하늘. 사슴도 안 오고 바람도 안 불고, 넘엇골 골짜기서 울어오는 뻐꾸기……


  산아, 푸른 산아. 네 가슴 향기로운 풀밭에 엎드리면, 나는 가슴이 울어라. 흐르는 골짜기 스며드는 물소리에, 내사 줄줄줄 가슴이 울어라. 아득히 가버린 것 잊어버린 하늘과, 아른 아른 오지 않는 보고 싶은 하늘에, 어쩌면 만나도질 볼이 고운 사람이, 난 혼자 그리워라. 가슴으로 그리워라.


  티끌 부는 세상에도 벌레 같은 세상에도 눈 맑은, 가슴 맑은, 보고지운 나의 사람. 달밤이나 새벽녘, 홀로 서서 눈물어릴 볼이 고운 나의 사람. 달 가고, 밤 가고, 눈물도 가고, 티어 올 밝은 하늘 빛난 아침 이르면, 향기로운 이슬밭 푸른 언덕을, 총총총 달려도 와줄 볼이 고운 나의 사람.
 

  푸른 산 한나절 구름은 가고, 골 넘어, 골 넘어, 뻐꾸기는 우는데, 눈에 어려 흘러가는 물결 같은 사람 속, 아우성쳐 흘러가는 물결 같은 사람 속에, 난 그리노라. 너만 그리노라. 혼자서 철도 없이 난 너만 그리노라.

 

 

 

(『청록집』. 을유문화사, 1946; 『박두진 전집 1』.범조사. 1982)

 

-------------------
산맥을 가다


박두진

 


얼룽진 산맥들은 짐승들의 등뼈다
피를 뿜듯 피달리어 산등선을 가자.


흐트러진 머리칼은 바람으로 다스리자.
푸른빛 이빨로는 아침 해를 물자.


포효는 절규, 포효로는 불을 뿜어,
죽어 잠든 골짝마다 불을 지르자..


가슴에 살이 와서 꽂힐지라도
독을 바른 살이 와서 꽂힐지라도.


가슴에는 자라나는 애기해가 하나

나긋나긋 새로 크는 애기해가 한 덩이.


미친듯 밀려오는 먼 바다의
울부짖는 파도들에 귀를 씻으며,


떨어지는 해를 위해 한 번은 울자.
다시 솟을 해를 위해 한 번은 울자 .

 

 

 

(『거미의 성좌』. 대한기독교서회, 1961; 『박두진 전집 2』.범조사. 1982)
―최동호 신범순 정과리 이광호 엮음『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선집 1900∼2000』 (문학과지성사, 2007)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